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국 주지사)] ---- ||<-2>
'''{{{#ffea0f 제39대 오리건 주지사[br]{{{+1 티나 코텍}}}[br]Tina Kotek}}}'''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Tina_Kotek.jpg|width=100%]]}}} || ||<|2> '''출생''' ||[[1966년]] [[9월 30일]] ([age(1966-09-30)]세) ||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 요크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 배우자''' ||에이미 윌슨 || || '''학력''' ||[[조지타운 대학교]] {{{-1 (중퇴)}}} [br] [[오리건 대학교]] {{{-1 (종교학 / [[학사]])}}} [br] [[워싱턴 대학교]] {{{-1 (국제관계학 / [[석사]])}}} || || '''정당''' ||[include(틀:민주당(미국))] || || '''종교''' ||[[개신교]] ([[성공회]]) || || '''경력''' ||오리건 주하원의원 {{{-2 (2007~2022 / 44구)}}}[br]오리건 주하원 임시의장 {{{-2 (2011)}}}[br] 오리건 주하원 민주당 원내대표 {{{-2 (2011~2013)}}} [br]제67대 오리건 주하원의장 {{{-2 (2013~2022)}}}[br]'''제39대 오리건 주지사 {{{-2 (2023~)}}}''' || || '''서명'''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파일:TinaKotekSignature.png|width=150]]}}}||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정치인으로 [[오리건]]의 주지사이다. [[2022년 미국 주지사 선거]]를 통해 당선되었으며 [[매사추세츠]] 주지사로 함께 당선된 [[마우라 힐리]]와 함께 미국 역사상 최초의 [[레즈비언]] 주지사이다. == 생애 == 부계로 [[체코계 미국인]], 모계로 [[슬로베니아계 미국인]]이다. [[펜실베이니아]] 주에서 태어나 학교를 다닌 뒤 [[조지타운 대학교]]에 입학했으나 중퇴하고 수중작업 다이버와 여행사 직원으로 일하면서 사회인 생활을 시작했다. 하지만 [[1987년]] 오리건 주로 이주해 대학교를 졸업한 후 아예 오리건에 정착해 사회복지 및 아동복지 계열에서 일했다. 주로 푸드뱅크 관련 기아 구호에 힘쓴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정치 입문 이후 === [[2004년]] 오리건 주하원 43구에 도전장을 내밀면서 정계에 본격적으로 입문했지만, 이때는 민주당 경선에서 패했다. 하지만 2년 뒤 44구에 도전한 경선에서는 3자 구도에서 승리를 거두면서 본선에 진출, 80%에 육박하는 득표율로 당선되어 주하원에 입성했다. [[2009년]]에 주하원 민주당 원내총무로 선출된 뒤 2011년에는 원내대표로 승격했다. 주하원이 30:30으로 분열되면서 공화당 앤디 올슨과 함께 공동 임시의장에 오르기도 했으나, 1년 뒤에는 민주당이 확실히 다수당이 되면서 드디어 단독으로 주하원의장에 선출되었다. 이후 주지사 선거 출마를 위해 사임한 2022년 1월까지 주하원의장 임기를 9년간 유지했는데, 역대 오리건 주하원의장 중 최장 임기다.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미합중국 연방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선거구'''}}}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2006 || 미국 오리건 주하원의원 선거 ||<|8> [[오리건]] 44구 ||<|9> [include(틀:민주당(미국))] || '''13,937 (78.82%)''' ||<|9> '''당선 (1위)''' || '''초선''' || || 2008 || 미국 오리건 주하원의원 선거 || '''20,044 (97.61%)''' || '''재선''' || || 2010 || 미국 오리건 주하원의원 선거 || '''16,224 (80.87%)''' || '''3선''' || || 2012 || 미국 오리건 주하원의원 선거 || '''23,235 (86.32%)''' || '''4선''' || || 2014 || 미국 오리건 주하원의원 선거 || '''19,760 (85.53%)''' || '''5선''' || || 2016 || 미국 오리건 주하원의원 선거 || '''23,288 (79.67%)''' || '''6선''' || || 2018 || 미국 오리건 주하원의원 선거 || '''27,194 (89.07%)''' || '''7선''' || || 2020 || 미국 오리건 주하원의원 선거 || '''32,465 (87.19%)''' || '''8선''' || || 2022 || [[2022년 미국 주지사 선거|미국 주지사 선거]] || 오리건 || '''917,074 (46.96%)''' || '''초선''' || [[분류:미국의 여성 정치인]][[분류:1966년 출생]][[분류:요크(펜실베이니아) 출신 인물]][[분류:체코계 미국인]][[분류:슬로베니아계 미국인]][[분류:미국의 레즈비언]][[분류:오리건 대학교 출신]][[분류:조지타운 대학교 출신]][[분류:워싱턴 대학교 출신]][[분류:미국의 성공회 신자]][[분류:오리건 주지사]][[분류:미국 민주당 소속]][[분류:성소수자 정치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