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 from=디오프)]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OGC 니스]] 소속 축구선수 [[소피안 디오프]] * [[풀럼 FC]] 소속 축구선수 [[이사 디오프]] * [[아리스 테살로니키 FC]] 소속 축구선수 [[파페 셰이크 디오프]]}}}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rgba(50%, 50%, 50%, 30%) 0%, transparent)" {{{+1 {{{#000000,#e5e5e5 '''세네갈의 前 축구선수'''}}}}}}}}}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837626545.jpg|width=100%]]}}}|| ||<-2> {{{#000000,#e5e5e5 '''이름'''}}} || '''{{{+1 파파 부바 디오프}}}[br]Papa Bouba Diop''' || ||<-2> {{{#000000,#e5e5e5 '''본명'''}}} ||파프 "파파" 부바 디오프[br]Pape "Papa" Bouba Diop || ||<-2> {{{#000000,#e5e5e5 '''출생'''}}} ||[[1978년]] [[1월 28일]][br][[세네갈]] 다카르주 [[다카르]] || ||<-2> {{{#000000,#e5e5e5 '''사망'''}}} ||[[2020년]] [[11월 29일]] (향년 42세)[br][[프랑스]] [[일드프랑스]] [[파리(프랑스)|파리]] || ||<-2> {{{#000000,#e5e5e5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세네갈)] || ||<-2> {{{#000000,#e5e5e5 '''신체'''}}} ||196cm || ||<-2> {{{#000000,#e5e5e5 '''포지션'''}}} ||'''[[수비형 미드필더]]''', [[센터백]] || ||<-2> {{{#000000,#e5e5e5 '''유스클럽'''}}} ||응데페앙 살티 (1994~1995) [br] ASC 디아라프 (1995~1996) || ||<-2> {{{#000000,#e5e5e5 '''프로클럽'''}}} ||ASC 디아라프 (1996~1999) [br]FC 베베이 스포츠 05 (1999~2000) [br] [[뇌샤텔 크사막스 FCS]] (2000~2001) [br] [[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 (2001~2002) [br] '''[[RC 랑스]] (2002~2004)''' [br] '''[[풀럼 FC]] (2004~2007)''' [br] [[포츠머스 FC]] (2007~2010) [br] [[AEK 아테네 FC]] (2010~2011) [br]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 (2011~2012) [br] [[버밍엄 시티 FC]] (2012~2013) || ||<-2> {{{#000000,#e5e5e5 '''국가대표'''}}} ||[[세네갈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세네갈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width=25]]]] 63경기 11골 ^^([[세네갈 축구 국가대표팀|세네갈]] / 2001~2008)^^ || [목차] [clearfix] == 개요 == [[세네갈]]의 전직 축구 선수. [[프리미어 리그]]에서의 경력이 탄탄한 선수로 이름을 날렸으며, 국내에선 2002년 [[한일 월드컵]]의 상암 대첩이라 불리는 개막전에서 대회 첫 골을 넣은 선수로 알려져있다. 선수 시절에 피지컬을 이용한 플레이로 유명했으며 이러한 점 때문에 [[파트리크 비에라]]와 비교되기도 했다.[* 잉글랜드 현지 팬들 사이에선 [[장롱]] (The Wardrobe), 혹은 인간산 (Man Mountain)이라고 불리였다.] == 클럽 경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파파부바.jpg|width=100%]]}}} || === 초기 경력 === 세네갈의 수도인 다카르에서 태어난 그는 1996년 주니어 은데판 살티케에서 축구 경력을 시작했다. 이후 세네갈 프리미어리그의 ASC 디아라프에 입단하였고, 2000년 오프 시즌에 [[스위스 슈퍼 리그]] 팀 [[뇌샤텔 크사막스 FCS|뇌샤텔 크사막스]]로 이적하면서 해외로 진출했다. 동년 12월, 그는 [[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에 입단하여 챔피언십 타이틀을 우승하는데 도움을 주었고, 다음 시즌에는 유럽 대항전 무대에 데뷔했다. 이후 2002년 1월, 그는 [[리그 1]]의 [[RC 랑스]]와 5년 계약을 맺고 입단하였다. === [[풀럼 FC]] === 랑스에서 뛰어난 활약을 보여준 그는 2004년 7월 600만 파운드에 [[잉글랜드 프리미어 리그]]의 풀럼과 4년 계약을 채결했다. 그리고 2004년 8월 14일, [[맨체스터 시티]]를 상대로 데뷔하여 90분 풀타임 활약하였다. 디오프는 [[첼시 FC|첼시]]를 상대로 자신의 첫 골을 득점하였으며, 이는 4:1로 패배한 경기에서 유일한 팀의 득점이었다. 풀럼에서 첫 시즌 동안 훌륭한 활약을 선보이며 많은 팬들의 사랑을 받았다. 2005-06 시즌에도 활약을 이어가면서 풀럼 올해의 선수 후보에 지명되었다. 또한 2009년까지 재계약을 채결했다. 재계약을 채결한 뒤 그는 풀럼과 재계약을 하게 되어 기쁘다고 밝히면서 팬들이 가장 좋아하는 선수가 되었다. 하지만 2006-07 시즌에는 부상 문제로 결장하는 경기가 잦아지면서, 대니 머피에게 주장을 넘겨주었다. 2007년 1월, 위건 애슬레틱으로부터 500만 파운드 이적 제안이 왔었으나, 그는 거절했다. 이후 시즌이 끝난 뒤 포츠머스로 이적하게 된다. === [[포츠머스 FC]] === 여름 이적시장을 통해 350만 파운드 이적료에 포츠머스에 입단했다. 계약기간은 5년. 2007년 9월 15일, [[리버풀 FC|리버풀]]전에 데뷔하였으며, 0:0으로 끝났다. 그는 2007-08 시즌 [[FA컵(잉글랜드)|FA컵]] 결승전에서 [[카디프 시티 FC|카디프 시티]]를 상대로 경기내내 수비형 미드필더로서 훌륭한 모습을 보여주며 우승을 차지하는데 큰 역할을 했다. 이후 2시즌간 활약하다가 팀이 [[EFL 챔피언십|챔피언십]]으로 강등되자 2010년 7월 [[AEK 아테네]]로 이적했다. 포츠머스에서 3년간 득점없이 72경기를 뛰었다. === [[AEK 아테네]] === 2010년 7월 13일, 그는 [[풀럼 FC|풀럼]], [[셀틱 FC|셀틱]] 그리고 [[파리 생제르맹]]의 관심에 불구하고, 아테네와 계약하였다. 2010년 8월 19일, [[UEFA 유로파 리그]] 플레이오프 [[던디 유나이티드]]를 상대로 후반 36분 교체투입되어 데뷔전을 치렀다. 2011년 6월 3일, [[PAOK]]를 상대로 자신의 첫 슈퍼리그 골을 득점하였으며, 팀은 4:0으로 대승을 거두었다. 그는 그리스컵 결승전에 출전하며 우승컵 획득을 기여했으며, 또한 그리스 슈퍼리그 플레이오프 3라운드에서 PAOK를 상대로 2골을 득점하며 3:0 승리를 이끌었다. 리그는 3위[* 플레이오프는 4위]로 마무리했다. ===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 === 2011년 8월 30일, 웨스트햄 유나이티드와 1년 계약을 채결하게 되면서 1년만에 영국 리그에 복귀했다. 출전 경기는 리그 16경기로 많은 경기를 나서지는 못했지만, 팀의 EPL 승격을 돕는데 성공했다.[* [[블랙풀 FC|불랙풀]]과의 승격 플레이오프 결승전에서 승리하며 승격 할 수 있었다. 공교롭게도 두 팀 모두 지난 시즌 EPL 강등팀이었다.] 시즌이 끝난 뒤 계약 만료로 팀을 떠났다. === [[버밍엄 시티 FC]] === 2012년 10월 19일, 풀럼 시절 동료 선수였던 리 클라크가 감독으로 있는 버밍엄 시티와 단기 계약을 채결했다. 그리고 2012년 11월 27일, 블랙풀전에 후반 교체 선수로서 버밍엄 데뷔전을 치렀다. 2012년 12월 15일, [[크리스탈 팰리스 FC|크리스탈 팰리스]]와의 원정 경기를 앞두고 헤이든 멀린스의 징계와 조너선 스펙터가 부상으로 빠지면서 센터백 자리가 무주공산이 되자 그는 중앙 수비수로 선발 출전하였다. 그리고 그는 이 날 경기에서 롭 홀의 코너킥을 강력한 헤딩으로 연결하며 데뷔골을 만들어내며 2:0 승리를 이끌었다. 또한 팰리스 전 활약 덕분에 계약을 연장할 수 있었다. 그러나 그는 얼마 지나지 않아 햄스트링 부상을 당했고, 곧 복귀했으나, 구단의 재정적인 어려움으로 연장 계약을 할 수 없게 되면서 2013년 1월에 계약 만료로 팀을 떠나게 되었다. 그리고 이후 현역 은퇴를 선언했다. == 국가대표 경력 == 1999년, 21살의 나이에 [[세네갈 축구 국가대표팀|세네갈 대표팀]] 선수로 발탁되어 10년 가까이 대표팀에서 활동했다. 그리고 2002년에 개최된 [[한일 월드컵]] 때 그는 국가대표로서 커리어 정점을 맛보게 된다. 치열한 지역예선을 뚫고 처음으로 본선에 진출하는 감격을 누린 세네갈이었지만 당시 본선 조 편성은 그렇게 좋은 편이 아니었다. 세네갈은 [[디펜딩 챔피언]]인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프랑스]]와 더불어 월드컵 초대 챔피언인 [[우루과이 축구 국가대표팀|우루과이]], 북유럽의 다크호스 [[덴마크 축구 국가대표팀|덴마크]]와 함께 A조에 속했다.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한일 월드컵 개막전이자 A조 1차전 상대는 바로 디펜딩 챔피언 프랑스였다. 공교롭게도 프랑스는 과거 세네갈을 [[식민지]]로 지배했던 나라이며, 세네갈의 감독인 [[브루노 메추]]는 프랑스인이었다. || {{{#!wiki style="margin-bottom: -5px; margin-left: -10px; margin-right: -10px; margin-top: -5px" [youtube(X_DH9vxSy34)] }}} || || {{{#ffffff '''프랑스 0 - 1 세네갈'''}}} || 비록 팀의 에이스 [[지네딘 지단]]이 경기 닷새 전에 치른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과의 평가전에서 [[김남일]]의 파울로 인해 큰 부상을 당해 결장하게 되었다지만 당시 프랑스엔 지단 말고도 [[티에리 앙리]], [[다비드 트레제게]] 등 스타 플레이어들로 잔뜩 도배되어 있는 명실상부한 우승후보였다. 그렇기에 경기 전 예상은 당연히 프랑스의 압승이었다. 그러나 경기가 시작되니 세네갈은 탄탄한 수비로 프랑스의 맹공을 막아냈다. 그리고 전반 30분, [[엘 하지 디우프]]가 문전으로 쇄도한 파파 부바 디오프를 보고 패스를 했고 디오프는 프랑스 수비수 [[에마뉘엘 프티]]의 방해로 인해 미끄러지면서 슛을 날렸다. [[파비앵 바르테즈]]가 한 번 쳐냈으나 잡지 못하고 흘렸고 흐른 볼을 파파 부바 디오프가 다시 한 번 왼발로 밀어넣어 선제골을 터뜨렸다. 이후 경기는 계속해서 프랑스의 공세, 세네갈의 수세로 이어졌지만 세네갈은 수문장 토니 실바의 신들린 선방에 힘입어 디오프의 선제골을 끝까지 잘 지켜냈고 결국 '''[[자이언트 킬링|디펜딩 챔피언 프랑스를 1 : 0으로 격침시키는 데 성공했다.]]''' 이 경기를 [[세네갈 쇼크]]라고 부르게 되었으며 당시 프랑스 리그에서 뛰던 평범한 선수에 불과했던 파파 부바 디오프에겐 터닝 포인트가 된 경기가 되었다. 뒤이어 [[대구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2차전 덴마크와의 경기에선 전반 16분에 [[욘 달 토마손]]에게 페널티킥 선제골을 허용했으나 후반 7분에 살리프 디아오의 동점골로 1 : 1 무승부를 기록했다.[* 그러나 살리프 디아오는 득점 이후 반칙으로 퇴장당하여 [[가린샤 클럽]] 멤버로 가입하게 되었다.] 1승 1무를 확보한 세네갈은 [[수원월드컵경기장]]으로 이동해 남미의 우루과이와 조별리그 최종전을 치르게 되었다. 당시 세네갈은 초반부터 컨디션이 덜 풀린 우루과이를 강하게 몰아붙였고 전반 20분 만에 칼릴루 파디가의 페널티킥 선제골로 앞서갔다. 그리고 이 경기에서도 디오프는 맹활약을 하게 되는데 전반 26분과 38분에 연달아 멀티골을 터뜨리며 우루과이를 상대로 무려 3 : 0으로 크게 앞서가는데 기여했다. 이렇게 전반전을 기분 좋게 3 : 0으로 크게 앞선 채로 끝냈으나 후반전엔 우루과이가 뒤늦게 각성하여 맹추격을 감행했고 결국 후반 시작과 동시에 리차르드 모랄레스에게 만회골을 내준 것을 시작으로 후반 24분엔 [[디에고 포를란]]에게 또 1골을 허용했다. 그리고 후반 43분엔 [[알바로 레코바]]의 페널티킥 동점골까지 허용하여 3 : 3으로 따라잡히고 말았다. 만약 1골을 더 내주게 되면 세네갈은 승자승 원칙에 밀려 우루과이에 16강 티켓을 넘겨야 했다. 세네갈은 우루과이의 파상공세를 끝까지 막아냈고 결국 1승 2무(승점 5점)로 조 2위를 차지해 16강 진출에 성공했다. 비록 16강 진출 이후 파파 부바 디오프의 활약상은 좀 저조했지만[* 16강 이후부터는 [[앙리 카마라]]의 활약이 더 돋보였다.] [[오이타 스타디움]]에서 사상 최악의 [[죽음의 조/축구|죽음의 조]]로 꼽힌 F조에서 1위를 차지한 [[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스웨덴]]을 상대로 연장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2 : 1 역전승을 거두며 [[1990 이탈리아 월드컵]] 때 8강 신화를 썼던 [[카메룬 축구 국가대표팀|카메룬]]에 이어 두 번째로 월드컵 8강을 이룬 아프리카 팀이 되었다. 8강에 진출한 세네갈은 [[나가이 육상경기장]]에서 48년 만에 본선 진출에 성공한 [[튀르키예 축구 국가대표팀|튀르키예]]와 맞대결을 하게 되었다. 세네갈은 90분 내내 터키를 상대로 잘 버텼지만 험난한 대진으로 인한 체력 소모를 견디지 못했고 결국 연장 전반 4분에 터키의 미남스타 [[일한 만시즈]]에게 [[골든골]]을 허용하며 0 : 1로 석패해 4강 진출의 꿈은 무산되고 말았다.[* 참고로 만시즈의 골든골이 월드컵 역사상 마지막 골든골이다.] 이렇게 첫 월드컵 출전에 8강 신화를 쓴 [[세네갈 축구 국가대표팀]]이었지만 이후 번번이 지역 예선에서 탈락하여 더 이상 그를 월드컵 본선 무대에서 볼 수 없게 되었다. 그래도 그는 월드컵에서의 활약 덕분에 풀럼과 포츠머스 등 주로 잉글랜드 클럽팀으로 이적해 활약을 이어갔다. == 디오프를 향한 언사 == >'''훌륭한 발, 득점 능력, 수비 능력, 태클이 좋은 선수다.''' >---- >[[크리스 콜먼]] ---- >'''디오프는 지금까지 내가 상대한 선수 중 가장 어려운 선수 중 한 명이였다.''' >---- >[[폴 스콜스]] == 사망 == 2013년 현역에서 은퇴한 이후엔 한동안 근황이 들리지 않았는데 2020년 11월 29일 사망했다. 프랑스의 언론 [[레키프]]에 따르면 사인은 그가 지병으로 앓고 있었던 [[근위축성측색경화증]]이었다고 한다.[* 루게릭병으로도 알려져있다.] 불과 나흘 전에 축구계의 큰 별이자 아르헨티나가 낳은 불세출의 축구선수 [[디에고 마라도나]]가 향년 60세로 사망한 충격이 가시지 않은 상황에서 축구계에 충격이 배가 되었다. || [[파일:2022-11-29T163454Z_1572137007_UP1EIBT1A23HO_RTRMADP_3_SOCCER-WORLDCUP-ECU-SEN-REPORT.jpg.webp|width=100%]] || [[파일:RAS-OFF-PLATFORM-PAPA-BOUBA-DIOP-TRIBUTE.jpg.webp|width=100%]] || [[파일:senegal-fans-display-poster-memory-779199303.jpg|width=100%]] || 작고 2년 후인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중 [[에콰도르 축구 국가대표팀|에콰도르]]와의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A조#s-11|조별리그 최종전]]에서 고국 후배 [[칼리두 쿨리발리]]는 그의 등번호 19번이 새겨진 완장을 착용하고 경기에 나섰고, 팬들 사이에서도 19번 바디페인팅을 한 사람들이 눈에 띄었다. 해당 경기에서 세네갈이 에콰도르를 1-2로 꺾으며 20년 만의 16강 진출을 확정지은 후 관객들에게 인사를 하던 중 '''TRUE LION NEVER DIES'''가 쓰인 추모 현수막을 관객석에서 넘겨받아 카메라에 비추기도 했다. [[분류:1978년 출생]][[분류:2020년 사망]][[분류:다카르 출신 인물]][[분류:신경질환으로 죽은 인물]][[분류:세네갈의 축구선수]][[분류:뇌샤텔 크사막스 FCS/은퇴, 이적]][[분류: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은퇴, 이적]][[분류:RC 랑스/은퇴, 이적]][[분류:풀럼 FC/은퇴, 이적]][[분류:포츠머스 FC/은퇴, 이적]][[분류:AEK 아테네 FC/은퇴, 이적]][[분류: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은퇴, 이적]][[분류:버밍엄 시티 FC/은퇴, 이적]][[분류:세네갈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참가 선수]][[분류:세네갈의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참가 선수]][[분류:2002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말리 참가 선수]][[분류:2004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튀니지 참가 선수]][[분류:2006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이집트 참가 선수]][[분류:2008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가나 참가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