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엘더스크롤 시리즈 계보.png|width=100%]]}}}|| || {{{#000,#fff {{{-1 엘더스크롤 시리즈의 신과 종족별 계보([[엘더스크롤 시리즈#종족|{{{#000,#fff 참조}}}]]).}}}}}} || [목차] [clearfix] == 개요 == Padomay. Padhome 혹은 Fadomai로도 쓰인다. 창조를 낳은 태고의 두 힘 또는 두 영역 또는 두 개념 중 하나이다. [[여명의 시대(엘더스크롤 시리즈)|여명의 시대]]에 정체(Stasis)와 질서(Order)의 [[아누(엘더스크롤 시리즈)|아누]]와 함께 세상을 창조한 두 힘 중 하나로, 변화(Change)와 혼돈(Chaos)을 상징한다. 사실상 엘더 스크롤 세계의 [[신(엘더스크롤 시리즈)|신적 존재]]다. The Annotated Anuad[* [[엘더스크롤 3: 모로윈드]]에서 처음 등장한 책. 오블리비언과 스카이림에서는 A Children's Anuad, 온라인에서는 The Anuad Paraphrased로 제목이 바뀌었다. "A Children's Anuad"라는 제목이 암시하듯, 어린이들이 이해하기 쉽게 의인화하여 풀어 쓴 글이다.]에서는, 파도메이는 정체와 질서를 상징하는 그의 형제 [[아누(엘더스크롤 시리즈)|아누]]와 함께 [[공허(엘더스크롤 시리즈)|공허]]를 거닐었고 이로써 시간(Time)이 시작되었다고 묘사한다. 빛과 어둠의 상호작용으로 탄생한, [[오르비스(엘더스크롤 시리즈)|오르비스]]의 의인화된 형태인 너(Nir)에게 파도메이는 매혹되었으나 그녀는 오로지 아누만을 사랑했고, 결국 그는 그녀를 죽이기에 이르렀다. 너가 죽기 직전 아누와의 사이에서 낳았던 자식 창조(Creation) 또한 파도메이에게 산산조각으로 부서졌으나 아누는 잔해를 모아 그로부터 지키려 했고, 치열한 싸움 끝에 두 형제는 함께 시간의 바깥으로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파도메이의 피는 [[데이드라]]가 되었고, 파도메이와 아누의 피가 섞인 것은 [[에이드라]]가 되었으며 그 때문에 에이드라는 선과 악 모두를 아우르게 되었다. 거의 모든 신화 속에서 최초의 [[엣아다|신들]]은 아누와 파도메이의 상호작용에서 비롯되었다. 그의 "아들" [[로칸(엘더스크롤 시리즈)|로칸]]과 데이드라는 파도메익, 즉 변화의 성질을 지녔다. [[데이드릭 프린스|파도메익의 신들]]은 인간에게 보통 악한 것으로 여겨지지만, The Light and the Dark와 같은 기록에서는 아누와 파도메이는 완전한 대조를 이루는 동시에 떼려야 뗄 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이므로 그러한 표현 자체가 부적절한 것임을 지적하고 있다. 많은 문화권에서 두 힘은 다양한 이름을 가지며 서로 연결되어 있는데, 대표적으로 [[레드가드]]는 둘을 하나의 존재, 만물의 신으로 믿고 있다. Commentaries on the Mysterium Xarxes Book One에서 [[맨카 캐모런]]이 언급하는 "파도메이의 바로 그 눈"은 다름 아닌 [[오블리비언 게이트]]를 칭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어둠(the Darkness)으로 불리기도 하며, [[시디스]]가 파도메이의 의인화된 화신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파도메이가 시디스를 만들고, 시디스가 로칸과 데이드라를 만들었다고 보는 시각에서는 아누가 [[아누이엘]]을 만들고, 아누이엘이 아카토쉬와 에이드라를 만들었다는 식으로 서로 대립항을 만들기도 한다. 그러나 [[시디스]]의 존재감을 강조하는 세력들은 파도메이와 [[시디스]]를 같은 존재로 취급하는 경우도 있다. [[다크 브라더후드]]가 대표적. 여러모로 [[그리스 로마 신화]]의 [[카오스]]와 비슷하다. 다만 엄밀히 말하자면 카오스는 파도메이와 [[공허(엘더스크롤 시리즈)|공허]]의 특징이 섞여있다. [[분류:엘더스크롤 시리즈 로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