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리가 MX)] ||<-2> [[파일:티그레스 UANL 로고.svg|width=180]] || ||<-2><#015daa> '''{{{#fbaf35 {{{+1 티그레스 UANL}}}}}}''' || ||<-2><#fbaf35> '''{{{#015daa {{{+1 Tigres UANL}}}}}}''' || || '''정식 명칭''' ||Tigres de la Universidad Autónoma de Nuevo León || || '''[[축구단 별명|{{{#fbaf35 별칭}}}]]''' ||Los Tigres, los Incomparables, La U de Nuevo León || || '''창단''' ||[[1967년|{{{#000,#ddd 1967년}}}]] [[3월 7일|{{{#000,#ddd 3월 7일}}}]] '''^^([age(1967-03-07)]주년)^^''' || || '''소속 리그''' ||[[멕시코]] [[리가 MX]] (Liga MX) || || '''연고지''' ||[[몬테레이]] || || '''홈구장''' ||[[에스타디오 우니베르시타리오(UANL)|에스타디오 우니베르시타리오]] (Estadio Universitario) [br] (43,257명 수용) || || '''구단주''' ||UANL, CEMEX || || '''회장''' ||알레한드로 로드리게스 미에치엘센 (Alejandro Rodríguez Miechielsen) || || '''감독''' ||로베르트 시볼디 (Robert Siboldi) || || '''수석 코치''' ||알바로 갈린도 (Álvaro Galindo)[br]오스카르 에스코바르 (Oscar Escobar)[br]마르코 안토니오 루이스 (Marco Antonio Ruíz) || || '''주장''' ||[[기도 피사로]] (Guido Pizarro) || || '''공식 웹 사이트 및 소셜 미디어''' ||[[https://www.tigres.com.mx/| [[파일:티그레스 UANL 로고.svg|width=25]]]] || ||<-2><#fbaf35> '''{{{#015daa 우승 기록}}}''' || || '''[[리가 MX|{{{#fbaf35 __리가 MX__}}}]]'''[br](7회) ||1978, 1982, 아페르투라 2011, 아페르투라 2015, 아페르투라 2016, 아페르투라 2017, 클라우수라 2019 || || '''__코파 MX__'''[br](3회) ||1975-1976, 1995-1996, 아페르투라 2014 || || '''[[CONCACAF 챔피언스 리그|{{{#fbaf35 __CONCACAF 챔피언스 리그__ }}}]]'''[br](1회) ||2020 || [목차] == 개요 == [[멕시코]] [[리가 MX]]의 축구 구단. 특이하게도 누에보레온 지역의 누에보레온 자치대학교가 운영하는 대학 클럽에서 시작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현재도 누에보레온 대학은 구단주로써 권한을 행사하지만 현재는 멕시코 기업 세멕스와 공동으로 운영하는 완전한 프로클럽이다. == 상세 == 1960년 재정난에 빠진 '''하바토스 데 누에보 레온''' 클럽을 지역 대학인 누에보 레온 주립대학이 인수하여 재창단되었다. 따라서 구단이 '''주립 대학'''에 의해 운영되는 특이한 방식의 클럽이었다. 1967년에는 현재의 홈 구장인 [[에스타디오 우니베르시타리오(UANL)]]를 누에보 레온 주립대학 '''캠퍼스''' 내에 완공했다. 창단 이후 줄곧 2부리그인 아센소 MX에 머물렀으나, 1973-74 시즌 아센소 MX 우승을 하며 처음으로 리가 MX에 승격해 1975-76 시즌에는 코파 멕시코 타이틀을 따는 등 성공적으로 정착한다. 1977-78 시즌 리기야[* 리가 MX의 포스트 시즌.] 우승을 시작으로 점점 리그에서도 강호로 올라섰으며, 이후에는 우승에 한끗차이로 도달하지 못하다가 1981-82 시즌 두번째 리가 MX 우승을 달성한다. 하지만 이 우승을 끝으로 1980년대~90년대 내내 리그 중하위권과 강등권에서 힘겨운 생존게임을 벌이는 팀으로 전락했고, 결국에는 1994-95 시즌 18위로 승격된지 20년만에 강등을 맛보게 된다. 이후 1996-97 시즌 아센소 MX에서 전기, 후기리그 모두 우승하는 압도적인 성적으로 2년만에 1부리그에 복귀하지만, 예전의 위용을 찾는데는 몇 시즌이 더 걸렸다. 그러다가 현재 팀의 지휘봉을 잡고 있는 브라질 출신 히카르두 페레티 감독이 2001-02 시즌 전기리그 정규리그 우승을 달성하며 팀이 부활했고, 이후 아르헨티나 출신 [[네리 품피도]] 감독 하에서 2003-04 시즌 전기리그 정규리그 우승을 또 한번 기록했다. 비록 리기야에서 우승에는 실패했지만 팀이 부활하는 듯 했다. 그러나 이후 다시 우승권과는 거리가 먼 성적으로 중하위권으로 밀렸으며, 우승에 대한 갈증은 2011-12 시즌 전기리그 리기야 우승을 하면서 해소되기까지 29년이나 걸렸다. 2011-12 시즌 이후 클럽의 막힌 혈이 뚫린듯 다시 멕시코 리그의 강자로 발돋움했다. 현재도 팀의 주전 골키퍼인 아르헨티나 키퍼 네우엘 페레스, [[수원 삼성]]에서는 먹튀로 전락했지만 티그레스에서는 레전드급 수비수인 [[안세우무 벤드레초프스키 주니오르]], 팀의 핵심 미드필더 귀도 피사로 등 현재까지도 주축선수들인 선수들이 이 쯤부터 영입되면서 티그레스의 황금기가 시작된다. 이후에도 우루과이 대표팀 미드필더 [[에지디오 아레발로]], 브라질 대표급 공격수 하파엘 소비스, 멕시코 대표팀 주축 선수인 하비에르 아퀴노, 위르겐 담, 이스라엘 히메네즈, 우고 아얄라 등 국내 선수들도 그 어느 때보다 탄탄했다. 여기에 충격적인 이적이었던 [[리그 앙]] 득점왕 출신 [[앙드레피에르 지냑]]의 영입은 화룡점정이었다. 안그래도 강한 스쿼드였던 팀에 프랑스 대표팀 최전방을 책임지던 공격수의 등장으로 티그레스는 최전성기를 맞이한다. 지냑 또한 리가 MX 데뷔 이후 '''단 한시즌도''' 두 자릿수 골을 기록하지 못한 적이 없을만큼[* 15-16 시즌 39경기 28골, 16-17 시즌 43경기 25골, 17-18 시즌 40경기 16골, 18-19 시즌 36경기 23골, 19-20 시즌 29경기 20골, 20-21 시즌 현재 21경기 14골 기록중.] 압도적인 득점력을 자랑하고 있다. 이를 토대로 2015-16 시즌 전기리그 우승, 2016-17 시즌 전기리그 우승, 2017-18 시즌 전기리그 우승, 2018-19 시즌 후기리그 우승으로 네 시즌 연속 리그 타이틀을 획득했고, 2015-16 시즌과 2016-17 시즌 [[CONCACAF 챔피언스 리그]] 연속 준우승, 2019 시즌에도 준우승을 차지하며 멕시코를 넘어 북중미 대륙에서도 위세를 떨치기 시작했다. 특히 2015년에는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서도 준우승을 차지하며 엄청난 상승세를 이어갔다.[* 익히 알려진 대로 [[코파 리베르타도레스]]는 [[CONCACAF 챔피언스 리그]]보다 훨씬 난이도가 어려운 대륙컵이다. 멕시코 클럽은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초청국 자격으로 2016년 대회까지 3장의 진출권이 배분되었었다. 2017년부터 대회가 개편되면서 멕시코 클럽은 더이상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참여하지 않는다.] 2010년대의 거듭된 우승으로 리그 우승 횟수는 7번을 기록중이며 이는 [[클루브 우니베르시다드 나시오날]]과 공동 5위의 기록이다. 이후에도 2014-15 유로파 리그 베스트 11 수비수인 프랑스의 티모데 콜로지에자크, 브라질 미드필더 하파엘 카리오카, 칠레 대표팀 공격수 [[에두아르도 바르가스]], 에콰도르 공격수 [[에네르 발렌시아]], 멕시코 대표 수비수 [[디에고 레예스]] 등 만만치 않은 스쿼드를 구성하며 북중미의 강호로 군림하고 있다. 최근들어 콜로지에자크, 바르가스, 발렌시아 등이 타 클럽으로 이적해가며 조금 전력이 약화되었지만 콜롬비아 대표팀 윙어 퀴뇨네스, AS로마와 우디네세에서 활약했던 니콜라스 로페즈, 파라과이 대표팀 공격수 카를로스 곤잘레스를 보강해 여전히 강력한 스쿼드를 자랑한다. 2020년엔 [[CONCACAF 챔피언스 리그]]에서 거듭된 준우승의 징크스를 깨고 결승에서 [[LA FC]]를 누르고 구단 사상 첫 대륙컵 우승마저 쟁취했다. 이 우승으로 클럽 역사상 최초로 [[FIFA 클럽 월드컵]]에 진출해 아시아 챔피언인 [[울산 현대]]와 2라운드에서 맞대결을 펼친다. 흥미롭게도 두 팀 모두 '''호랑이'''를 클럽의 상징으로 사용하고 있어 이 경기는 대한민국 스포티비에서 '''맹호대전(猛虎大戰)'''이라 부르며 홍보를 하고 있다. 이 경기에서 티그레스는 울산에게 2-1의 역전승을 거두고 준결승에 진출했다. 또한 준결승에서도 남미 챔피언 [[SE 파우메이라스]]에게 1-0 승리를 거두며 북중미 클럽 사상 최초로 클럽 월드컵 결승전에 진출한 클럽이 되었다!!! 비록 결승전에서 [[바이에른 뮌헨]]에게 0-1로 패하며 준우승을 하긴 했지만 결승전에서도 인상적인 경기력으로 석패한 것이라 강한 인상을 세계 축구팬들에게 심어주었다. 팀의 모든 득점을 책임진 [[앙드레피에르 지냑]]은 3골로 대회 득점왕에도 올라 겹경사를 맞이했다. 클럽의 최대 라이벌은 같은 도시를 연고로 하는 [[CF 몬테레이]]. 두 팀의 경기는 '''클라시코 레지오몬타노'''라고 불리며 [[클루브 아메리카]]와 [[CD 과달라하라]]의 '''클라시코 나시오날'''과 더불어 멕시코 프로축구에서 가장 크고 열정적인 더비로 알려져있다. 그리고 티그레스의 팬덤은 멕시코 팬덤 중 가장 충성스러운 팬덤으로, 티그레스가 2부리그 시기에서도 유일하게 '''만원 관중'''을 찍는 원천이기도 했다. 그러나 그 충성심이 때로는 과한 나머지 여러 사건사고를 일으키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 여담 == [[2021년]] 현재 과거 [[수원 삼성 블루윙즈]]에서 뛴 [[안세우무 벤드레초프스키 주니오르]]가 구단의 수석코치로 일하고 있다. 수원 삼성에서는 '''주닝요'''란 등록명으로 그리 좋지 못한 모습만 보여줬으나 이후 입단한 티그레스에서는 근 10년 가까이 뛰며 팀의 핵심 수비수로 활약한 레전드다. 은퇴 이후 곧바로 팀의 코치진에 합류해 2020년 부터 수석코치직을 맡고 있다. 현 감독 히카르두 페레티는 본래 브라질 출신으로 멕시코에서 오랫동안 선수 생활을 한 인물이다. 은퇴 이후 감독으로 전업한 뒤에는 멕시코에서만 감독 경력을 쌓았으며 2000년에서 2003년, 그리고 2006년 두 번에 걸쳐 티그레스 감독직을 수행했으며 이후 아예 멕시코인으로 [[귀화]]하며 2010년부터 쭉 티그레스의 감독직을 10년째 수행하고 있다. 2015년과 2018년에는 [[멕시코 축구 국가대표팀]] 임시 감독으로 부임했으며 2015년엔 [[2015년 CONCACAF 골드컵|골드컵]] 우승을 견인하며 소방수로써의 임무를 훌륭히 수행했다. 20-21 시즌을 끝으로 히카르두 페레티가 팀과의 계약이 종료됨에 따라 미구엘 에레라 감독이 후임 감독으로 부임하였다 == 역대 주요 선수 == 현재 소속된 선수들은 볼드체로 표시한다. * UEFA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앙드레피에르 지냑]]'''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플로리앙 토뱅]]'''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티모데 콜로지에자크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5]] [[루이스 가르시아(축구인)|루이스 가르시아]][* [[RCD 에스파뇰]]에서 220경기 47골을 기록한 에스파뇰의 간판 선수였다. 동명의 리버풀 선수와 동 시대에 활약한 공격수로 스페인 A대표팀에서도 활약했었다.] * CONCACAF *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25]] [[디에고 레예스]]''' *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25]] 하비에르 아퀴노''' *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25]] [[카를로스 살세도]]''' *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25]] 우고 아얄라''' *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25]] 헤수스 두에냐스''' *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25]] 위르겐 담 *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25]] [[카를로스 살시도]] *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25]] 루이스 로드리게스 * CONMEBOL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5]] 하파엘 카리오카[* 2007년 U-20 대표팀 경력이 있다.]'''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25]] [[기도 피사로]]'''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25]] [[나우엘 구스만]] ''' * '''[[파일:에콰도르 국기.svg|width=25]] 호르단 시에라''' * '''[[파일:우루과이 국기.svg|width=25]] 니코 로페즈'''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5]] 하파엘 소비스[* 2005 FIFA 청소년 월드컵에서 대한민국을 상대로 골을 넣었던 이력이 있다.]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5]] [[안세우무 벤드레초프스키 주니오르]][* 2010년 수원 삼성에서 반시즌 뛴 경력이 있다.] * [[파일:우루과이 국기.svg|width=25]] [[에지디오 아레발로]] * [[파일:칠레 국기.svg|width=25]] [[에두아르도 바르가스]] * [[파일:에콰도르 국기.svg|width=25]] [[에네르 발렌시아]]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25]] 루카스 로보스 * [[파일:우루과이 국기.svg|width=25]] [[세바스티안 아브레우]] * CAF * [[파일:알제리 국기.svg|width=25]] [[앙디 델로]] [[분류:티그레스 UAN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