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RCD 마요르카/간략)]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170154_t181_2022_0_003_000.png|width=100%]]}}} || ||<-2> '''{{{#fff704 RCD 마요르카 No. 15}}}''' || ||<-2> '''{{{#fff704 파블로 카르미네 마페오 베세라[br]Pablo Carmine Maffeo Becerra}}}''' || || {{{#fff704 '''생년월일'''}}} ||[[1997년]] [[7월 12일]] ([age(1997-07-12)]세) || || {{{#fff704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아르헨티나)]''' | [include(틀:국기, 국명=스페인)] | [include(틀:국기, 국명=이탈리아)][* [[삼중국적|아버지가 이탈리아 국적, 어머니는 아르헨티나 국적이지만 출생지는 스페인]]이다.] || || {{{#fff704 '''출생지'''}}} ||[[스페인]] [[카탈루냐]] 주 산 조안 데스피 || || {{{#fff704 '''신체 조건'''}}} ||[[키(신체)|키]] 173cm / [[체중]] 66kg || || {{{#fff704 '''포지션'''}}} ||[[라이트백]], [[윙백]][* 왼쪽도 소화 가능하다.] || || {{{#fff704 '''주발'''}}} ||오른발 || || {{{#fff704 '''유스 클럽'''}}} ||레반테 라스 플라나스 (2002~2003)[br][[RCD 에스파뇰]] (2003~2013)[br][[맨체스터 시티 FC]] (2013~2016) || || {{{#fff704 '''소속팀'''}}} ||[[RCD 에스파뇰]] B (2013)[br][[맨체스터 시티 FC]] (2015~2018)[br]→ {{{-1 [[지로나 FC]] (2016 / ^^임대^^)}}}[br]→ {{{-1 [[지로나 FC]] (2017~2018 / ^^임대^^)}}}[br][[VfB 슈투트가르트]] (2018~2022)[br]→ {{{-1 [[지로나 FC]] (2019~2020 / ^^임대^^)}}}[br]→ {{{-1 [[SD 우에스카]] (2020~2021 / ^^임대^^)}}} [br]→ {{{-1 '''[[RCD 마요르카]] (2021~2022 / ^^임대^^)'''}}} [br] '''[[RCD 마요르카]] (2022~ )''' || [목차] [clearfix] == 개요 == [[스페인]] 출신의 아르헨티나 국적 축구선수. 포지션은 라이트 백. 현 소속팀은 [[RCD 마요르카]]이다. == 클럽 경력 == 카탈루냐 지방의 산 조안 데스피에서 태어나 지역 클럽인 레반테 라스 플라나스를 시작으로, [[RCD 에스파뇰]]의 유스팀에 입단해 10년간 뛰었다. 2013년에는 B팀에서 한 경기 뛰기도 했다. === [[맨체스터 시티 FC]] === 2013년 7월 3일, [[마누 가르시아]]와 함께 [[맨체스터 시티 FC]]로 이적했다. 이후 U-21팀인 EDS에서 뛰다가, 2015-16시즌 들어 서서히 1군팀 훈련에 참여하거나 벤치에 앉는 등 기회를 부여받기 시작하다가, 2016년 1월 위성구단인 [[지로나 FC]]로 반시즌동안 임대되었다. 지로나에서는 총 13경기에 출전했다. 2016-17시즌을 앞두고서는 주전 라이트 백인 [[바카리 사냐]]와 [[파블로 사발레타]]의 노쇠화로 기회를 어느정도 부여받을것이란 예측이 많았고, 실제로 프리시즌에서 꾸준히 출전했다. 이후 2016년 8월 24일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와의 [[UEFA 챔피언스리그]] 플레이오프 2차전에서 선발 출전하며 맨시티에서의 첫 프로 출전을 기록했고, 이후 [[EFL 컵]]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전에서도 선발 라이트백으로 출전, 인상적인 경기력을 보여줬다. 현재 사냐와 사발레타 모두 노쇠화로 인해서 확실히 지난시즌보다 못한 기량을 보여주고 있기에, 팬들은 마페오를 중용하는게 좋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다. 실제로 [[아스널 FC|런던의 한 팀]]은 2년 전 주전 라이트백들이 전부 박살나서 [[엑토르 베예린|19살짜리 유스멤버]] 올렸더니 대박낸 사례가 있다.[* 실제로 당시 베예린은 아스널 팬들 아니면 거의 알지 못하던, 유스중에서도 인지도가 낮은편에 속하던 선수였다. 마페오도 크게 다르지 않다. 아니, 오히려 프리시즌이나 EFL 컵 등 '''성인무대에서 보여준건 당시 베예린보다 지금의 마페오가 더 많다!'''] ==== [[지로나 FC]] (임대) ==== 그러나 결국 2016/17시즌 후반기부터 다시한번 [[지로나 FC]]로 임대가게되었다. 한달만에 돌아온 앙헬리뇨와는 다르게 꾸준한 출전 기회를 받고 있고, 다음 시즌에 사발레타와 사냐 둘 중 하나가 떠나게 되면 라이트백 옵션이 될 수 있어 보인다. 하지만 2017년 여름 맨시티가 카일 워커와 다닐루로 라이트백 세대교체를 진행했기 때문에 마페오는 지로나 FC로 또 임대를 떠날듯. 7월 말 기준으로 오피셜 발표는 없지만 지로나의 프리시즌 트레이닝에 참여 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것이 맨시티의 신의 한 수가 되었다.''' 시즌 초 시점에서는 지로나 임대생들 중 유일하게 주전 자리를 잡았고, 시티와의 친선전에서 시티 왼쪽 측면을 털어버리며 MOM을 받는 등 활약하며 기대를 받고 있다. 그리고 [[FC 바르셀로나]] 와의 경기에서 메시를 끈질기게 맨마크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얼마나 메시만을 마크했는지, 경기 사진을 보면 메시 옆엔 꼭 마페오가 보일 정도고, 지로나의 패스맵에선 메시만 맨마크 하느라패스로 받은 볼터치가 거의 없다는 걸 알 수 있다. 하지만 팀은 3:0으로 졌다 [[파일:Girona_passmap.jpg]] 경기 도중, 메시는 마페오에게 맨시티에서 왔냐는 것과 그의 나이를 물었다고 한다. 이에 대해 마페오는, "메시는 정말 훌륭한 선수였다. 90분 동안 따라다녔는데 나쁜 표현이나 행동을 보여주지 않았다. 언제나 그를 목표로 삼을 것" 라는 자신의 경험담을 말했다. 하지만 경기가 끝나고, 마페오가 유니폼을 교환한 선수는 메시가 아닌 [[마르크안드레 테어슈테겐]] 이었는데, 그 이유는 마페오의 친구 중 테어 슈테겐의 팬이 있었고, 친구가 마페오에게 그의 셔츠를 요청해서였다. 임대 종료 후 2018년 5월 14일 [[VfB 슈투트가르트]]로의 이적이 발표되었다. 이적료는 10m 유로이며, 이적료 두배 정도의 바이백 조항이 들어있다. 임대 종료가 가까워지면서 맨시티 팬 커뮤니티 안에선 마페오가 맨시티에 복귀하고 [[다닐루]]를 내보낼지, 혹은 [[다닐루]]를 잔류시키고 마페오를 이적시키거나 다시 임대보낼지에 대해 의견이 분분했는데 결과적으로 맨시티는 후자를 선택했다. 마페오는 [[펩 과르디올라]]와의 상담 뒤에 분데스리가 이적을 결정했다고 하는데, 때마침 마페오의 에이전시 회사도 펩의 형제인 페레 과르디올라가 운영하는 회사라서 이적이 보다 수월하게 진행된 것으로 보인다. === [[VfB 슈투트가르트]] === 13R 진행중인 지금 시점에서 슈투트가르트의 역적 노릇을 하고 있다. 불안한 수비력에 잦은 턴오버[* 마페오의 포지션은 수비수다!]만 보여주며 팀이 강등권 싸움을 하게 만들었다. 결국 시즌이 끝나고 팀은 강등되었다. 결국 다시 [[지로나 FC]]로의 임대가 결정되었다. 이후 우에스카와 마요르카로 임대를 갔고, 마요르카에서 수준급 활약을 해서 완전이적을 한다. === [[RCD 마요르카]] === 2022년 5월 24일 마요르카로 완전이적했다. 이적료는 €3.5M. 계약기간은 2026년까지. 5라운드 레알 마드리드전 프리킥을 얻어냈는데 이 과정에서 골이 나오면서 선제골에 기여했다. 6라운드 알메리아전 전반 24분 [[자우메 코스타]]의 스로인을 [[추미]]가 머리로 클리어링하다가 크게 뒤로 떴는데 이것을 달려가서 헤더로 왼쪽 구석에 꽂아 결승골을 기록했다. 추미가 클리어링한 공이 뒤로 뜬 것 , [[세르히오 아키에메]]가 옆에서 달려와 마페오를 앞질러 마페오가 오프사이드를 피한 것 , 마페오의 위치선정과 깨끗한 러닝 헤더 , 두번의 행운과 마페오의 개인능력이 맞아떨어져 나온 멋진 골이었다. 2023년 7월, [[FC 바르셀로나]]와 [[세비야 FC]]와 링크가 뜨고 있다. == 국가대표 경력 == 스페인에서 태어나고 이탈리아와 아르헨티나의 혈통을 모두 가진 삼중국적자이지만 아직 성인 대표팀 경력이 없다. 2022년 10월 [[마르카]]는 아르헨티나의 [[리오넬 스칼로니]]가 마페오를 주시하고 있다고 한다. 2023년 11월,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의 A매치 명단에 발탁되면서 아르헨티나로 국적 변경을 완료했다. == 플레이 스타일 == 유스 무대와 데뷔 초에는 본연의 임무인 수비에 있어 각광을 받는 풀백이었다. 하지만, 임대로 오랜 기간 활약했던 [[지로나 FC]]에서 급격한 성장을 보이며 플레이스타일이 공격적으로 변화했다. 자신이 직접 공을 몰고 드리블로 돌파 및 운반을 하거나 돌파 후 크로스를 올리는 능력이 매우 향상되었다. 풀백에게 요구되는 빠른 발과 많은 활동량도 보유하고 있다, 다만, 지능적인 플레이가 매우 떨어진다. 시야가 좁아서 패스를 해야하는 상황에서도 무리한 돌파를 시도해 공을 뺏기는 모습을 자주 보인다. 공수 양면으로 판단을 내리는 데 있어서 매우 아쉬운 모습을 보인다. 굉장히 거칠고 신경질적인 플레이로 잦은 마찰을 일으키는 것으로 유명하다. 21-22시즌, 레반테의 [[파코 로페스]] 감독과 언쟁을 벌이다가 [[패드립]]을 동반한 욕설과 '경질이 이틀 남은 놈'이라는 폭언을 남기기도 했다. 22-23시즌, [[레알 마드리드]]와의 경기에서 [[비니시우스 주니오르]]에게 도를 넘는 폭력적인 행동과 도발이 논란이 되었다. == 여담 == 상술한 17-18시즌 라리가 경기에서 [[리오넬 메시]]를 대인마크하며 꽁꽁 묶은 경기를 통해 일약 알려지게 되었는데, 실제로 메시도 인상이 깊었는지 한참 뒤 한 인터뷰에서 가장 인상 깊은 수비수로 마페오를 뽑았다. 당시 10대의 나이에 [[맨시티]] 이적과 메시에게 훗날까지 강렬한 인상을 남긴 것 치고는 빅리그에서 주전으로 활약하고 있음에도 기대만큼 성장을 못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22-23시즌 [[RCD 마요르카]]에서 좋은 활약을 하며 메시가 있는 아르헨티나 국가대표에 처음으로 승선했다. == 같이 보기 == [include(틀:RCD 마요르카)] [include(틀: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 [각주] [[분류:1997년 출생]][[분류:2013년 데뷔]][[분류:카탈루냐 지방 출신 인물]][[분류:스페인계 아르헨티나인]][[분류:이탈리아계 아르헨티나인]][[분류:아르헨티나의 축구선수]][[분류:카탈루냐의 축구선수]][[분류:복수국적자]][[분류:RCD 에스파뇰/은퇴, 이적]][[분류:맨체스터 시티 FC/은퇴, 이적]][[분류:지로나 FC/은퇴, 이적]][[분류:VfB 슈투트가르트/은퇴, 이적]][[분류:SD 우에스카/은퇴, 이적]][[분류:RCD 마요르카/현역]][[분류:수비수]][[분류:라이트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