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일반 함정]]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일반 함정 카드. == 설명 == === 원작 ===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파동 재생, 일어판명칭=波動再生(はどうさいせい), 영어판명칭=Reanimation Wave, 효과1=상대 싱크로 몬스터의 직접 공격 선언시\, 그 공격 몬스터와 같은 레벨을 가진 싱크로 몬스터 1장을 자신의 묘지에서 선택하고 발동한다. 그때의 공격에 의해서 발생하는 자신에게로의 전투 데미지는 절반이 된다. 그 데미지 스텝 종료시\, 선택한 싱크로 몬스터를 자신의 묘지에서 특수 소환한다.)] [[유희왕 5D's]] [[유희왕 5D's/WRGP 편|WRGP 편]] 101화에서 [[팀 유니콘]]의 장이 [[후도 유세이]]와의 듀얼 중 사용. [[정크 디스트로이어]]에게 받은 전투 데미지를 반감시키고 [[라이트닝 트라이콘]]을 소생시켰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 [[파일:波動再生.jpg|width=100%]] || [[파일:ReanimationWave-DREV-EN-R-UE.png|width=100%]] || || 내수판 || 수출판 ||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파동 재생, 일어판명칭=波動再生(はどうさいせい), 영어판명칭=Reanimation Wave, 효과1=상대 몬스터의 직접 공격 선언시\, 그 공격 몬스터의 레벨 이하의 레벨을 가진 싱크로 몬스터 1장을 자신의 묘지에서 선택하고 발동한다. 그때의 공격에 의해서 발생하는 자신에게로의 전투 데미지는 절반이 된다. 그 데미지 스텝 종료시\, 선택한 싱크로 몬스터를 자신의 묘지에서 특수 소환한다.)] [[위키드 리본]], [[로스트 스타 디센트]]와는 달리 디메리트가 매겨지지 않아 완전 소생이 가능하다. 다만 완전 소생이 가능한 카드라면 [[전선복귀]]도 있고, 레벨이 한정되어 있으니 발동 조건이 좀 까다롭다. 레벨이 없는 엑시즈나 링크 몬스터는 대응하지 않는 것도 뼈아프다. 사용하겠다면 초반부터 [[A·O·J 카타스톨]] 같은 카드를 싱크로 소환해두는 편이 좋을 것이다. 하급 몬스터에는 대응하지 않지만 어둠 속성 몬스터가 없으면 후속을 막을 수 있고, 다음 턴 반격으로 이어갈 수 있다. 파괴되었을 때의 효과를 가진 [[전생룡 삼사라]]나 [[선풍의 보텍스]]도 좋다. 하급 몬스터의 직접 공격에도 발동할 수 있다면 [[칠흑의 줌발트]]나 [[고신 하스톨]] 정도를 준비해줘도 좋다. [[포뮬러 싱크론]]은 다음 턴에 싱크로 소환해서 반격을 노릴 수도 있다. 당연하지만 [[소생 제한 룰]]에 충족되지 않는 싱크로 몬스터는 소생시킬 수 없다. 일러스트는 [[소생 마왕 하데스]]가 [[언데드 스컬 데몬]]을 되살리는 모습. ||수록 시리즈 || ||<(> 2010-04-17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REV-JP067 | '''[[듀얼리스트의 혁명|DUELIST REVOLUTIO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10-07-17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DREV-KR067 | '''[[듀얼리스트의 혁명]]'''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10-08-17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REV-EN067 | '''[[듀얼리스트의 혁명|DUELIST REVOLUTIO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위키드 리본, version=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