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프랑스의 세계유산)] ---- ||<-3><#fff> {{{#!wiki style="margin: -6px -11px; padding: 7px 11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50ece, #5d16c6, #5d16c6, #650ece)" {{{+1 {{{#fff '''Beaux-Arts de Paris'''}}}}}}[br]{{{#fff '''파리 보자르'''}}}}}} || ||<-3> {{{#!wiki style="margin: 10px 0px 10px" [[파일:파리 보자르 로고.png|width=50%]]}}} || ||<-3><#fb5201> {{{#white '''대학 정보'''}}} || ||<|3> '''역사''' || '''설립''' ||[[1648년]]: 왕립회화조각학교 개교 [[1793년]]: [[프랑스 혁명]]으로 강제 폐교 [[1817년]]: 아카데미 데 보자르 재개교 [[1863년]]: 에콜 데 보자르 개편 || || '''설립자''' ||[[루이 14세]] [[쥘 마자랭]] [[장바티스트 콜베르]] 샤를 르브룅 외 21명 || || '''개교''' ||[[1817년]][* 학교 역사의 시발점은 1648년에 개교한 왕립회화조각학교로 보지만 실질적인 시작은 1817년에 개교한 아카데미 데 보자르로 여긴다.] {{{-1 ([age(1817-01-01)]주년)}}} || ||<-2>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프랑스)] || ||<|2> '''소재지''' || '''파리[br]캠퍼스''' ||[include(틀:국기, 국명=프랑스)] [[파리(프랑스)|파리]][br]{{{-2 (14, rue Bonaparte, 75006 Paris, FR)}}} || || '''생투앵[br]캠퍼스''' ||[include(틀:국기, 국명=프랑스)] [[파리(프랑스)|파리]][br]{{{-2 (126, rue des Rosiers, 93400 Saint-Ouen, FR)}}} || ||<-2> '''학장''' ||알렉시아 파브르[br]{{{-2 (Alexia Fabre)}}} || ||<-2> '''부학장''' ||엘렌 오랭[br]{{{-2 (Hélène Orain)}}} || ||<-2> '''재학생''' ||550명 ^^({{{-1 2021/22}}})^^ || ||<-2> '''합격률''' ||10% ^^({{{-1 2021/22}}})^^ || ||<-3><#650ece> '''링크''' || ||<-3> {{{#fb5201,#whit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웹사이트''' ||[[https://www.beauxartsparis.fr/|[[파일:파리 보자르 로고.png|width=22]] {{{#650ece,#fb5201 '''공식 홈페이지'''}}}]] || ||<|5> '''소셜 미디어''' ||[[https://www.linkedin.com/school/beauxartsparis/|[[파일:LinkedIn 아이콘.svg|width=22]] {{{#650ece,#fb5201 '''링크드인'''}}}]] || ||[[https://www.facebook.com/beauxartsparis|[[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2]] {{{#650ece,#fb5201 '''페이스북'''}}}]] || ||[[https://www.instagram.com/beauxartspari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2]] {{{#650ece,#fb5201 '''인스타그램'''}}}]]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beauxartsparis, 크기=22)] {{{#650ece,#fb5201 '''트위터'''}}} || ||[[https://www.youtube.com/channel/UCEARNorNgk2IeDcGjtmGwm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650ece,#fb5201 '''유튜브'''}}}]] || }}}}}}}}}}}} || ||<-3><#650ece> '''교표'''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br][[파일:파리 보자르 교표.png|width=77%]][br][br]}}} || ||<-3><#650ece> '''위치''' || ||<-3> {{{#fb5201,#whit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hite '''▼ 파리 캠퍼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Beaux-Arts de Paris, 너비=100%, 높이=100%)]}}} || || {{{#white '''▼ 생투앵 캠퍼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126 rue des Rosiers 93400 Saint-Ouen, 너비=100%, 높이=100%)]}}}|| }}}}}}}}}}}} || [include(틀:유네스코 세계유산/파리의 센 강변)] [목차] [clearfix] == 개요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보자르.png|width=100%]]}}} || ||<-2> {{{#white '''파리 보자르 소개 영상'''}}} || ||<-2> {{{#!wiki style="padding: -5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margin: 0 -10px" {{{#000,#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NSQPZIxvcY8, height=280)]}}} || }}}}}}}}} || 파리 보자르('''{{{#650ece,#fb5201 Beaux-Arts de Paris}}}''')는 [[프랑스]] [[파리(프랑스)|파리]]에 위치한 [[PSL 대학교]] 소속 순수미술 전문 명문 [[그랑제콜]]이며 프랑스의 고등미술학교를 총칭하는 이름인 에콜 데 보자르의 대명사이다[* 한국에서는 종종 '보자르'라고 약칭하는 에콜 데 보자르(École de Beaux Arts)는 '종합예술학교'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는 프랑스 문화부에서 운영하는 '고등미술학교'를 가리킨다. 즉, 에콜 데 보자르는 특정 학교의 명칭이 아니라 전국 각지에 분포되어 있는 고등미술학교들을 하나로 지칭하는 이름이다. 프랑스 곳곳에 다양한 교명의 에콜 데 보자르가 있지만, 그중 제일 유명한 곳은 바로 파리 보자르이다. 실제로 인터넷에서 에콜 데 보자르 또는 고등미술학교를 검색하면 보통 파리 보자르가 맨 먼저 나온다.]. 단연 프랑스 최고의 미술대학들 중 하나로 손꼽히며 그중 순수미술 분야에서는 세계 최상위권 명문 학교로 평가받는다. [[루이 14세]]의 명령으로 1648년에 설립된 왕립회화조각학교에서 출발해 미술계 거장들을 배출함으로써 그야말로 프랑스 미술사를 써 내려간 유서 깊은 곳이며 현대에 이르러서도 네임 밸류, 브랜드, 대학 평판, 학생의 실력 수준 등 여러 방면에서 높은 명성을 유지하고 있는 미술대학들 중 하나이다. == 역사 == === 왕립회화조각학교 === 왕립회화조각학교(Académie royale de Peinture et de Sculpture)는 1648년 [[프랑스 왕국]] [[파리(프랑스)|파리]]에 세워진 미술 학교이다. 왕립회화조각학교가 설립되는 17세기의 프랑스 미술계는 여전히 [[중세]] 시대의 [[길드]] 방식으로 운영되었는데 일부 미술가들은 길드가 해외 미술가들과의 교류를 제한하고 소속 미술가들의 예술 활동을 철저히 통제하는 이러한 폐쇄적인 시스템에 불만을 느끼고 있었다. 그때 전도유망한 젊은 화가 샤를 르브룅이 길드의 속박으로부터 벗어나 자유롭게 미술을 배울 수 있는 학교를 설립하기로 하고, 그는 자신의 친구들인 루이와 앙리 테스틀랭 형제와 함께 학교 설립 준비를 착수했다. 샤를 르브룅과 테스틀랭 형제의 계획이 프랑스 미술계 곳곳에 퍼지게 되고 많은 미술가들이 이들에 동조했다. 그리고 그 소식은 궁정 관료 마르탱 드 샤르무아에게까지 닿았고, 샤르무아는 이들에게 힘을 실어 주고자 자신의 인맥으로 왕실 관계자들의 후원을 받고 있는 미술가들을 결집해 방대한 양의 학교 설립 신청서를 작성했다. 샤를 르브룅의 후원자인 프랑스 왕국의 국새 상서 겸 대법관 피에르 세귀에의 조력으로 샤르무아의 신청서는 1648년 1월에 곧바로 [[루이 14세]]와 그의 [[섭정]] 오스트리아의 아나, 그리고 왕실 의회로 전달되었다. 그리고 같은 달 신청서는 받아들여졌고 루이 14세의 명령에 따라 당시 [[추기경]]이자 [[정치인]]이었던 [[쥘 마자랭]]과 22명의 창립 멤버들의 주도로 설립되었다. 1648년 2월에는 창립 멤버 22명 중에서 12명의 앙시앵(ancien, 원로)들을 뽑아 이들이 학교 운영 및 교육을 맡았고 샤르무아는 학장(chef)으로, 마자랭은 수호자(protecteur)[* 학교를 공식적으로 후원하는 일종의 명예 총장이다.]로 임명되었다. 1654년 12월 24일에는 교칙이 개정되어 앙시앵 직책은 교수(professeur)라는 명칭으로 바뀌었고, 학장 직책은 1명의 총장(chancelier)과 4명의 부총장(recteur)으로 나뉘어졌다. 왕립회화조각학교는 프랑스 왕실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음으로써 곧바로 프랑스의 뛰어난 엘리트 미술가들을 양성하는 교육 기관으로 발전했다. 학생들은 학교 특유의 경쟁적인 교육을 이수해야 했는데 종종 경합을 빙자한 수차례의 시험들을 거쳐야만 했다. 최종적으로 최우수 성적을 받은 학생은 로마 대상(Grand Prix de Rome)을 받았고, 수상자는 당시 유럽 최고의 미술 부흥 도시인 [[로마]]로 건너가 그곳에서 약 3년에서 5년 간 생활할 수 있는 비용을 지급받으면서 미술가로서의 인맥과 지위를 쌓아 올릴 수 있었다. 최우수 학생이 아니더라도 학생들은 자신들의 작품들이 왕실에서 주관하는 공식 전시회에 공개되는 영광을 누렸다. 덕분에 졸업생들은 왕실 내지 귀족들의 후원을 자연스레 받게 되어 무리없는 예술 활동을 진전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왕립회화조각학교는 1793년 [[프랑스 혁명]]으로 인해 [[앙시앵 레짐]]의 잔재로 취급되어 강제 폐교되었다. 로마 대상도 마찬가지로 같은 해에 폐지되었으나 이내 1797년에 부활했다. 그리고 혁명 이후 복귀한 [[부르봉 왕조]]의 정책에 따라 1817년 아카데미 데 보자르(Académie des Beaux-Arts)라는 이름으로 1671년에 개교한 왕립건축학교와 통합되었다. === 아카데미 데 보자르 === 1814년 프랑스 혁명으로 추방된 [[부르봉 왕조]]가 복귀해 [[부르봉 왕정복고|왕정을 다시 세웠고]], 당시 국왕 [[루이 18세]]는 혁명으로 폐교된 미술 학교를 다시 설립하라는 명령을 내려 1817년 왕립회화조각학교는 1671년에 개교한 왕립건축학교와 통합이 되어 아카데미 데 보자르(Académie des Beaux-Arts)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탄생했다. 또한 기존의 회화 분야 학생들에게만 한정되었던 로마 대상 수상자도 건축 분야와 판화 분야까지 확장되었다. 대상을 수여받은 학생은 로마의 빌라 메디치에서 5년 간 유학 생활을 거친 후 성공적인 미술가 및 건축가로 자리잡을 수 있었다. === 에콜 데 보자르 === 그동안 왕실의 후견에 의해 운영되었던 아카데미 데 보자르는 1863년 11월에 발효된 [[나폴레옹 3세]]의 칙령에 따라 학교 명칭이 에콜 데 보자르(École des Beaux-Arts)로 바뀌고 자주적인 5년제 고등교육기관으로 전환되었다. 1870년에는 교명이 국립전문미술학교(École nationale et spéciale des Beaux-Arts)로 변경되었다. 1968년 전통주의 타파를 내세운 [[68운동]]의 일환으로 당시 문화부 장관 [[앙드레 말로]]의 주도로 대대적인 개혁이 실시되었다. 우선 최우수 학생에게 수여하던 로마 대상을 전면 폐지했고, 국립전문미술학교의 건축학부를 5개의 국립고등건축학교들로 분리했다. 1984년 에콜 데 보자르는 국립고등미술학교(École nationale supérieure des Beaux-Arts, 약칭 ENSBA)라는 새로운 이름하에 프랑스 정부 문화통신부 소관으로 이전되었다. 현재는 파리 보자르(Beaux-Arts de Paris)라는 교명으로 최고 미술 [[그랑제콜]]로서의 명성을 유지하고 있다. == 캠퍼스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NSBA.jpg|width=100%]]}}} || ||<-2> {{{#white '''파리 보자르 캠퍼스 소개 영상'''}}} || ||<-2> {{{#!wiki style="padding: -5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margin: 0 -10px" {{{#000,#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ViruFkD11k, height=280)]}}} || }}}}}}}}} || ||<-2> {{{#white '''파리 보자르 캠퍼스 사진'''}}} || ||<-2> {{{#!wiki style="padding: -5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margin: 0 -10px" {{{#000,#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our-bonaparte-face-palais-etudes.jpg|width=100%]]}}} || ||<#650ece> '''{{{#white 팔레제튀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our-murier-arbre-fontaine-statues-vue-face-jean-baptiste-monteil.jpg|width=100%]]}}} || ||<#650ece> '''{{{#white 쿠르 뒤 뮈리에}}}'''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mphitheatre-honneur-fresque-balcon-moulures-jean-baptiste-monteil.jpg|width=100%]]}}} || ||<#650ece> '''{{{#white 앙피테아트르 도뇌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hapelle-petits-augustins-statues-fresque-jean-baptiste-monteil-01.jpg|width=100%]]}}} || ||<#650ece> '''{{{#white 샤펠 데 프티자귀스탱}}}''' || }}}}}}}}} || 본 캠퍼스는 [[파리(프랑스)|파리]] 생제르맹데프레의 보나파르트가에 위치해 있다. 20,000m²(6,050평) 이상의 면적에 학생들이 자유로이 작업할 수 있는 각종 스튜디오, 세 곳의 원형 극장, 현대 미술에 특화된 도서관, 두 곳의 전시회장 등 다양한 시설들이 구비되어 있다. 학교를 구성하는 대부분은 17세기에서 19세기 사이에 지어진 역사적인 건축물들로서 1793년 왕립회화조각학교가 폐교된 이후로는 박물관, 교회로 사용되었다.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된 때는 프랑스의 건축가 프랑수아 드브레와 그의 제자이자 [[처남]]인 펠릭스 뒤방이 추가 건물들을 설계한 19세기경이었다. 2008년 파리 보자르는 파리 근교의 생투앵이라는 곳에 새로운 캠퍼스를 열었다. 생투앵의 벼룩시장 근방에 위치한 약 1,000m²(302.5평)의 면적에 조각, 모자이크, 주조, 도예 등을 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 출신 인물 == * 귀스타브 모로[* 프랑스의 화가. 대표적인 [[상징주의]] 화가.] * 니콜라 푸생[* 프랑스의 화가. 근대 회화의 시조이자 [[신고전주의]] 회화의 선구자.] * [[발렌티노 가라바니]] * [[알프레드 시슬레]] * [[앙리 마티스]] *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 * [[에드가 드가]] * [[외젠 들라크루아]] * [[위베르 드 지방시]] * [[자크루이 다비드]] * [[장오귀스트도미니크 앵그르]] * 장오노레 프라고나르[* 프랑스의 화가. 대표적인 [[로코코]] 양식의 화가.] * [[클로드 모네]] * 테오도르 제리코[* 프랑스의 화가. [[낭만주의]] 회화의 선구자.] * [[피에르 발망]] == 관련 문서 == * [[그랑제콜]] * [[PSL 대학교]] * [[예술대학]] * [[프랑스/교육]] * [[국외 소재 대학교 일람#프랑스]] * [[유학/국가별 정보#유럽 유학]] * [[외국 유학 장학금]] [[분류:1648년 개교]][[분류:1793년 폐교]][[분류:1817년 개교]][[분류:파리의 대학]][[분류:미술대학]][[분류:그랑제콜]][[분류:PSL 대학교]][[분류:파리의 센 강변]][[분류:세계유산으로 지정된 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