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스타팅 포켓몬)] {{{#!wiki style="word-break: keep-all" ||<-3> {{{#FFFFFF 포켓몬 도감 나열 순서}}} || || [[파일:이상해꽃 도트.png]] 0003 [[이상해꽃]]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004MS.png]] '''0004 파이리'''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005MS.png]] 0005 [[리자드]] || ||<-3> {{{#FFFFFF 지역 도감 나열 순서}}} || ||<^|1><-3>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3> [[포켓몬스터/목록/1세대#관동도감 목록|{{{#FFFFFF 관동도감}}}]] || || [[파일:이상해꽃 도트.png]] 003 [[이상해꽃]]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004MS.png]] '''004 파이리'''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005MS.png]] 0005 [[리자드]] || ||<-3> [[포켓몬스터/목록/2세대#성도도감 목록|{{{#FFFFFF 성도도감}}}]] || || [[파일:이상해꽃 도트.png]] 233 [[이상해꽃]]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004MS.png]] '''234 파이리'''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005MS.png]] 235 [[리자드]] || ||<-3> [[포켓몬스터/목록/3세대/비노출 호연도감|{{{#FFFFFF 호연도감(비노출)}}}]] || || [[파일:이상해꽃 도트.png]] 205 [[이상해꽃]]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004MS.png]] '''206 파이리'''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005MS.png]] 207 [[리자드]] || ||<-3> [[포켓몬스터/목록/6세대#센트럴칼로스도감|{{{#FFFFFF 센트럴칼로스도감}}}]] || || [[파일:이상해꽃 도트.png]] 082 [[이상해꽃]]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004MS.png]] '''083 파이리'''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005MS.png]] 084 [[리자드]] || ||<-3> [[포켓몬스터/목록/8세대#가라르도감 목록|{{{#FFFFFF 가라르도감}}}]] || ||<-3> [[포켓몬스터/목록/8세대#가라르도감(본토)|본토]] ||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883MS.png|width=25px]] 377 [[어치르돈]]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004MS.png]] '''378 파이리'''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005MS.png]] 379 [[리자드]] || }}}}}}}}} || }}} || '''{{{+1 {{{#white 정보 내 바로가기}}}}}}''' || || [[#앵커-일러스트|일러스트]][br][[#앵커-기본 정보|기본 정보]][br][[#앵커-특성|특성]][br][[#앵커-세부 정보|세부 정보]][br][[#앵커-유전 정보|유전 정보]][br][[#앵커-진화|진화]][br][[#앵커-방어 상성|방어 상성]][br][[#앵커-종족치|종족치]][br][[#앵커-울음소리|울음소리]][br][[#앵커-도감 설명|도감 설명]][br][[#s-2|skip]] || [목차] [clearfix] == 정보 == [anchor(앵커-일러스트)] || [[파일:004 파이리.png|width=50%]] || || 파이리 || [anchor(앵커-기본 정보)] ||<-3> {{{#FFFFFF 기본 정보}}} || || 이름 || 도감 번호 || [[포켓몬스터/타입|{{{#FFFFFF 타입}}}]] ||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004MS.png]][br]'''파이리''' [br] ヒトカゲ(히토카게) [br] Charmander || 전국: 0004[br]성도: 234[br]호연: 206^^RSE^^[br]센트럴칼로스: 083[br]가라르: 378^^본토^^ || [include(틀:불꽃타입)] || [anchor(앵커-특성)] ||<-2> [[포켓몬스터/특성|{{{#FFFFFF 특성}}}]]{{{#FFFFFF ([[포켓몬스터/특성#s-1.1|{{{#FFFFFF 숨겨진 특성}}}]]은 *)}}} || || [[포켓몬스터/특성/ㅁ#맹화|맹화]] || HP가 ⅓ 이하일 때 불꽃 타입 기술의 위력이 1.5배가 된다. || || *[[포켓몬스터/특성/ㅅ#선파워|선파워]] || [[쾌청(포켓몬스터)|쾌청]]일 때 특수공격이 1.5배로 상승하지만, 매 턴마다 HP가 ⅛씩 줄어든다. || [anchor(앵커-세부 정보)] ||<-6> {{{#FFFFFF 세부 정보}}} || || 포켓몬 || 분류 || 신장 || 체중 || 포획률 || || 0004 파이리 || [[도롱뇽]] 포켓몬[* 오역이다. 자세한 것은 후술] || 0.6m || 8.5kg || 45 || [anchor(앵커-유전 정보)] ||<-4> {{{#ffffff 유전 정보}}} || || 성비 || 알 그룹 || 부화 걸음수 || 최대 경험치량 || || 수컷: 87.5% [br] 암컷: 12.5% || 괴수, 드래곤 || 5,120걸음 || 1,059,860 || [anchor(앵커-진화)] ||<-6> [[포켓몬스터/진화|{{{#FFFFFF 진화}}}]] || || {{{#FFFFFF 진화}}} || {{{#!wiki style="margin-bottom: 0%" [[파일:charmander.gif|width=40]]}}}0004 파이리 || 레벨 16[br]→ || {{{#!wiki style="margin-bottom: 0%" [[파일:charmeleon.gif|width=50]]}}}0005 [[리자드]] || 레벨 36[br]→ || {{{#!wiki style="margin-bottom: 0%" [[파일:charizard.gif|width=120]]}}}0006 [[리자몽]] || [anchor(앵커-방어 상성)] ||<-3> {{{#FFFFFF 방어 상성(특성 미적용)}}} || || 2배 || 1배 || 0.5배 || || [include(틀:땅타입)] [include(틀:물타입)] [include(틀:바위타입)] || [include(틀:격투타입)] [include(틀:고스트타입)] [include(틀:노말타입)] [include(틀:독타입)] [include(틀:드래곤타입)] [include(틀:비행타입)] [include(틀:악타입)] [include(틀:에스퍼타입)] [include(틀:전기타입)] || [include(틀:강철타입)] [include(틀:벌레타입)] [include(틀:불꽃타입)] [include(틀:얼음타입)] [include(틀:페어리타입)] [include(틀:풀타입)] || [anchor(앵커-종족치)] ||<-8> [[종족치|{{{#FFFFFF 종족치}}}]] || || 포켓몬 || HP || 공격 || 방어 || 특수공격 || 특수방어 || 스피드 || 합계 ||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004MS.png]][br]파이리 || 39 || 52 || 43 || 60 || 50 || 65 || 309 || [anchor(앵커-울음소리)] ||<-8> [[울음소리(포켓몬스터)|{{{#FFFFFF 울음소리}}}]] || ||<-2>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004MS.png]][br]{{{#FFFFFF 파이리}}} || ||<#ffffff,#000000><-2><:>{{{#!HTML}}}|| [anchor(앵커-도감 설명)] ||<-2> {{{#white 도감 설명[br]스크롤 압박이 있습니다. 도감 설명을 넘기고 싶으시면 [[파이리#도감설명 스킵|{{{#white skip}}}]]을 눌러주세요.}}} || ||<-2>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004MS.png]][br]{{{#FFFFFF 0004 파이리}}} || || 레드/그린/FR ||<|3>태어날 때부터 꼬리의 불꽃이 타오르고 있다. 불꽃이 꺼지면 그 생명이 다하고 만다. || || Y || || 실드 || || 블루/LG ||<|2>뜨거운 것을 좋아하는 성격이다. 비에 젖으면 꼬리 끝에서 연기가 난다고 한다. || || 소드 || || 피카츄 ||<|2>조용한 곳에 데려가면 꼬리가 타고 있는 작은 소리가 들린다. || || 레츠고! 피카츄/이브이 || || 금/HG ||꼬리에서 타오르는 불꽃은 생명력의 상징. 기운이 없으면 불꽃이 약해진다. || || 은/SS ||<|2>꼬리의 불꽃은 파이리의 생명력의 상징이다. 건강할 때 왕성하게 불타오른다. || || X || || 크리스탈 ||꼬리 끝의 불꽃은 건강하다면 조금쯤 젖어도 꺼지지 않고 활활 탄다. || || RSE/ORAS ||<|2>꼬리의 불꽃은 기분을 표현한다.[br]즐거울 때는 흔들흔들 불꽃이 흔들리고 화가 났을 때는 활활 맹렬히 불타오른다. || || 포켓몬 GO || || DPPt/BDSP ||<|2>파이리 꼬리의 불꽃은 생명의 등불이다. 건강할 때는 불꽃도 강하게 타오른다. || || BW/BW2 || ||<-2> [anchor(앵커-도감설명 스킵)] || == 소개 == '''1세대의 최초의 불꽃 타입 [[스타팅 포켓몬/1세대|스타팅 포켓몬]] [[리자몽]]의 초기형태.''' [[SBS]]에서 방영했을 때 성우는 [[차명화(성우)|차명화]].[* 파이리가 진화한 리자드는 [[이선주]], 리자몽은 [[김일(성우)|김일]]이 담당.] 성우는 [[사카구치 다이스케]]/[[최하나(성우)|최하나]]. 게임 시작하자마자 만나게 되는 친근한 [[스타팅 포켓몬]] 후보인데다가, 여느 진화하지 않은 초기형 포켓몬들이 대부분 그렇듯 귀여운 모습을 하고 있어서 제법 인기가 많다. 포켓몬에 대해 잘 모르는 사람들도 [[피카츄]]나 [[잠만보]], [[푸린(포켓몬스터)|푸린]], [[나옹]]과 파이리 계열 정도는 알고 있을 정도. 진화형인 [[리자드]]나 [[리자몽]]에 비하면 동글동글하고 순하고 귀여운 모습이며 도감 설명도 리자드의 그 살벌한 문장과는 비교가 되지 않는다. 참고로 파이리 계열 포켓몬 전원은 피카츄의 어머니 [[니시다 아츠코]]가 디자인했다. 매력적인 디자인으로 많은 초딩들이 스타팅으로 선택했지만 적/녹/청 버전의 초반 스토리 진행 난이도가 가혹해서 동심에 상처를 준 포켓몬이기도 하다. 바위 타입 [[웅(포켓몬스터)|웅]]과 물 타입 [[이슬(포켓몬스터)|이슬]]을 초반에 상대하는 것은 [[일본어]]를 모르는 초딩들에게는 너무 힘든 일이었던 것. 최근에는 적/녹/청 버전을 플레이해보지 못한 유저가 많아진 탓인지 [[치코리타]]만 스타팅 밸런스 조절 실패 사례로 언급되곤 하는데, 초반 스토리 진행에서만큼은 파이리가 치코리타보다 어렵다. === 오역 === 포켓몬 코리아에서 내건 파이리의 공식 도감 분류는 '''[[도롱뇽]]''' 포켓몬이다. 그러나 이는 [[오역]]으로, 도롱뇽은 일어로 '산쇼우우오(山椒魚;サンショウウオ)'라고 쓰는데 일본판 도감에는 '토카게([[도마뱀]])'으로 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영어판 도감에도 'Lizard'라고 써 있다.[* 애초에 일칭부터 히(불)+토카게(도마뱀)의 조합으로 만들어졌다.] 불을 뿜는 괴수인 Salamander[* 도룡뇽이라는 뜻의 [[동음이의어]]이긴 하다.]에서 차용한 이름일 수도 있지만 원판에 [[샐러맨더]]라는 언급은 일절 없으므로 오역이 확실하다. 북미판 이름이 Char+Salamander=Charmander이긴 하지만 당장 도감에 써 있는 원어를 놔두고 멀리 돌아가서 그런 걸 따온다는 것 자체가 이상하다. [[누오|진짜 '''도롱뇽''']] [[우파(포켓몬스터)|포켓몬]]은 정작 분류상 '''수어''' 포켓몬이다. 거기다 파이리라는 이름의 유래는 '''파이'''어+꼬'''리'''인지라[* 명명자는 1세대 작명가이자 현 포켓몬 코리아 부사장. 포켓몬 블로거 [[리오메]]가 본인에게 직접 확인한 것이다.] 더더욱 도롱뇽과는 관련이 없다. 한술 더 떠 단권 만화인 [[포켓몬스터 대백과]]에서 나오는 토막퀴즈에서는 '''[[이리]]''' 포켓몬[* 공교롭게도 6세대까지 [[이리]]([[늑대]]) 포켓몬은 단 한 마리도 없었다. 모티브로는 그나마 [[스이쿤]] 정도? 다만 [[개]]를 늑대의 범주에 넣을 경우 [[헬가(포켓몬스터)|헬가]] 정도가 해당되기는 한다. 진짜 늑대 포켓몬이 나온 것은 7세대의 [[루가루암]]이며, 이후 8세대에서는 늑대를 모티브로 한 전설의 포켓몬 [[자시안]]과 [[자마젠타]]가 나왔다.]으로 오역해버렸다. 이 때문에 '파이리'를 '파이어+이리'에서 따온 줄 안 사람도 있을 정도(...) == 다른 매체에서의 모습 == ===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 === 무인편에서는 [[나이기]]가 약하다고 버려서 빗속에서 죽기 일보 직전이었던 개체를 [[한지우|지우]]가 구해줌으로써 활약하게 되었으며, [[리자드]] 단계를 거쳐 [[리자몽]]까지 진화했다. 한국어판[* 파의릐... 에 가깝다. 근데 이쪽도 낑낑거리는 톤이기는 하다.]이나 영어판에서는 파이리가 자기 이름으로 울지만, 일본어판에서는 이름을 말하지 않고 그냥 낑낑거리는 듯한 소리를 낸다. [* 무인편 17화(원판)에 자막에서 존댓말로 나온다.] 지우 일행이 추운 지방에 가게 되면 꼬리의 불꽃을 난로로 쓰기도 한다. 자세한 것은 '''[[리자몽(한지우)|항목]]''' 참조. 무인편 리메이크인 [[너로 정했다!]]에서는 나이기의 포지션을 [[크로스(포켓몬스터)|크로스]]라는 녀석이 가져가는데, 여기선 크로스에게 버려졌던 파이리가 크로스를 다시 보자마자 버선발로 뛰쳐나가며 다리를 꼭 껴안는 걸 크로스가 매정하게 발로 차버리는 등 연출이 무인편 때보다 훨씬 비참해졌다(...). 다행히 지우가 데려가서 잘 돌보고 열심히 키워서 리자몽으로 진화하고,[* 키워준 은혜도 모르고 런각을 잡던 원작과는 달리 최종진화하고서도 고분고분 말을 잘 듣는다.] 크로스와의 배틀에서 승리하면서 제대로 복수한다. 그 뒤 위험에 처한 크로스를 구해주는 대인배스러운 모습을 보여준다. [[포켓몬스터 THE ORIGIN]]에선 주인공 [[레드(포켓몬스터)|레드]]가 스타팅 포켓몬으로 선택하였으며, 우여곡절 끝에 [[리자몽]]까지 진화, 최종적으로는 '''메가리자몽 X'''로 [[메가진화]]까지 이뤄낼 정도로 성장한다. 66화의 오박사 도감 홀로캐스터 코너에서는 파이리 소개 도중에 물을 끓이던 중 파이리가 꼬리에 있는 불꽃의 강도를 세게 해서 '''[[오박사]]를 태워버린다.''' ===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 첫 번째 시리즈인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빨강 구조대·파랑 구조대]]의 특집 애니메이션에서 주인공([[꼬부기]])의 파트너로 [[치코리타]]와 함께 나온다. === [[슈퍼 스매시 브라더스]] === 초대작에서만 나오며 노랑 시티의 건물 중 한 곳에 문이 열렸다가 닫히는 곳이 있는데 플레이어 캐릭터가 어떤 방식으로든 문 안으로 들어갈 때 일정 확률로 뛰쳐나와서 불을 뿜어댄다. === [[Pokémon GO]] === ||<-12> '''004 파이리''' || ||<-12> [[파일:pokemongo_004.png]] || ||<|3><-2> 명칭 || 한국어 ||<-9> 파이리 || || 일본어 ||<-9> ヒトカゲ || || 영어 ||<-9> Charmander || ||<-2> 분류 ||<-4> 도마뱀 포켓몬 ||<-2> 타입 ||<-4> [include(틀:불꽃타입)] || ||<-2> 몸무게 ||<-4> 8.5 kg ||<-2> 키 ||<-4> 0.6 m || ||<-2> 설명 ||<-10>꼬리의 불꽃은 기분을 표현한다. 즐거울 때는 흔들흔들 불꽃이 흔들리고 화가 났을 때는 활활 맹렬히 불타오른다. || ||<-2> 진화 ||<-10> 파이리 → [[리자드]](25) → [[리자몽]](100) || ||<|2> 기술 || 일반 ||<-10> * [include(틀:불꽃타입)] [[불꽃세례]] (10) * [include(틀:노말타입)] [[할퀴기#포켓몬스터의 기술]] (6) || || 특수 ||<-10> * [include(틀:불꽃타입)] [[화염방사(포켓몬스터)|화염방사]] (70) * [include(틀:불꽃타입)] [[니트로차지]] (70) * [include(틀:불꽃타입)] [[불꽃튀기기]] (70) || ||<-2><|2> 종족치 ||<-3> 공격 ||<-3> 방어 ||<-4> 체력 || ||<-3> 116 ||<-3> 93 ||<-4> 118 || ||<|3> 전투력 || - ||<-2> 리서치 ||<-3> 알/레이드 ||<-2> 레이드+날씨 ||<-3> 최대 Lv || || CP ||<-2> ? ~ ? ||<-3> ? ~ ? ||<-2> ? ~ ? ||<-3> 980 || || HP ||<-2> ? ~ ? ||<-3> ? ~ ? ||<-2> ? ~ ? ||<-3> ? || ||<|2><-2> 획득 방법 ||<-2> 필드 ||<-3> 리서치 ||<-2> 알 ||<-3> 레이드 || ||<-2> O ||<-3> O[* '불꽃타입 포켓몬을 1마리 진화시킨다' 리서치로 포획 가능.] ||<-2> X ||<-3> --★-- || ||<-2> 포획률 ||<-10> 20% || ||<-2> 색이 다른 포켓몬 ||<-2> 있음 ||<-8> [[파일:GO_004s.png|width=160px]] || === [[Pokémon UNITE]] === [include(틀:Pokémon UNITE 플레이어블 포켓몬)]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리자몽(Pokémon UNITE))] === [[포켓몬 퀘스트]] === 포켓몬 퀘스트에서는 스타팅 딜러로도 쓰인다. 스타팅 중 파이리를 선택하는 게 가장 좋다. == 기타 == * 국내판 이름인 파이리는 파이어(fire)+꼬리를 합친 단어이다. 파이리의 타입이나 생김새를 보면 전혀 어색한 점이 없는 그야말로 센스있는 명칭. [[https://blog.naver.com/riomedevon/110175879861|#]] * [[포켓몬스터 레드·그린]] 패키지 뒷면의 파이리의 별명이 세풀투라(セパルトラ)이다. 후에 [[포켓몬스터 THE ORIGIN]]에도 나온다. * [[포켓파를레]]에서는 머리 맨 위를 만지는 것을 좋아하고 콧구멍을 만지면 싫어한다. * [[포켓몬스터 XY(애니메이션)|포켓몬스터 XY]]의 [[세레나(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세레나]]의 성우인 [[마키구치 마유키]]가 좋아하는 포켓몬이다. * 꼬리의 불꽃에 대한 설정 때문에 2차 창작거리가 된다. 가령 목욕하는 파이리라든가, 꼬부기랑 술래잡기하는데 빠져나오려고 꼬리를 끊었다가 '''죽어버린다든가'''. * [[구글]]에 파이리를 검색하면 [[https://www.google.co.kr/search?q=%ED%8C%8C%EC%9D%B4%EB%A6%AC&rlz=1C1YKST_koKR741KR741&oq=%ED%8C%8C%EC%9D%B4%EB%A6%AC&aqs=chrome..69i57j0l3j69i60j0.2272j0j7&sourceid=chrome&ie=UTF-8|1.2339327 킬로미터라고 나온다.]] 말 그대로 [[π]]×[[리(단위)|里]]로 해석한 것.(...) * 유튜버 [[A Jolly Wangcore]]의 프로필 사진이다. 그림체가 바뀌어 더 귀여워진 건 덤. * 양띵TV에서 진행하는 '파산게임 시즌2 리턴즈' 의 약칭으로 '파이리' 로 불린다. * 9세대에서 이상해씨와 꼬부기만 잘렸고 파이리는 나온다. 둘도 복귀할지는 불명. 다만 도감 외 취급이라 도감번호는 없다. === 밈 === [youtube(EAdGv89e0sE)] * [[포켓몬스터 THE ORIGIN]] 초반부에 꼬부기와의 배틀에서 너무나도 '''처절한 울음소리'''를 내면서 포켓몬계의 네타가 되었다. [[http://i.imgur.com/fnLOsf2.png|누군가 캡처해서 이런 이미지를 만들기도 했다.]] [[파일:파이리 짤방.png]] * 많은 인기와 귀여운 행동으로 애니메이션에서 보여준 활약으로 인해 [[나는 나보다 약한 녀석의 명령 따위는 듣지 않는다|한때 국내한정으로 넷상에서 짤방으로 많이 사용되었다.]][* 지금도 네이버나 구글의 검색창에 파이리를 입력하면 '파이리 짤'이 상단에 뜰 정도로 유명하다. 물론 대부분의 짤이 [[리자몽(한지우)|지우의 파이리]]다. 그도 그럴 것이 다른 파이리 개체들은 겨우 일회성 단역 수준으로 나오고, 무엇보다 최종진화형인 리자몽이 가장 많이 나왔었기 때문이다.] 특히 상단의 짤이 가장 많이 보일 정도로 SNS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도야가오|뽐낼 때나 기고만장할 때]], 어디 한번 덤벼 보라고 이야기하고 싶을 때 등 각종 상황에 사용된다. == 삽화 == ||<-2>
'''{{{#fff 레드·그린·블루·피카츄}}}''' || || [[파일:004Charmander_RB.png|width=180]] || [[파일:004Charmander_RG.png|width=150]] || ||<-2> '''파이리''' || == 관련 문서 == * [[스타팅 포켓몬]] * [[리자드]] * [[리자몽]] [각주] [[분류:1세대 포켓몬]][[분류:스타팅 포켓몬]][[분류:불꽃타입 포켓몬]][[분류:포켓몬스터/밈]][[분류:짤방/애니메이션]][[분류:리자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