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드래곤족]][[분류:유희왕/OCG/융합 소환]] [include(틀:관련 문서, top1=포톤(유희왕))] ||<-3>
'''{{{#!html트윈 포톤 리저드}}}''' || ||<|7>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트윈포톤리저드 애니메이션.jpg|width=100%]]}}} || || '''등장 시리즈''' || [[유희왕 ZEXAL|ZEXAL]] || || '''사용 캐릭터''' || [[텐조 카이토]] || || '''첫 수록 ''' || [[ORDER OF CHAOS]] || || '''서포트''' || [[융합 소환|융합]] || || '''카테고리''' || [[융합 소환|융합]] / 효과 || || '''소속 테마군''' || [[포톤(유희왕)|포톤]] || ||<-3><:> {{{#!wiki style="margin: 0 -10px" {{{#FF2424 융합 소환! 등장하라, '''{{{#!html트윈 포톤 리저드}}}''' ! {{{-1 融合召喚!現れろ、'''{{{#!htmlツイン・フォトン・リザード}}}'''!}}}}}} }}}||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상급 융합 몬스터 카드. == 설명 == === 원작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TwinPhotonLizard-JP-Anime-ZX.png]] || 한글판 명칭 ||<-4>'''트윈 포톤 리저드'''|| || 일어판 명칭 ||<-4>'''ツイン・フォトン・リザード'''|| || 영어판 명칭 ||<-4>'''Twin Photon Lizard'''|| ||<-5> 융합 /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6 || 빛 || 드래곤족 || 2400 || 1000 || ||<-5>"포톤 리저드" + "포톤 리저드"[br]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이 카드를 릴리스하고 발동한다. 자신의 묘지에 존재하는, 이 카드의 융합 소환에 사용했던 융합 소재 몬스터 1세트를 자신 필드 위에 특수 소환할 수 있다.|| ##フィールド上に表側表示で存在するこのカードをリリースして発動する。自分の墓地に存在する、このカードの融合召喚に使用した融合素材モンスター一組を自分フィールド上に特殊召喚する事ができる。 [[유희왕 ZEXAL]] 22화에서 [[텐죠 카이토]]가 [[카미시로 료가]]와의 듀얼 중 사용. [[포톤 리저드]] 2장을 소재로 융합 소환되었다. 넘버즈를 사용할 것이라 예상했던 료가는 엑시즈 소환이 아닌 융합을 발동하는 것을 보고 다양한 전술을 다룰 수 있는 것이냐며 놀라는 반응을 보였다. 이후 [[샤크토퍼스]]를 공격해 파괴했으며, 전투로 파괴된 샤크토퍼스가 효과로 장착되어 공격력을 0으로 떨어뜨리고 표시 형식도 변경할 수 없게 하나, 자신의 효과로 소재인 [[포톤 리저드]] 2장으로 분리해버려서 장착돼있던 샤크토퍼스도 날려버렸다. 이후 남은 포톤 리저드 2장은 [[No.30 파멸의 애시드 골렘]]의 엑시즈 소재가 되었다. 공격명은 '서브라임 브레스(サブライム・ブレス)'. [[사이버 트윈 드래곤]], [[푸른 눈의 쌍폭렬룡]]을 잇는 쌍두룡 컨셉의 카드지만, [[갤럭시아이즈]]가 아닌 포톤인 것이 특징. 여담으로 원작에선 저렇게 소재 몬스터 명칭이 명확히 표기되어있어서 카이토가 [[융합 소재 대체 몬스터]]인 [[심안의 여신]]을 덱에 투입하고 있었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7071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융합=, 효과=, 한글판명칭=트윈 포톤 리저드, 일어판명칭=ツイン・フォトン・リザード, 영어판명칭=Twin Photon Lizard, 레벨=6, 속성=빛, 종족=드래곤족, 공격력=2400, 수비력=1000, 효과1="포톤"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 2, 효과2=이 카드를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릴리스한 이 카드의 융합 소환에 사용한 융합 소재 몬스터 1세트를 자신의 묘지에서 특수 소환한다.)] 자신을 릴리스하는 것으로 [[융합 해제|융합 소재로 사용된 몬스터를 묘지에서 소생시키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기동 효과|기동 효과]]를 가진 융합 효과 몬스터. 원작과는 달리 소재 지정이 [[포톤(유희왕)|포톤]] 몬스터 2장으로 완화되었다. 이 카드가 엑스트라 덱에 있으면 [[융합(마법 카드)|융합]] 카드가 '패 / 필드의 포톤 몬스터 2장을 특수 소환한다'라는 효과로 바뀐다고 생각하면 좋다.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 등의 강력한 포톤 몬스터를 소재로 했다면 패에서 단숨에 강력한 몬스터를 필드에 소환할 수 있으며, 소재가 레벨이 같은 몬스터라면 원작에서처럼 융합을 해제한 다음 바로 엑시즈 소환으로 이어나갈 수도 있다. 게다가 릴리스되어 묘지로 간 이 카드도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으니 효율이 괜찮다. 융합 1장만 있으면 패에 잡힌 레벨 8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 2장으로 이 카드를 소환 → 효과 발동 → 포톤 드래곤 2장 → [[No.62 갤럭시아이즈 프라임 포톤 드래곤|프라임 포톤]], [[갤럭시아이즈 FA 포톤 드래곤|풀아머 포톤]], [[갤럭시아이즈 사이퍼 드래곤|사이퍼 드래곤]] 중 택 1 소환이라는 콤보도 가능하다. [[포톤(유희왕)#포톤 사벨타이거|포톤 사벨타이거]]와는 상성이 좋다. 사벨타이거 1장을 일반 소환하고 사벨타이거가 물어다 준 다른 사벨타이거와 함께 융합 후 효과를 발동하면 공격력 2000의 사벨타이거 2장이 필드에 바로 모인다. 단 공격력의 총합은 높아질지 몰라도 타점이 도로 낮아진다는 게 문제. 한가지 주의할 것이 반드시 1세트를 전부 소환해야 한다는 것. 융합 소재 세트 중 하나라도 특수 소환이 불가능한 상황이 되면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융합 소재가 묘지에서 벗어나면 당연히 안 되고, 특수 소환 몬스터인 [[포톤 스래셔]]를 패에서 그냥 융합해버리면 [[소생 제한 룰]]에 걸리기 때문에 효과 발동이 불가능해진다. 어지간하면 포톤 스래셔를 융합할 일은 없겠지만 설령 한다고 해도 필드에 있는 녀석을 융합해야 한다. 이외에도 포톤의 성역으로 뽑은 포톤 토큰을 융합 소재로 삼아도 토큰을 특수 소환할 수 없어 효과 발동이 불가능하다. 드래곤족이라 [[용의 거울]]로도 소환이 가능하지만, 소재가 묘지에 남지 않으므로 효과를 사용할 의미가 없어진다. 그래도 패 1장으로 공격력 2400의 몬스터를 꺼낼 수 있으니 제거 효과에 대비한 돌다리 두드려보기의 일환으로 채용할 가치도 있을 것이다. [[포톤 리저드]]로 [[포톤 스래셔]]를 서치 후 특수 소환한다는 자연스런 흐름으로 소재를 확보할 수 있으며, 이 카드 자신도 포톤 테마에 속하는지라 2장째 포톤을 갖추기는 용이하다. 소비가 더 들기는 해도 [[세이크리드#세이크리드 카우스트|세이크리드 카우스트]] 등을 써서 [[포톤 스트리크 바운서]]를 비롯한 랭크 6 엑시즈 몬스터를 소재로 써봐도 좋을 듯 하다. 덱 구축 난이도가 좀 있긴 하지만, [[라이트펄서 드래곤]]이나 [[성각#성각룡-토페니 드래곤|성각룡-토페니 드래곤]]으로 [[성각#성각용왕-아툼스|성각용왕-아툼스]]를 연계해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을 전개하는 것도 불가능하지는 않다. ||<-5>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오더 오브 카오스|ORDER OF CHAOS]] || ORCS-JP039 || [[슈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br]절판 || || [[듀얼리스트 팩|デュエリストパック-カイト編-]] || DP13-JP018 || [[노멀]] || 일본 || || || [[오더 오브 카오스|Order of Chaos]] || ORCS-EN039 || [[울트라 레어]][br][[얼티미트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Star Pack 2014 || SP14-EN020 || [[노멀]][br][[패러렐 레어|스타포일 레어]] || 미국 || || || [[오더 오브 카오스]] || ORCS-KR039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듀얼리스트 팩|듀얼리스트 팩 - 카이트 편 -]] || DP13-KR018 || [[노멀]] || 한국 || || == 관련 카드 == === [[포톤 리저드]] === === [[융합 해제]]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포톤(유희왕), version=442, paragraph=6.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