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2 {{{#fff 파블로 카레뇨 부스타}}}}}}'''[br]'''{{{#fff Pablo Carreño Busta}}}'''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까레노.jpg|width=100%]]}}} || || '''{{{#fff 생년월일}}}''' || [[1991년]] [[7월 12일]] ([age(1991-07-12)]세) || || '''{{{#fff 국적}}}'''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5]] [[스페인]] || || '''{{{#fff 출신지}}}''' || [[스페인]] [[히혼]] || || '''{{{#fff 프로데뷔}}}''' || 2009년 || || '''{{{#fff 신장}}}''' || 188cm (6 ft 2 in) || || '''{{{#fff 사용 손}}}''' || 오른손 (두손 백핸드) || || '''{{{#fff ATP 싱글 랭킹}}}''' || 최고 10위 / 현 124위[*A 2023.8.14. 발표.] || || '''{{{#fff ATP 더블 랭킹}}}''' || 최고 16위 / 현 339위[*A] ||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fff 개인전 통산 성적}}}'''}}} || 258승 202패 || || '''{{{#fff 복식 통산 성적}}}''' || 99승 90패 || || '''{{{#fff 개인전 타이틀 획득}}}''' || 7회 || || '''{{{#fff 올림픽 메달}}}''' || [[2020 도쿄 올림픽]] 단식 {{{#c63 동메달}}} || [목차] == 개요 == 파블로 카레뇨 부스타는 [[스페인]]의 [[테니스 관련 인물|테니스 선수]]다. 특출난 장점은 없지만 2016년 이후 시드권 랭킹에 꾸준히 자리잡아 괜찮은 경기력을 보여주는 투어의 중견 선수. == 커리어 == 2022년 8월 기준 * 개인전 통산 성적 : 258승 202패 * 단식 타이틀 획득 : 7회 * 복식 통산 성적 : 99승 90패 * 복식 타이틀 획득 : 4회 * 통산 상금 획득 : $14,626,523 '''그랜드슬램 대회''' *호주 오픈 : 4회전 - 2018, 2019, 2022 *롤랑 가로스 : 8강 - 2017, 2020 *윔블던 : 1회전 - 2014, 2015, 2016, 2018, 2019, 2021, 2022 *US 오픈 : 4강 - 2017, 2020 '''기타 대회''' *[[ATP 파이널스]] : 라운드 로빈 (2017) * 올림픽 메달: 2020 도쿄 올림픽 단식 동메달 *[[마스터스 1000]] : 우승 1회 '''파블로 카레뇨 부스타의 연도별 메이저대회 성적표''' || '''{{{#white 연도}}}''' || '''[[호주 오픈|{{{#white 호주}}}]]''' || '''[[프랑스 오픈|{{{#white 프랑스}}}]]''' || '''[[윔블던|{{{#white 윔블던}}}]]''' || '''[[US 오픈|{{{#white US}}}]]''' || || 2013 || || 1라운드 || 불참 || 불참 || || 2014 || 1라운드 || 1라운드 || 1라운드 || 3라운드 || || 2015 || 1라운드 || 2라운드 || 1라운드 || 2라운드 || || 2016 || 1라운드 || 2라운드 || 1라운드 || 3라운드 || || 2017 || 3라운드 || 8강 || 불참 || 4강 || || 2018 || 4라운드 || 3라운드 || 1라운드 || 2라운드 || || 2019 || 4라운드 || 3라운드 || 1라운드 || 3라운드 || || 2020 || 3라운드 || 8강 || 취소[*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대회취소] || 4강 || || 2021 || 3라운드 || 4라운드 || 1라운드 || 1라운드 || || 2022 || 4라운드 || 1라운드 || 1라운드 || 4라운드 || || 2023 || 2라운드 || 불참 || 불참 || || ||<-3>
{{{#white '''올림픽'''}}} || || '''동메달''' || [[2020 도쿄 올림픽|2020 도쿄]] || 남자 단식 || == 테니스 성적 == === ~2016년 === 2013년에 100위권 안으로 진입, 2016년까지 그저 그런 투어 선수로서 랭킹 50~60위를 맴돌았다. 챌린저 레벨에서 4년간 11개의 대회에서 결승에 진출해 모두 승리하며 11개의 챌린저 타이틀을 따냈다. 2016년 8월에 윈스턴 세일럼 오픈에서 [[로베르토 바우티스타 아굿]]을 꺾고 우승하면서 연말까지 랭킹을 30위권 안으로 끌어올렸다. === 2017년 === 인디언웰스 오픈에서 생애 첫 마스터스 1000 4강에 진출하면서 두각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프랑스 오픈]]에서는 [[밀로시 라오니치]], [[그리고르 디미트로프]]와 같은 탑랭커를 차례대로 꺾고 8강에 올랐지만 흙신 [[라파엘 나달]]을 만났고 2세트 중간에 기권하였다. [[US 오픈]]에서는 16강에서 [[데니스 샤포발로프]]를, 8강에서는 [[디에고 슈와르츠만]]을 꺾고 첫 그랜드슬램 4강에 진출하였다. 4강에서는 [[케빈 앤더슨]]을 만나 3-1로 패하였다. 그러나 슬램을 제외한 다른 대회들에서는 통 활약을 못하면서 하위랭커들에게 손쉽게 패배하자 맛집소리까지 듣게 되었고 국내에서는 [[맛스타]]라는 별명도 탄생하게 되었다. 어쨌든 슬램에서의 뛰어난 활약으로 ATP 랭킹 10위까지 올라섰고 프로 데뷔 후 처음으로 [[ATP 파이널스]]에도 참가하였다.[* 원래 이 대회는 대회 직전 랭킹 8위 이내 선수만 참가가 가능한 대회지만 해당 시즌 랭킹 7위였던 [[스탠 바브린카]]가 부상으로 일찌감치 시즌을 마감하면서 9번 시드를 받아 예비 선수 자리를 차지하였고 대회 중간에 [[라파엘 나달]] 역시 부상으로 1차전만 치르고 포기하면서 대신 그 자리를 차지하였다.] 하지만 [[그리고르 디미트로프]]와 [[도미니크 팀]]에게 패해 라운드 로빈에서 탈락하였다. === 2018년 === 마이애미 오픈에서 [[케빈 앤더슨]]을 접전 끝에 꺾으며 4강까지 진출하였으나 [[알렉산더 즈베레프]]에게 패배하며 마스터스 첫 결승 진출의 기회를 붙잡지 못했다. 시즌 중후반까지 바르셀로나 오픈 4강, 로마 오픈 8강, 신시내티 오픈 8강을 기록하며 꾸준한 성적을 냈지만 [[US 오픈]] 이후로는 부상으로 단 1승도 올리지 못하고 시즌을 마감하였다. 랭킹도 20위권으로 하락하여 투어 파이널에 들지 못했다. === 2019년 === 호주오픈 4라운드에서 [[케이 니시코리]]와 5시간이 넘는 끝판 승부를 하며 명경기를 만들어냈다. 호주오픈 최고의 경기라고 하는 사람도 있을 정도. 특히 마지막 타이브레이크의 긴장감은 엄청났다. [[https://www.youtube.com/watch?v=zNZ9EtnceqA|경기 영상.]] 부스타가 8-5까지 앞서나갔지만 그 다음 포인트에서 랠리중 심판이 늦게 아웃 콜을 했고, 챌린지 하나를 억울하게 잃은 부스타는 엄청나게 화를 내며 심판에게 따졌다. 이후 멘탈이 흔들리는 모습을 보이며 끝내 역전당해 최종스코어 3:2(7-6^^8^^, 6-4, 6-7^^4^^, 4-6, 6-7^^8^^)로 리버스 스윕을 당하며 패배하였다. 패배 뒤 니시코리와 악수한 직후 코트를 떠나면서 라켓 가방을 패대기치고 심판을 향해 포효에 가깝게 울부짖는 장면이 압권이다. 매너가 좋기로 유명한 부스타가 이렇게 화를 낸 것은 실로 전무후무한 일. 해당 경기 며칠 후 개인 인스타그램으로 해당 심판과 니시코리에게 사과했다. 이 경기의 후폭풍이 심했는지, 이후 부스타는 몇 달 동안 단 한 번도 승리하지 못하고 5연패라는 쓴 맛을 보았다. 랭킹도 20위권에서 69위로 대폭 하락하였다. 그래도 청두 오픈에서 우승하며 랭킹을 30위권으로 다시 끌어올리긴 하였으나 전반적으로 작년보다도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 2020년 === 2020년 들어서는 로테르담 오픈 4강 진출 이후로 다시 상승세를 타기 시작했다. [[US 오픈]] 16강 당시 상대방인 [[노박 조코비치]]가 심판에게 공을 맞추는 대형사고를 치며 실격 당하는 바람에 8강에 올라섰다.[* 여담으로 8강에 진출한 선수 중 가장 나이가 많았다. 팀은 1993년생, 초리치와 메드베데프는 1996년생, 즈베레프와 루블료프가 1997년생, 샤포발로프와 드 미노는 1999년생 이다.] 8강에서는 유망주 [[데니스 샤포발로프]]를 상대로 2, 3세트에는 타이브레이크까지 진행되었고 4세트에 베이글을 당하는 등 힘겨운 승부를 이어갔으나 풀세트 끝에 승리를 거두며 3년만에 4강 진출에 성공하였다. 최종 스코어 3-6, 7-6^^5^^, 7-6^^4^^, 0-6, 6-3. 4강 상대는 [[알렉산더 즈베레프]]. 즈베레프와의 4강에서는 먼저 두 세트를 가져가면서 본인의 첫 그랜드슬램 결승 직전까지 도달했으나 3세트 이후 급격하게 무너지며 3-2 업셋을 당하며 탈락하였다. [[프랑스 오픈]] 역시 [[로베르토 바우티스타 아굿]] 등을 물리치며 3년만에 8강에 진출하는 등 좋은 활약을 보여줬으나 조코비치와의 리턴 매치에서 3-1로 패하며 8강에서 대회를 마무리했다. 이후 파리 오픈에서도 8강에서 나달에 패하며 시즌을 마무리 지었다. 이번 시즌은 비록 개인 타이틀을 획득하지 못하였으나 슬램에서 2017 시즌 못지않는 폼을 보여주며 나름 성공한 시즌을 보냈다. === 2021년 === 호주오픈에서는 [[그리고르 디미트로프]] 상대로 힘을 못쓰며 베이글을 먹고 기권, 두바이 오픈에서도 1라운드 광탈하였으나, 자국에서 열리는 대회인 마베아 오픈에서 같은 스페인 선수 3명과 [[권순우]]를 물리치며 우승 트로피를 들어올렸다. 바르셀로나 오픈에서 [[디에고 슈와르츠만]]을 이기고 4강에 진출하였으나 해당 대회에서 극강의 포스를 뿜는 [[라파엘 나달]]에게 이변없이 탈락하였다. 롤랑가로스는 16강에서 [[스테파노스 치치파스]]를 만나 탈락하였다. 약한 모습을 보이던 윔블던에서 어김없이 1회전 탈락했지만 바로 다음대회인 함부르크 오픈에서 우승하면서 생애 첫 500 대회의 타이틀을 획득하였다. 이후 도쿄 올림픽에 출전, 좋은 기량을 보여주며 더위에 적응을 못하던 세계 2위 [[다닐 메드베데프]]를 상대로 승리하여 준결승에 진출하였다. 허나 준결승에선 [[카렌 하차노프]]에게 패배. 하루 뒤 동메달 결정전에서 '''세계 1위 [[노박 조코비치]]'''를 2:1(6-4, 6-7^^6^^, 6-3)로 꺾으며 올림픽 첫 메달을 획득하며 유종의 미를 거두었다. === 2022년 === ATP컵에서 3연승을 하며 스페인 결승 진출을 이끌었으나, 결승에서 캐나다의 [[데니스 샤포발로프]]에게 패배했다. 팀원인 [[로베르토 바우티스타 아굿|아굿]]도 캐나다의 [[알리아심]]에게 패배하며 스페인은 준우승에 그쳤다. 호주 오픈에서는 [[세바스찬 코르다]] 등을 잡으며 4회전에 진출했으나 4라운드에서는 [[마테오 베레티니]]에게 패한다. 이후 그럭저럭 성적을 내다가 바르셀로나 오픈에서 [[카스퍼 루드]], [[디에고 슈와르츠만]]을 연속으로 잡으면서 결승까지 진출한다. 그러나 결승에서는 [[카를로스 알카라스]]에게 2-0으로 패배. 프랑스 오픈에서는 홈 경기+은퇴 직전이라 응원을 몰빵받은 [[질 시몽]]에게 잘못 걸려 1라운드 탈락. 캐나다 마스터스에서는 1회전부터 [[마테오 베레티니]]를 만났지만 오히려 부스타 쪽에서 베레티니를 압박하며 2:0으로 승리하였다. 2라운드에서는 [[홀거 루네]], 3라운드에서는 [[야닉 시너]]까지 2:0으로 꺾으면서 8강에 진출했고, 8강전에서는 영국의 유망주 [[잭 드레이퍼]], 4강전에서는 영국의 중견 선수 다니엘 에반스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며 단식 커리어 처음으로 마스터스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에서는 [[후베르트 후르카츠]]와 맞붙어 2:1(3-6, 6-3, 6-3)로 역전승하며 '''커리어 첫 마스터스 우승을 차지했다!'''[* 해당 경기 중 인상적인 트위너 위닝샷을 만들어냈다. [[https://www.youtube.com/watch?v=T_bl2bwiz3k|영상]]] US 오픈에서는 [[도미니크 팀]], [[알렉산더 부블릭]], [[알렉스 드 미노]]라는 난적들을 모두 3:1로 격파하면서 4라운드까지 진출하였다. 하지만 4라운드에서 [[카렌 하차노프]]의 파워 테니스에 시종일관 밀리는 모습을 보이며, 100%의 브레이크 성공률로 응수했음에도 결국 2:3으로 접전 끝에 패배하고 말았다. == 플레이 스타일 == 특출나게 뛰어난 부분은 없지만, 포핸드 / 백핸드 둘 다 준수하며, 안정적인 스트로크로 경기를 풀어나가는 베이스라이너이다. 또한 상당히 끈질긴 면이 있기 때문에 상대 입장에서는 쉽게 볼 수가 없는 스타일이다. 경기 운영이나 페이스 자체는 느려도 샷을 하나하나 강력하게 치기 때문에 분류하자면 공격형 베이스라이너에 가까운 편이다. 스페인 선수답게 클레이 코트에서 잘 하긴 하지만, 스페셜리스트까진 아니고, 하드에서도 거의 비슷하게 성적을 곧잘 낸다. 오히려 슬램에서는 클레이코트인 롤랑가로스보다 하드코트인 US에서 더 높은 성적을 냈다. 잔디에서는 눈에 띄게 부진한다. 윔블던 전적은 '''0승 7패'''로, 아무리 잔디를 못하는 선수라도 한두 번쯤은 승리가 있는 걸 감안했을 때 다른 의미로 엄청한 성적이다. 통산 승률은 60%대를 넘어가지만 잔디코트 승률에 한정하면 31.6% 정도의 처참한 승률이 나온다. == 여담 == *[[후안 카를로스 페레로]]가 어릴 적 우상이었다고 한다. 주니어 시절 페레로와 같이 사진을 찍기도 했다. [[https://www.instagram.com/p/B-9vK4YB0dQ/?utm_source=ig_embed&ig_rid=c3b8f2a9-4ff4-4657-873a-40245455b224|#]] *자신의 연고지 [[히혼]]의 지역 축구팀인 [[스포르팅 히혼]]을 응원한다고 한다. *2021년 12월에 결혼하였다. == 외부 링크 == *[[https://www.facebook.com/pablo.carreno.91|개인 페이스북]] *[[https://www.atptour.com/en/players/-/CD85/overview|(ATP 홈페이지) Pablo Carreño Busta Overview]] *[[https://www.itftennis.com/en/players/pablo-carreno-busta/800287842/esp|(ITF 홈페이지) Pablo Carreño Busta]] *[[https://en.wikipedia.org/wiki/Pablo_Carre%C3%B1o_Busta|(영문 위키백과) Pablo Carreño Busta]] [[분류:스페인의 테니스 선수]][[분류:히혼 출신 인물]][[분류:1991년 출생]][[분류:2009년 데뷔]][[분류:스페인의 올림픽 테니스 메달리스트]][[분류:2020 도쿄 올림픽 테니스 메달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