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특명전대 고버스터즈)] [목차] == 개요 == [[특명전대 고버스터즈]]의 등장 아이템 • 장비를 소개하는 문서. == 고버스터즈 전용 == === 모핀 브레이스 === [include(틀:슈퍼전대 시리즈의 변신도구)] [[파일:attachment/특명전대 고버스터즈/무장/morphinbreath.jpg]] >'''"It`s morphin' time!"''' 한국 더빙판에서의 명칭은 '''GB 브레이스''', 미국판에서의 명칭은 '''비스트 X 모퍼'''. 고버스터즈의 변신 브레이슬릿. [[폭룡전대 아바레인저]] 이후로 9년 만에 재등장한 메인 멤버들이 처음부터 사용하는 브레스형 아이템이다.[* [[염신전대 고온저]]의 브레스형 변신기 시프트 체인저가 있지만 멤버 전원이 사용한 것은 아니었다.] 정면의 스위치를 누르면 후부에 장착된 모핀 글래스가 전개되며 '''"It`s morphin' time!"'''이라는 메시지가 나오고, 본인 식별이 행해진 뒤 일반인의 15배의 운동능력을 발휘하게 해주는 버스터 슈트가 전송, 이후 변신 구호 '''"렛츠 모핀!"'''을 외쳐 변신을 마친다. 다이얼을 돌린다는 점은 [[성수전대 긴가맨]]의 긴가 브레스나 [[굉굉전대 보우켄저]]의 6번째 전사인 보우켄 실버의 고고 브레스 이후로 오랜만이다. 참고로 변신 시에 "모핀"이라는 단어를 외친다는 설정은 [[파워레인저]] 시리즈에서 역수입되었다. 완구판의 경우 극중과 마찬가지로 다이얼을 돌려서 (완구 기능까지 포함)7가지 모드로 전환이 가능. 다음은 완구판 모핀 브레스 기믹 일람이다. [[http://youtu.be/UP_a9Wx9P6w|완구 리뷰 영상]] ||「변신 모드」(고버스터즈 변신 사운드)[br]「콜 모드」(버디로이드들과의 통신놀이)[br]「렛츠 드라이빙 모드」(버스터 머신 호출 사운드)[br]「애널라이즈 모드」(분석 사운드)[br]「필살 모드」(고버스터 에이스의 필살기 사운드)[br]「게임 모드」(지시대로 다이얼을 돌리는 게임)[br]「스페셜 모드」 || 다음은 완구판에 수록된 콜 모드 버디로이드 음성 일람. || {{{#!folding [음성 펼치기 · 접기] ||<|5> '''치다 닉''' ||OK!すぐ行く!ところで、道を教えてくれないか?[br]OK! 금방 갈께! 근데 길을 좀 가르쳐주지 않을래? || ||おはよう!さあ、起きて起きて![br]좋은 아침! 자, 일어나 일어나! || ||出動命令だ!飛ばすぞ![br]출동 명령이다! 달려볼까! || ||笑って笑って!涙なんか振り払え![br]활짝 웃으라고! 눈물따윈 떨쳐버려! || ||やあ!俺はニック。君の名前は?[br]여어, 나는 닉. 네 이름은? || ||<|5> '''고리사키 바나나''' ||おはよう。ごめん、多分朝だ[br]잘 잤니. 미안, 아마도 아침일거야. || ||ごめん、100%了解した[br]미안, 100% 이해했어. || ||キミが元気ならきっと俺も元気になれる…[br]네가 건강하다면 나도 건강해질거야... || ||ここは俺にまかせてくれないか!え?ダメか?ハァ…[br]여기는 나에게 맡겨주지 않겠어? 에? 안돼? 하아... || ||今日もご飯を残さず食べられたか?[br]오늘도 밥을 남기지 않고 다 먹었니? || ||<|5> '''우사다 레터스''' ||空から一気に攻撃するよ![br]하늘에서 한방에 공격할께! || ||ウサダは知ってる。君が強いってこと。[br]우사다는 알고있어. 네가 강하다는 것을. || ||ラジャラビ![br]라져래빗! || ||おはよう。特別大サービスで起こしたよ?[br]좋은 아침! 대출혈 서비스로 깨워줬다구? || ||毎晩しっかり歯磨きしてるぅ?[br]매일 저녁 확실히 양치질 하고있어? ||}}} || === 이치간 버스터 === [[파일:attachment/특명전대 고버스터즈/무장/icchiganbuster.jpg]] 한국 더빙판에서의 명칭은 '''GB 버스터'''[* 완구판에선 '''GB [[머신건]]'''으로 표기되어있다.], 미국판에서의 명칭은 '''비스트 X 블래스터'''. 이치간레프[*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一眼レフレックスカメラ=Digital Single Lens Reflex Camera)의 준말. 한국식으로 표현하자면 [[DSLR]].]를 모티브로 한 무장이며, 평상시에는 카메라로 위장하고 있다가 전투 시에는 총으로 변형시켜서 사용한다.[[http://youtu.be/QMwObKLIqJU|완구 리뷰 영상]] 렌즈의 조리개를 조절하는 부분을 왼쪽으로 돌리면 렌즈 앞의 광량 조절기가 전개되며 "it's time for buster!"의 음성과 함께 전용 필살기를 발동한다. === 소우간 블레이드 === [[파일:attachment/특명전대 고버스터즈/무장/souganblade.jpg]] 한국 더빙판에서의 명칭은 '''GB 블레이드''', 미국판에서의 명칭은 '''비스트 X 세이버'''. 쌍안경을 모티브로 한 위장형 블레이드이며, 평상시에는 쌍안경으로 위장하고 있다가 전투 시에는 검으로 변형시켜 사용한다.[[http://youtu.be/OgaOFhytiG0|완구 리뷰 영상]] 블레이드 모드로 변형시킨 후 손잡이 부분의 버튼을 클릭하면 "it's time for buster!"의 음성과 함께 전용 필살기를 발동한다. 다음은 소우간 블레이드에 수록된 버디로이드 음성 일람. ||{{{#red 1. 치다 닉}}} * 저녀석들, 저런 곳에 숨어있었구만... 조심하라구!(あいつら、あんな所に隠れていたのか…気をつけろ!) * 녀석들, 저런 곳에 숨어있었군... 조심해! (한국판) {{{#blue 2. 고리사키 바나나}}} * 미안, 적에게 들키지 않도록 신중하게...(ごめん、敵に気付かれないように、慎重に…) * 미안, 적에게 들키지 않도록 조심해... (한국판) {{{#yellow 3. 우사다 레터스}}} * 적의 반응을 캐치해뒀어! 서두르자!(敵の反応をキャッチしてあげたよ!急行しよ!!) * 적을 탐지했다! 빨리 가자! (한국판)|| 여담으로, 크기는 단검과 일반 검의 중간 정도 되는 길이라서 엔터 같이 기다란 근접 무기를 든 상대에게는 맥없이 무너지는 경우가 잦은 편이다. ==== 스페셜 버스터 모드 ==== [[파일:attachment/특명전대 고버스터즈/무장/specialbustermode.jpg]] >'''"It's time for special buster!"''' 미국판 명칭은 '''비스트 X 캐논'''. 이치간 버스터와 소우간 블레이드를 결합시켜 필살 빔포를 사용 가능한 스페셜 버스터 모드로 변형한다. === 트랜스포드 === [[파일:attachment/특명전대 고버스터즈/무장/transpod.jpg]] >'''"transport!"''' 고버스터즈가 어깨에 장비하고 있는 물체 전송용 버스터 기어. 고버스터즈 마크가 붙어 있으며 여러가지 장비 등을 소환하는 일종의 소환 장치. 이것을 이용하여 기지 내에 비치되어 있는 이치간 버스터나 소우간 블레이드 등의 무기류를 전송시킬 수 있다. 이 외에 보이스 체인저 기능이나 효과음을 수록한 멀티 아이템이며 버스터 기어 소환 모드, 보이스 체인지 모드, 효과음 모드[* 완구판 오리지널이다.]로 바꾸는 게 가능. [[http://youtu.be/op15r4w1ZQo|완구 리뷰 영상]] === GB 커스텀바이저 === [[파일:attachment/특명전대 고버스터즈/무장/gbcustomvisor1.jpg]] >'''"Set! Are you ready? (버디로이드들이 응답) Powered Custom! It's Morphin Time!"''' 고버스터즈 멤버의 파워 업 아이템. 모핀 브레스에 장착하는 형태로 고버스터즈와 버디로이드를 일체화시켜서 슈트를 파워업 시켜주는 아이템이다. 슈트의 파워 업은 23화에서 시작형이 나왔던 것으로 보아 오랫동안 진행되어 온 계획인 듯하다. 여담이지만 음성 담당이 [[미즈키 이치로]]다.(...) 완구판의 경우 극중에서처럼 모핀 브레스에 바로 장착하는 것이 아닌, 전용 손목 벨트에 모핀 브레스와 커스텀바이저를 꽂아서 사용한다. 이것만 빼면 극중의 것 그대로. [[http://youtu.be/ZoCG8q3_aIc|완구 리뷰 영상]][* 왜 이렇게 설계를 했는지는 모르겠지만 버튼만으로는 바이저가 완전히 펴지지 않게 설계되어 있다. 버튼을 눌러 바이저를 전개한 후 수동으로 조금 잡아당겨 후면 핀으로 고정하는 형식. ] ==== 파워드 커스텀 ==== [include(틀:슈퍼전대 시리즈의 강화 무장)] 레드 버스터, 블루 버스터, 옐로 버스터가 GB 커스텀바이저를 이용해 파워업 한 형태로 [[크로스 퓨전|각자의 버디로이드와 일체화 되어]] 버디로이드의 디자인을 모티브로 한 강화아머를 장착하게 된다. 23화에서 '자석로이드'를 쓰러뜨릴 때 나왔던 프로토타입 강화 아머를 개수해 만든 것으로, 아이디어의 착안자는 [[고리사키 바나나]]. 33화에서 추가된 장비 GB 커스텀바이저를 모핀 브레스에 장착해 변신한다. 장착 시 Are you ready?라는 음성이 나온 뒤 버디로이드를 데이터화시킨다. 이후 Powered Custom! It's Morphin Time!라는 음성이 나오면 '''파워드 모핀!'''을 외쳐 강화 아머와 함께 변신이 완료된다. 각각의 버디로이드를 기반으로 한 강화 아머를 장착되며, 바이저 부분에는 은색의 테가 둘러진다. 버디로이드와 인간의 연계를 실체화시킨 방식이기 때문에 둘의 마음이 싱크로 될수록 더욱 강력한 힘을 발휘한다. 반대로 양자가 심리적으로 문제가 있다면 약해지며, 버디로이드가 거부한다면 파워드 커스텀이 발동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선 강화아머 덕분에 방어력이 극도로 상승하게 되며 각자의 특수능력이 더욱 더 강화되거나 새로운 능력을 얻게 된다. * [[사쿠라다 히로무|레드 버스터]] : 스피드가 비약적으로 증가한다. 셋 중에 가장 심플하고 알기 쉬운 파워업. 필살기는 불꽃을 몸에 휘감고 [[CB-01 치타]] 버스터 애니멀 모드와 같은 모습으로 변하여 적에게 돌진하여 꿰뚫는 '''볼카닉 어택'''. * [[이와사키 류우지|블루 버스터]] : [[강철의 연금술사|손 댄 물체의 물질을 재구성하여 만들어낸다.]] 예를 들어 땅을 만져 거대한 돌덩이를 만들어낸다든가 건물을 만져서 그 안에 있는 철근을 만들어내는 일이 가능. 그 외에 기존의 능력인 괴력 역시 강화된다. 필살기는 오른손에 [[고리사키 바나나]]의 팔 파츠와 같은 모양의 건틀렛을 만들어내 적에게 강력한 펀치를 먹이는 '''고릴라지 펀치'''. * [[우사미 요코|옐로 버스터]] : 공중에서 가상의 발판을 만들어 내 재도약 하는 것이 가능. 이것으로 2단 점프를 한다든가 공중에서 반동차기를 하는 등의 다양한 움직임이 가능해진다. 필살기는 [[라이더 킥|공중으로 뛰어올라 강력한 급강하 킥을 먹이는]] '''래피드 킥'''. 그 외에도 최종화에서는 5명의 힘을 레드 버스터의 볼캐닉 어택에 합친 최종 필살기 '''볼캐닉 올 버스터즈 어택'''을 사용하기도 했다. == 비트 버스터 & 스태그 버스터 == === 모핀 블래스터 === [include(틀:슈퍼전대 시리즈의 신전사의 변신도구)] [[파일:attachment/특명전대 고버스터즈/무장/morphinblaster1.jpg]] 국내명은 '''GB블래스터''', 미국판 명칭은 '''스트라이커 모퍼''' [[진 마사토|비트 버스터]]와 [[비트 J. 스태그|스태그 버스터]] 전용 변신기 및 기본 무장. [* 고온저 역시 중간에 추가된 블랙과 그린의 변신기가 초반 주역 3인과는 다른 변신기를 사용했었다. 다만, 기본 무장은 다른 고온저 멤버들과 동일했다.] [[가면라이더 델타|음성 인식을 통하여 변신한다]]. 통상 모드에서는 비트 및 스태그 버스터로의 변신[* 기지에서 전송 받는 다른 고버스터즈와는 달리 아공간으로부터 슈트를 전송받는다. 단, 비트 버스터는 [[비트 J. 스태그|제이]]의 파츠를 일부 사용한다.] 이외에도 통신기능이나 버스터 머신을 호출 할 수 있다. 중앙부를 꺾어 블래스터 모드로 변형시키면 고성능 제네레이터에서 생성되는 파괴력 발군의 고출력 광선을 생성시킬 수 있다. 여담이지만 [[스마트폰|통상 모드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는 등의 기능도 수행 할 수 있다]]. 여러모로 디자인 및 기믹에서 [[가면라이더 555]]의 [[가면라이더 델타#s-1.1|델타 기어]]와 비슷한 모습이 보인다. 트리거를 길게 당김으로서 필살기가 발동되는데 이때「Boost Up for Buster!」라는 음성이 흘러나오면서 대기상태가 되며,「Come On!」이라고 발음하면 에네트론을 충전하여 더욱 더 강력한 광선을 발사 할 수 있다. 광선의 색깔은 비트 버스터는 금색, 스태그 버스터는 푸른색으로 나눠진다. 완구 기믹상으로는 극중 기믹이 대부분 재현되어 있다. 다만, 기존 3인의 변신기인 모핀 브레스와 달리 Call Mode 버튼을 제외하고는 [[가면라이더 델타|대부분의 기믹이 소리 진동으로 발동된다]].[* Call Mode 조차도 버튼 누른 후 마이크 부분에 진동을 가하지 않으면 음성 기믹이 발동되지 않는다.] [[http://youtu.be/aLkFjqRjPhE|완구 리뷰 영상]] 다음은 완구상에 수록된 [[비트 J. 스태그]]의 음성 일람이다. || * 알았다, 문제 없다.(了解、問題ない。) * 비트 J. 스태그다. 뭔가 문제라도 있나?(ビート・J・スタッグだ。何か問題あるか?) * 조심해라, 버그러스가 가까이 오고 있다.(気をつけろ。ヴァグラスが近づいている。) * 큰 문제다, 확실히 망을 봐라.(大問題だ。しっかり見張れ。) * 나다, 뭔가 문제라도 있나?(俺だ。何か問題あるか?) * 지금 당장 일어나라! 지금 당장!(今すぐ起きろ!今すぐだ。) * 지금 당장 모핀이다.(今すぐモーフィンだ。)|| === 드라이블레이드 === [[파일:attachment/특명전대 고버스터즈/무장/driblade1.jpg]] 한국 더빙판에서의 명칭은 '''드라이브 소드''', 미국판 명칭은 '''스트라이커 세이버'''. [[진 마사토|비트 버스터]]와 [[비트 J. 스태그|스태그 버스터]]의 전용 무장.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자동차 핸들이 모티브다. 핸들 모드에서는 버스터 머신을 조종 할 수 있는 핸들 역할을 하며, 블레이드 모드로 변형 시에는 강철도 종잇장처럼 가를 수 있을 정도로 절단력 높은 블레이드로서의 기능을 발휘한다. 완구 기믹으로는 통상 공격음, 비트 버스터와 스태그 버스터 두 가지의 필살기 음성, 드라이빙 모드, 게임 모드 등을 수록하고 있다.[[http://youtu.be/w3iGdHWoH6g|완구 리뷰 영상]] 블레이드 모드에서 클랙션을 누르면 "boost up for buster!" 음성 이후 대기음이 흘러나오며 여기서 비트 버스터 버튼을 누르면 "it's time for beet attack!", 스태그 버스터 버튼을 누르면 "it's time for stag attack!"의 음성과 함께 필살기를 사용 가능하다. === 트랜스포드 === [[파일:attachment/특명전대 고버스터즈/무장/transpodbeetandatag.jpg]] 레드, 블루, 옐로 버스터의 트랜스포드와 크게 다르지 않고 [[색놀이|컬러링]]만이 비트 버스터와 스태그 버스터에 맞추어 변경되어 있다. 완구 기믹상으로는 무기 전송음과 목소리 변조 기능은 공통이지만 통상 트랜스팟과 달리 수록되어 있는 적 교란용 음성이 다르다. [[http://youtu.be/Jgdj80limZc|완구 리뷰 영상]] == 라이오 블래스터 == [[LT-06 타테가미 라이오]]의 조종간을 분리해 사용하는 무장. 어태시 모드/콕핏 모드/블래스터 모드의 3모드로 변형시킬 수 있다. 어태시 모드에서는 고버스터즈의 상태 이상이나 메사이어 [[메타로이드]]의 출현을 감지[* 엔터나 에스케이프가 메타 바이러스로 만드는 기존의 메타로이드는 에네트론 소모량이 많아 이상소비 반응이 뜨기 때문에 거의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했다. 하지만 [[메사이어 카드]] Ver.은 에네트론 소비량이 절감되어 이상소비 반응이 안 뜨기 때문에 파악이 한 박자 늦어질 수밖에 없었는데, 라이오 어태시는 이것도 감지할 수 있어 다시 빠른 대응이 가능해졌다.]한다. 류우지가 열폭주할 위기에 처하면 'COOL DOWN! DOWN!'이라고 외치거나, 요코가 에너지가 떨어지면 'ENERHGY CHARGE! CHARGE!'라고 말을 하기도 한다. 딱 한 번 히로무의 위크 포인트가 절정에 달했을 때는 "히로무 사쿠라다, 치킨 반응 MAX!"라고 외쳤다. 그리고 그 직후 히로무는 기절. 블래스터 모드에선 강력한 에네트론 광선을 발사하여 적을 파괴하며, 총구를 내리고 그 자리에 소우간 블레이드를 달아서 '''파이널 버스터 모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 번외 == === 치타 비스트 블래스터 === [[파워레인저 비스트모퍼]]에 등장하는 오리지널 무장. 비스트모퍼 레드 레인저가 조드 탑승시 필살기를 쓸때 전송하는 무장으로 평상시엔 치타 형태로 그리드 배틀포스 기지내에 수납되있다가 ''''Transport cheetah beast blaster''''라는 구호와 함께 트랜스포터를 눌러 전송하면 총 형태로 변형한다. 이후 레드 레인저가 들고 적을 향해 발사와 동시에 필살기가 발동되는데 이때 레드레인저의 헬멧에 치타 머리 형상의 바이저가 추가로 전개된다. === 비스트 X 킹 울트라 보우 === 비스트모퍼 시즌 2에 등장하는 [[컴파운드 보우]]형태의 무장. 본래 네이트가 개발하던 프로토타입에 비스트 X 킹 메가조드를 구성하는 고릴라, 산토끼, 사자의 DNA를 주입해 완성했다. [[분류:특명전대 고버스터즈]][[분류:슈퍼전대 시리즈의 무장]] == 같이 보기 == [include(틀:특명전대 고버스터즈)] [include(틀:슈퍼전대 시리즈/무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