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external/blogs-images.forbes.com/Hostess-Twinkies-box.jpg]] '''Twinkies''' [목차] == 개요 == [[파일:트윙키 봉지 밖.jpg]] [[미국]] '호스티스'(Hostess)[* 트윙키 외에도 딩동(Ding Dongs), 호 호스(Ho Hos), 스노볼(Snoballs), 징거스(Zingers), 수지 큐스(Suzy Q's) 등 다양한 과자를 발매하고 있는데 하나같이 미칠듯한 단맛과 기름기를 자랑한다.] 사에서 생산하는 과자. == 특징 == 노란 [[스펀지 케이크]] 안에 크림이 채워져 있는 과자로, 안에 든 크림은 일반적인 [[휘핑크림]]이 아닌 설탕이 듬뿍 첨가된 크림이다. 외형과 맛은 롯데제과의 [[카스타드]]와 유사한데 빵 부분이 좀 더 쫄깃하고, 크림이 액체 상태에 가까워 식감은 미묘하게 다르다. 크림의 질감은 [[보름달(빵)|보름달빵]] 안에 들어있는 걸 생각하면 된다. 기름기로 인해 표면이 다소 번질거리는 것 또한 특징이다. 일반적인 [[바닐라]] 크림을 비롯하여 [[바나나]] 크림, [[초콜릿]] 크림, [[땅콩버터]] 크림 등 여러 가지 맛이 존재하며 전부 미국 과자답게 ''''혓바닥을 녹일 듯한 극강의 단맛을 자랑한다.'''[* 이게 어느정도냐면, 단걸 못 먹는 사람들은 하나같이 달다못해 쓰고 아리다고 말한다.] 식감은 카스타드와 비슷하기는 한데 냄새나 단 맛은 확실히 다르다. 맛은 한국의 [[보름달빵]]과 가장 유사하다. 미국에서는 대표적인 [[정크푸드]]로 통하고 있으며 남부 지방에선 튀겨서 먹기도 한다.[* [[텍사스]], [[앨라배마]].] 튀기는 순간 겉은 바삭하고 속이 크림화되는 맛으로 먹고 있으며 맛은 느끼하고 짜고 달다. 여기에 짜고 기름진 맛을 더 부각시키기 위해 베이컨을 돌돌 말아 튀긴 것도 찾아볼 수 있다. 크림이 들어있지만 우유로 만든 것이 아니라 [[액상과당]]과 [[쇼트닝]], 다시 말해 설탕과 기름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다른 과자들에 비해 유통기한이 매우 길다. 창작물에서도 안 썩는다는 기믹이 부각된다. 그 예로 [[월-E]]에서는 700년 이상이 지난 지구가 배경인데도 주인공 월-E가 애완동물인 바퀴벌레에게 트윙키를 닮은 [[크림빵]]을 주는 장면이 나온다. [[소시지 파티]]에서도 불멸의 식품으로 나온다. [[포스트 아포칼립스]] 세계관에서도 [[클리셰]]처럼 자주 등장한다. 물론 트윙키도 식품인 이상 너무 오래 놔두면 상하니 제때제때 먹어치우자. == 역사 == 1930년 4월 6일, 일리노이 주 실러 파크의 'Continental Baking Company'라는 곳에서 캐나다 출신 제빵사인 제임스 듀어(James Alexander Dewar)에 의해 발명되었다. [[딸기]] 철이 아닐 무렵에 딸기 [[쇼트케이크]] 제조 기계가 놀고 있다는 사실을 알자, 바나나 크림으로 채운 과자를 고안해낸 뒤 이를 '트윙키'(Twinkie)[* 리치 코프(Ritchy Koph)의 말에 의하면 세인트루이스에서 'Twinkle Toe Shoes'라 쓰인 광고판을 보고 떠올린 것이라고 한다.]라 명명했다. 이후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바나나가 전시 배급되면서 어쩔 수 없이 내용물이 바닐라 크림으로 대체되었는데, 이것이 인기를 얻어 [[주객전도|바나나 크림 버전은 묻히고 바닐라 크림 버전이 주력 상품이 되었으며, 바나나 크림 버전은 한정판으로나마 가끔씩 나오는 신세가 되었다.]] 1988년에는 과일과 크림 트윙키가 소개되기도 했지만 단종되었다. 그러다 2005년에는 영화 [[킹콩(2005)|킹콩]]의 홍보를 위해 한 달간 바나나 크림 버전이 다시 시판되기도 했으며, 홍보 기간 동안 매출이 20% 증가한 덕분에 2007년부터 기존 라인업으로 복귀하게 되었다. 2012년 11월 16일, [[http://money.cnn.com/2012/11/16/news/companies/hostess-closing/|호스티스 사가 파산했다.]] 제조사의 파산 소식이 전해지자 여기저기서 마지막으로 트윙키를 맛보거나, 혹은 기념으로 보관하려고 [[사재기]] 열풍이 불었으며 [[eBay]] 등 경매 사이트에선 [[http://media.daum.net/foreign/others/newsview?newsid=20121117132704101|10개들이 한 박스가 25만 달러에 올라오는 일까지 벌어졌다.]] 이렇게 과자의 맛이 그립다고 사재기하는 것은 어리석은 행동인데, 상식적으로 회사가 파산하면 자산을 매각해서 채권자들에게 지불해야 한다. 그 자산 중에는 트윙키 라이선스와 제조 방법 등이 포함되어 있을 것이고, 누군가가 그걸 사서 트윙키를 다시 만들기 시작할 테니 길어봤자 몇 년 정도 못 먹는 거다. 다만 모든 제품이 그렇듯 재생산되더라도 '''파산 이전의 마지막 트윙키'''는 별난 인간의 수집품으로 남을지도 모른다. ||<:>[[파일:external/a.abcnews.com/HT_Twinkie_Box_jef_130709_16x9_992.jpg|width=100%]]|| ||<:>재판매 패키지[* 참고로 오른쪽 위에 적힌 문구의 뜻은 '역사상 가장 달콤한 복귀'이다.]|| 그리고 예상대로 판매가 중지된 지 약 8개월 만인 2013년 3월 12일, 미국의 대형 사모펀드인 아폴로 글로벌 매니지먼트(Apollo Global Management)와 식품 업체인 메트로폴로스(Metropoulos & Co.)가 손을 잡고 트윙키스 및 딩동을 비롯한 제품 5개와 생산설비를 4.1억 달러에 인수하기로 하면서 재판매가 결정되었다.[[https://www.prnewswire.com/news-releases/hostess-brands-selects-apollo-global-management-and-metropoulos--co-as-winning-bidder-for-majority-of-snack-cake-business-including-twinkiesr-197536231.html|#]] 가격은 동일하지만[* 10개들이 $3.99.] 개당 무게와 열량은 약 10%씩 줄어들었다. 포장지 디자인도 바뀌어서 트윙키의 상징이었던 카우보이 캐릭터가 사라지고 붉은색 로고만 찍혀있다. 미국 현지에서 2013년 7월부터 재판매되고 있으며 같은 회사의 유명 상품인 딩동[* [[몽쉘]]과 비슷하게 생긴 과자. 미국에서는 한국의 [[초코파이]] 급 위치에 있다.]도 판매가 재개되었다. 인기는 여전히 좋아서 미군 [[PX]] 같은 곳에서도 재고를 거의 찾아볼 수 없을 정도이다.[* 현재 [[네이버]]에서 호스티스 사의 과자들을 쉽게 [[해외 직구]]할 수 있다.] 이후 호스티스의 구 법인은 청산되었고 아폴로와 메트로폴로스가 만든 새 법인이 2016년 11월 [[SPAC]]과 합병해 나스닥에 상장했는데, 티커를 트윙키의 약자인 TWNK로 정했다. == 매체에서 == [[할로우맨]]에서 주인공 세바스찬이 좋아하는 간식으로 나온다. 심지어 이 과자를 먹다가 1년 가까이 풀지 못한 DNA 배열도 해독했다. [youtube(Z-_FO9p8Xdg)] [[위어드 알 얀코빅]]이 주연으로 나온 코미디 영화 'UHF 전쟁'[* [[주말의 명화]]에서 '기적의 채널 62'라는 제목으로 더빙 방영되었다.]에서는 조지가 밥에게 평소 좋아했다던 트윙키 소시지 샌드위치(Twinkie Wiener Sandwich)를 만들어주기도 했다. 이름 그대로 트윙키 사이에 핫도그처럼 [[소시지]]를 끼우고 [[https://en.m.wikipedia.org/wiki/Easy_Cheese|이지 치즈(Easy Cheese)]]라는 치즈 소스를 뿌린 것이다. [[좀비랜드]]의 등장인물인 [[탤러해시]]가 이 과자에 환장해서 영화 내내 찾아다니지만 매번 실패한다. 막바지에 트윙키가 보관되어 있던 창고를 쏴 버리는 바람에 전부 날려버리나 리틀 락이 온전한 걸 찾아내어 겨우 먹는 데 성공한다. [[다이 하드]]의 등장인물인 알 파웰이 좋아하는 과자이다. 임신한 아내를 핑계로 왕창 사가거나 책상에 한가득 쌓아놓기도 한다. [[고스트버스터즈]]에서 이곤이 트윙키를 예로 들면서 잡아온 유령들을 가둬놓는 저장탱크 용량의 한계를 우려했다. [[파일:1x01-Alive-in-Tucson-Phil-Miller-the-last-man-on-earth-38221830-1024-576.jpg|width=700]] [[미국 드라마]] '더 라스트 맨 온 어스'에서는 주인공 필 밀러가 사람이 없어진 마트에서 온갖 식료품들을 챙기던 도중 트윙키를 손가락에 하나씩 끼우고 먹어대기도 한다. [[2차 대전]]에서 [[대체역사물|추축국이 승리한 60년대]]를 다루는 드라마, [[높은 성의 사나이(드라마)|높은 성의 사나이]]에선 다른 세계[* 연합국이 승리한 현실 세계]로 온 타고미가 트윙키를 젓가락으로(...) 먹어보는 장면이 나온다. [[엑스맨: 데이즈 오브 퓨처 패스트]]에서 [[퀵실버(엑스맨 유니버스)|퀵실버]]가 먹는 장면이 등장하며, 딩동과 함께 지하실에 쌓아두고 있었다. [[엑스맨: 아포칼립스]]에서도 트윙키를 먹다가 학교가 폭파될 위기에 처하자 급히 팽개치고 달려간다. [[루드비코]]가 [[http://webtoon.daum.net/webtoon/viewer/24316|트윙키에 대해 설명한 만화.]] [[사재기]] 열풍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 [[바탕화면 부수기]]류 게임인 Desktop Toys의 용수철은 모니터, 생선, 닭, 돌, 포탄 등의 물체를 용수철로 튕기는 방식인데 여기에도 트윙키가 나온다. 노란색 긴 물체에 일정 높이 이상 튕겼다가 떨어지면 크림이 나온다. == 기타 == [[마인크래프트]]의 개발사 [[모장]]에는 [[하리보]], [[포스트잇]]과 함께 직원들이 마음대로 먹을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고 한다.--당연히 포스트잇은 먹을려고 배치한게 아니다-- 악명 높은 [[트윙키 변호]]의 트윙키가 바로 이 과자이다. 미국의 주류 문화를 지향하며 스스로 백인이라 생각하고 행동하는 [[동아시아]]계 미국인이 '''같은''' 동아시아계 미국인을 비꼬는 의미에서 사용하는 속어이기도 하다. 바나나라고도 한다. 여담으로 [[남아시아]]계와 [[동남아시아]]계, [[서아시아]]계 미국인의 경우에는 [[코코넛]]이라 하고 흑인의 경우 [[오레오]]라 한다. 어느 쪽이든 같은 민족 또는 인종이 서로 비꼬기 위해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게이/은어|게이 은어]] 중 하나인 [[트윙크]]도 이 과자에서 유래한 것이다. [[분류:과자 브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