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파샤이인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인도이란인)] [include(틀:남아시아의 민족)] [include(틀:중앙아시아의 민족)] ---- }}} || [목차] == 개요 == [[파일:Kohistani - Pashayi.jpg]] || '''【언어별 명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페르시아어]] ||مردم پشه‌ای (Mardom-e Paše'i) || || [[파슈토어]] ||پشايان (Pašāyān) || || [[영어]] ||Pashayi people ||}}}}}}}}} || 파샤이인은 [[인도아리아인]] 중 다르드인(Dardic peoples)에 속하는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의 [[소수민족]]이다. 근연민족으로는 [[카슈미르인]], [[칼라쉬인]], [[누리스탄인]]이 있다. 아프가니스탄에서는 이들을 파샤이인라고 부르지만 파키스탄에서는 이들을 코히스탄인(Kohistanis)이라고 칭한다. == 분포 == [[파슈툰인]] 문화권인 아프가니스탄 동북부 [[카피사]]주, 라그만주, [[낭가르하르]]주에 주로 거주하고 있으며 해당 행정구역은 아프가니스탄의 [[수도(행정구역)|수도]] [[카불]]과 인접하고 있다. [[파키스탄]] 북부 [[카이베르파크툰크와]]주에도 파샤이인 공동체가 있다. == 문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csht8WCercg)]}}}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Yc5iz0yLKnc)]}}} || || 파샤이 민요 || 파샤이 민속무용 || [[인더스 강]]으로 이어지는 카불강과 쿠나르강의 지류에서 [[농업]]과 [[축산업]]에 종사해 왔다. 종교는 전통적으로 [[불교]], [[브라만교]], [[민족종교]]를 신봉했다. 당나라의 구법승 [[현장]]에 의하면 고대 라그만과 낭가르하르 일대 주민들은 하얗고 가는 모포를 입는데 그들의 옷에는 고운 장식이 되어있다고 한다. [[마르코 폴로]] 역시 비슷한 기록을 남겼는데 이들은 마술과 주술을 행했으며 보석이 박힌 브로치와 귀걸이를 착용했다고 한다. 다른 아프간 부족에게 밀려나 상당수가 동쪽의 삼림 지대로 이동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후 유입된 [[무굴 제국]] 출신 [[수피파]] 선교사들의 영향으로 오늘날에는 대다수가 [[이슬람]] [[수니파]] [[무슬림]]이 되었다. 종파는 [[하나피파]]에 속한다. 인접 민족의 영향으로 소수는 [[시아파]] 계열의 [[이스마일파#s-3.2|니자리파]]에 속한다. 파키스탄 북부지역인 카이베르파크툰크와주에도 파샤이인이 거주하며 이들이 거주하는 코히스탄 지구(Kohistan District)는 파키스탄 내에서 가장 문맹률이 높은 낙후된 지역에 속한다. [[길기트 발티스탄]] 지역 산악 오지에 거주하는 [[이스마일파]] 무슬림 소수민족들의 경우 아가 칸 4세가 교육사업에 적극 투자하여 파키스탄에서 유달리 평균 학력 수준이 높은 것과는 대조적이다. == 언어 == 파샤이인 대부분이 [[파샤이어]]와 [[파슈토어]]의 [[이중 언어]] 구사자이다. 한국의 [[개신교]] [[선교사]] 윤주홍에 의하면 파샤이어는 [[2003년]] 이전까지 정서법이 존재하지 않는 언어였다고 한다. 이에 따라서 문맹퇴치운동의 일환으로 파샤이인에게 문자가 보급된 바 있다.[* [[https://youtu.be/sMsYkOeWLKY|관련 영상]].] 오늘날에는 [[페르시아 문자]]를 주로 사용한다. [각주] [[분류:소수민족]] [[분류:아프가니스탄의 민족]] [[분류:이란계 민족]] [[분류:인도아리아인]] [[분류:파키스탄의 민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