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사건사고)] [include(틀:2021 미얀마 민주화 운동)] ||<-3> '''{{{+1 파지기 학살}}}'''[br]ပဇီကြီး အစုအပြုံလိုက် သတ်ဖြတ်ခံရမှု[br]Pazigyi massacre || ||<:>'''발생 시기'''||<:><-2> [[2023년]] [[4월 11일]]|| ||<:> '''발생 위치''' ||<:><-2> [[미얀마]] [[파지기]] || ||<:> '''가해자''' ||<:><-2> [[미얀마군#s-5.2|미얀마 공군]] || ||<|2><:> '''피해 내역''' ||<:>사망자 ||<:>165명 이상|| ||<:>부상자 ||<:>30명 이상|| [목차] [clearfix] == 개요 == [[2023년]] [[4월 11일]], [[미얀마]] [[만달레이]]에서 약 148km 떨어진 사가잉 주 [[파지기]] 마을에서 [[미얀마 시민방위군]]의 행정사무소 설립 축하 행사 도중 [[미얀마군|미얀마 공군]]이 시민들을 향해 전투기를 동원해 [[폭격]]을 하고 [[Mi-24|헬리콥터]]로 공중에서 로켓 및 기관포 사격을 감행해 시민들을 학살한 사건. == 상세 == [[4월 11일]], 파지기 시민들이 마을 내 [[미얀마 시민방위군]] 행정사무소 설립을 기념하기 위해 800여명 가량이 모였다. 이날은 미얀마의 새해 축제인 [[띤잔]] 3일째 되는 날이기도 해 마을 내에는 축제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었다. 축하 도중, [[미얀마군#s-5.2|미얀마 공군]]의 [[전투기]]가 마을을 공습하기 시작했다. 뒤이어, 헬리콥터까지 등장해 시민들을 향해 사격하기 시작했다. 이로 인해, 약 165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오후 5시 23분경, 미얀마군은 [[Mi-24|Mi-35]] 헬리콥터로 다시 한번 공습을 가했다. == 피해 == 첫번째 공습으로 165명 이상의 사망자와 30명 이상의 부상자가 발생했다. 학살 과정에서 미얀마 공군은 약 34명의 아이들이 사살했고 사망자의 시체 또한 훼손하거나 태우기도 했다. == 반응 == === [[유엔]] === [[안토니우 구테흐스]] UN 사무총장은 즉시 규탄하는 성명을 발표하고 학살을 주도한 자들에 책임을 물어야된다고 비난했다. === [[ASEAN]] === [[4월 13일]], [[ASEAN]]에서는 해당 공습을 비난하는 성명을 냈다. === [[대한민국]] === [[4월 13일]], 미얀마 사태로 인한 민간인 사상자 발생 상황에 깊은 우려를 표했다. [[https://www.news1.kr/articles/5014712|정부, 미얀마 군부 민간인 공습에 "깊은 우려"]] === [[대만]] === [[대만 외교부]]는 미얀마군의 폭력 행사에 대해 규탄하면서 이러한 [[학살]]은 미얀마의 상황을 더 악화시킬 뿐이라고 전했다. === [[러시아]] === [[러시아 연방 정부]]는 [[중국]]과 마찬가지로 해당 사건에 대한 규탄 성명 발표를 거부했다. === [[미국]] === [[미국 국무부]]는 이 사건에 대해 비난의 목소리를 내면서 즉시 잔인한 폭력사태 중단을 요구했다. === [[일본]] === [[마쓰노 히로카즈]] [[내각관방장관]]은 대학살에 대한 비난을 하면서 [[미얀마]]의 [[민주주의]] 복구를 요구했다. === [[중국]] ===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은 [[대만]]과 반대로 중국은 공식적으로 대학살에 대한 규탄 성명을 발표하기를 거부했다. [[분류:2023년/사건사고]][[분류:미얀마의 사건 사고]][[분류:학살 사건]][[분류:내전]][[분류:2021년 미얀마 민주화 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