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자호르스키 궤레이로.jpg|width=100%]]}}} || || '''이름''' ||티파니 아나스타샤 자호르스키[br]Тиффани Анастасия Загорски[br]Tiffany Anastasia Zahorski||조너선 프란치스코비치 궤레이로[br]Джонатан Францискович Гурейро[br]Jonathan Franciscovich Guerreiro|| ||<|2> '''출생''' ||[[1994년]] [[8월 16일]] ([age(1994-08-16)]세)||[[1991년]] [[4월 3일]] ([age(1991-04-03)]세)|| ||[[영국]] [[런던]]||[[호주]] [[시드니]]|| || '''신체''' ||175cm||187cm|| || '''이전 파트너''' ||알렉시스 미어흐[br]폴 피에헤||예카테리나 푸시카시[br]예카테리나 랴자노바[br]다리아 판필로바[br]키아 필즈||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2 (1994~2013)}}}[br][include(틀:국기, 국명=프랑스)] {{{-2 (2013~2016)[* [[프랑스]] 대표로 국제대회에 출전한 것은 [[2009년]]부터이나, 시민권을 얻은 것은 [[2013년]]이다.]}}}[br][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2 (2016~)[* [[러시아]] 대표로 국제대회에 출전한 것은 [[2015년]]부터이나, 시민권을 얻은 것은 [[2016년]]이다.]}}}||[include(틀:국기, 국명=호주)] |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 '''링크''' ||[[https://instagram.com/tiffytaz|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https://instagram.com/jonathan_guerreiro91|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종목''' ||<-2>[[피겨 스케이팅]]|| [목차] [clearfix] == 개요 == [[러시아]]의 [[피겨 스케이팅]] 아이스 댄스 선수이다. === 티파니 자호르스키 === 티파니는 10살이 될 때까지 [[런던]]과 [[카디프]]에서 아버지에게 스케이팅을 배웠다. [[영국]]에서 다수의 노비스 솔로 댄스 대회에 참가했다. [[2007년]] [[9월]]부터 [[프랑스]]에서 훈련하기 시작했고 [[2008년]] 첫번째 파트너인 폴 피에헤와 팀을 결성했다. 그러나 단 한번의 대회를 치른 후, 피에헤는 부상으로 은퇴했다. [[2009년]]부터 두번째 파트너 알렉시스 미어흐와 팀을 이뤄 [[2011 피겨 스케이팅 주니어 세계선수권 대회|2011 주니어 세계선수권]] 4위, 2012 프랑스선수권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티파니는 [[2013년]] [[6월 19일]]에 [[프랑스]] 시민권을 얻었고, [[2016년]] [[4월]]에 [[러시아]] 시민권을 얻었다. === 조너선 궤레이로 === 조너선은 前 [[소련]]의 아이스댄스 선수였던 어머니와 [[포르투갈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났다. [[2005년]] 가족과 함께 [[모스크바]]로 이사하기 전까지 [[호주]]에서 자랐다. 그는 [[러시아]]-[[호주]] [[이중국적]]을 가지고 있다. 주니어 시절, 이전 파트너들과 함께 2개의 [[피겨 스케이팅 주니어 세계선수권 대회|주니어 세계선수권]] 메달을 획득했다. 예카테리나 랴자노바와 [[2009 피겨 스케이팅 주니어 세계선수권 대회|2009년 대회]] 동메달을, 예카테리나 푸시카시와 [[2011 피겨 스케이팅 주니어 세계선수권 대회|2011년 대회]] 은메달을 획득했다. == 선수 경력 == === 2014-15 시즌 === [[2014년]] [[6월]], [[마야 우소바 / 알렉산더 줄린|알렉산더 줄린]]의 지도로 티파니와 조너선은 함께 훈련을 시작했다. [[7월]], [[러시아]] 연방은 [[프랑스]] 스케이팅 연맹(FFSG)에게 티파니를 풀어줄 것을 요청했다. [[2015 피겨 스케이팅 러시아선수권 대회|2015 러시아선수권]]에서 5위를 했다. === 2015-16 시즌 === [[2015년]] [[10월]], FFSG는 티파니 자호르스키가 [[프랑스]] 국가대표로 마지막 대회를 치른 지 3년 9개월 만에 방출하여 자호르스키 / 궤레이로가 [[러시아]] 국가대표로 국제대회에 출전할 수 있도록 했다. 2015 산타 클로스 컵에서 우승하며 첫 국제대회를 치렀다. [[2016 피겨 스케이팅 러시아선수권 대회|2016 러시아선수권]]에서 5위를 했다. === 2016-17 시즌 === [[2016 CS 온드레이 네펠라 메모리얼]]과 [[2016 CS 핀란디아 트로피]]에서 모두 3위를 했다. [[2016 로스텔레콤 컵]]으로 그랑프리 시리즈에 데뷔하여 5위를 기록했다. [[2016 CS 바르샤바 컵]]에서 2위를 차지하며 세 번째 [[피겨 스케이팅 챌린저 시리즈|챌린저 시리즈]] 메달을 획득했다. [[2017 피겨 스케이팅 러시아선수권 대회|2017 러시아선수권]]에서 5위를 했다. 시즌이 끝난 후, 코치를 옐레나 쿠스타로바와 스베틀라나 알렉세예바로 교체했다. === 2017-18 시즌 === ||
[[파일:2017 CS 아이스 스타 아이스댄스 포디움.jpg|width=300]] || [[파일:2018 러시아선수권 아이스댄스 포디움.jpg|width=300]] || || [[2017 CS 아이스 스타]] || [[2018 피겨 스케이팅 러시아선수권 대회|2018 러시아선수권]] || [[2017 CS 아이스 스타]]에서 2위를 차지하며 시즌을 시작했다. 그랑프리 [[2017 컵 오브 차이나]]에서는 4위, [[2017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는 6위를 기록했다. [[2017 CS 골든 스핀 오브 자그레브]]에서도 6위를 했다. [[2018 피겨 스케이팅 러시아선수권 대회|2018 러시아선수권]]에서 3위를 하고, [[2018 피겨 스케이팅 유럽선수권 대회|2018 유럽선수권]]에서 6위를 기록하며 올림픽 선발에서 밀리는 듯 했으나, [[1월 23일]] [[러시아]] 피겨 스케이팅 연맹에서 [[알렉산드라 스테파노바 / 이반 부킨|이반 부킨]]이 금지약물 양성 반응으로 인해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 초대되지 못한다고 발표함으로써 자호르스키 / 궤레이로 조가 대신 출전하게 되었다. [[2018 평창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아이스 댄스|2018 평창 동계올림픽]]은 개인전만 출전하였고 13위를 기록했다. [[2018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2018 세계선수권]]에서는 개인 최고 점수인 180.42점으로 8위에 올랐다. === 2018-19 시즌 === ||
[[파일:2018 스케이트 아메리카 아이스댄스 포디움.jpg|width=300]] || [[파일:2018 NHK 트로피 아이스댄스 포디움.jpg|width=305]] || || [[2018 스케이트 아메리카]] || [[2018 NHK 트로피]] || [[2018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 첫 그랑프리 메달인 동메달을 획득하며 시즌을 시작했다. 두 번째 그랑프리 [[2018 NHK 트로피]]에서는 개인 최고점수인 183.05점으로 은메달을 획득하며, 처음으로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했다. [[2018-19 피겨 스케이팅 그랑프리 파이널|2018-19 그랑프리 파이널]]에서는 5위를 기록했다. [[2019 피겨 스케이팅 러시아선수권 대회|2019 러시아선수권]]에서는 7위에 머물러 후반기 챔피언십 대회에 출전하지 못했다. === 2019-20 시즌 === [[2019 스케이트 아메리카]]와 [[2019 엔테르나시오노 드 프랑스]]에서 모두 5위를 기록했다. ||
[[파일:2020 러시아선수권 아이스댄스 포디움.jpg|width=100%]] || || [[2020 피겨 스케이팅 러시아선수권 대회|2020 러시아선수권]] || [[2020 피겨 스케이팅 러시아선수권 대회|2020 러시아선수권]]에서 3위를 차지하며 포디움에 복귀했다. [[2020 피겨 스케이팅 유럽선수권 대회|2020 유럽선수권]]에서는 6위를 기록했다. === 2020-21 시즌 === ||
[[파일:2020 로스텔레콤 컵 아이스 댄스 포디움.jpg|width=300]] || [[파일:2021 러시아선수권 아이스 댄스 포디움.png|width=378]] || || [[2020 로스텔레콤 컵]] || [[2021 피겨 스케이팅 러시아선수권 대회|2021 러시아선수권]] || [[2020 로스텔레콤 컵]]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2021 피겨 스케이팅 러시아선수권 대회|2021 러시아선수권]]에서도 작년보다 한 단계 높은 은메달을 땄다. [[2021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2021 세계선수권]]에서는 10위를 했다. === 2021-22 시즌 === [[2021 스케이트 아메리카]]에 배정되었으나 자호르스키가 입원했기 때문에 기권했다. [[2021 엔테르나시오노 드 프랑스]]도 기권했다. [[2022 피겨 스케이팅 러시아선수권 대회|2022 러시아선수권]]으로 복귀하여, 리듬 댄스에서 신예 [[다이애나 데이비스 / 글렙 스몰킨]] 조에 4.60점 뒤진 4위를 기록하였고 [[상트페테르부르크]]의 관중들로부터 야유를 받았다.[* [[다이애나 데이비스 / 글렙 스몰킨]] 조의 점수가 이번 시즌 폭등하였고 결국 올림픽 선발전에서도 그런 양상이 이어졌다. 자호르스키 / 궤레이로 조의 비교적 낮은 점수에 관중들이 심판들에게 야유를 보낸 것으로 보인다. ] 프리 댄스에서는 수행에 어려움을 겪었고 결국 종합 8위로 떨어졌으며, 자호르스키는 경기를 마치자마자 곧바로 병원으로 이동했다. 이로써 올림픽 대표팀에 선발되지 못하였다. 그 이후 자호르스키의 질병 때문에 2022-23 시즌 모든 대회에 불참했고 2023년 7월, 은퇴를 선언했다. == ISU 공인 최고점수 == ||<-2>
'''ISU 공인 최고점수''' || || '''리듬''' ||75.58([[2021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2021 세계선수권]])|| || '''프리''' ||112.93([[2020 피겨 스케이팅 유럽선수권 대회|2020 유럽선수권]])|| || '''총점''' ||188.45([[2021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2021 세계선수권]])|| == 커리어 == ||<-9>
'''{{{#white 국제대회:시니어}}}''' || || '''대회''' || '''14–15''' || '''15–16''' || '''16–17''' || '''17–18''' || '''18–19''' || '''19–20''' || '''20–21''' || '''21–22''' || ||올림픽|| || || || 13th || || || || || ||세계선수권|| || || || 8th || || C || 10th || || ||유럽선수권|| || || || 6th || || 6th || || || ||GP 파이널|| || || || || 5th || || || || ||GP 엔테르나시오노 드 프랑스|| || || || || || 5th || || WD || ||GP NHK 트로피|| || || || || 2nd || || || || ||GP 스케이트 아메리카|| || || || 6th || 3rd || 5th || || WD || ||GP 컵 오브 차이나|| || || || 4th || || || || || ||GP 로스텔레콤 컵|| || || 5th || || || || 2nd || || ||CS 골든 스핀 오브 자그레브|| || || || 6th || || || || || ||CS 아이스 스타|| || || || 2nd || || || || || ||CS 바르샤바 컵|| || || 2nd || || || || || || ||CS 핀란디아 트로피|| || || 3rd || || || || || || ||CS 온드레이 네펠라 메모리얼|| || || 3rd || || || || || || ||바르샤바 컵|| || || || || 1st || || || || ||산타 클로스 컵|| || 1st || || || || || || || ||<-9> '''{{{#white 국내대회}}}''' || ||러시아선수권|| 5th || 5th || 5th || 3rd || 7th || 3rd || 2nd || 8th || ||러시안 컵 파이널|| || 1st || 1st || || 1st || || || || ||러시안 컵 3차|| || || || || || || 1st || || ||러시안 컵 4차|| || 1st || || || || || || || ||러시안 컵 5차|| 1st || 1st || || || || || || || ||<-9> '''{{{#white 단체전}}}''' || ||채널 1 트로피|| || || || || || || 1st T[br]2nd P || || ||<-9> GP=그랑프리, CS=챌린저 시리즈, WD=기권, C=취소, T=팀 결과, P=개인 결과 || == 기타 == * 티파니 자호르스키의 친할아버지 예르지 자호르스키(Jerzy Zahorski)는 [[러시아]] [[모스크바]] 출신으로,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영국]]으로 망명했다. 그의 여동생 엘즈비에타 자호르스카(Elżbieta Zahorska)는 독일군의 포로가 되어 총살당했는데, “[[폴란드]]는 아직 죽지 않았다” 라는 말을 남겼다고 한다.[* ‘자호르스키’라는 이름은 폴란드계 이름인 것으로 추측된다.] * 자호르스키는 [[2013년]] [[12월 11일]]에 개봉된 장 폴 살로메 감독의 [[프랑스]] 코미디 탐정 영화 '제 파이스 르 모르(Je fais le mort)'에서 스케이트 선수 바네사 역할을 맡았다. * 자호르스키는 [[영어]], [[프랑스어]]와 [[러시아어]]를 구사할 수 있다. [각주] [[분류:러시아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분류:런던 출신 인물]][[분류:시드니 출신 인물]][[분류:러시아로 귀화한 인물]][[분류:포르투갈계 인물]][[분류:1991년 출생]][[분류:1994년 출생]][[분류:2018 평창 동계올림픽 참가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