[목차] == Twist == 구부리다, 비틀다 등을 뜻하는 [[영어]]. 여기에서 유래한 단어로 [[트위스터]]가 있다. [[반전]]을 의미하기도 한다. == [[명품]] 브랜드 [[루이 비통]]의 [[핸드백]] 라인업 == 위 항목에서 따온 이름으로 [[루이 비통 트위스트]] 문서 참고. == 인명 == 대표적으로 소설 [[올리버 트위스트]]의 주인공인 올리버 트위스트. == [[프로레슬링]] 기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코브라 트위스트)] == 춤 == 1960년대에 미국에서 시작되어 전 세계적으로 선풍적인 인기를 끈 춤의 일종. 발목 부분으로 균형을 잡고 가슴, 허리, 팔을 좌우로 움직이는 식이다.[*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파퓰러음악용어사전 & 클래식음악용어사전] 쉬워 보이지만 느낌 있게 추는 것이 의외로 쉽지 않은 춤. [[처비 체커]]의 1960년 곡인 [[The Twist]]에서 유행이 시작되었고, 1962년에 [[Peppermint Twist - Part I]]를 비롯한 수많은 트위스트 곡들이 히트를 치며 인기의 절정을 찍었다. [youtube(ETX03Zjtarc)] 당시 미국에서 이 춤을 배울 수 있도록 만든 영상. 어떻게 추는지 알 수 있다. [youtube(zdJGKp1i81c)] 처비 체커의 전설적인 명곡인 [[Let's Twist Again]]. 한국에서는 1962년 배우 김한섭이 영화 "아름다운 수의"에서 이 춤을 알리면서 일약 스타덤에 올랐고, 당시 감독인 [[신상옥]]이 재능을 눈여겨보고 예명을 '''[[트위스트 김]]'''으로 바꿔주면서 그의 상징이 되었다. 이후 60년대와 같은 열풍은 없지만, 지금도 조금씩 변형되면서 꾸준히 사랑받는 춤이 되었다. 가요에서는 꾸준한 소재가 되는 춤이기도 하다. [[설운도]]의 히트곡인 '''사랑의 트위스트'''는 아예 제목에 춤 이름이 들어가고, 그 외에도 [[홍진영]]의 '''사랑의 배터리''' 등 최신 트로트 곡에도 변형된 형태로 등장하기도 한다. == [[당구]] 기술 == [[당구]]에서 큐대로 옆을 깎아치는 기술. [[분류:영어 단어]][[분류:동음이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