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전 도시철도 차량사업소)] ||<-5> {{{#007448 '''판암차량기지 인입선'''}}} || || [[판암역|{{{#000000,#ffffff 판 암}}}]] || {{{+1 ←}}} || {{{#000000,#ffffff '''판암차량사업소''' }}} || {{{+1  }}}[br] || {{{#gray 종착역}}} || ||[[파일:판암차량사업소 배선도.jpg]]|| ||판암차량사업소 배선도|| {{{+1 판암차량사업소/板岩車輛事業所 }}} [목차] == 개요 == [[대전 도시철도 1호선]]의 [[차량사업소]]. [[대전교통공사]] 소속이다. [[대전광역시]] [[동구(대전)|동구]] 옥천로 270([[동구(대전)#s-3.1.9|삼정동]] 110) 소재. == 역할 == [[2006년]] [[3월 16일]] [[판암역]] ~ [[정부청사역]] 구간이 개통하면서 동시에 가동을 시작하였다. [[대전 도시철도 1호선]]의 모든 차량은 이 차량기지로 와서 중검수 및 경검수를 받는다. [[경부선]]과 나란히 있어서, [[경부선]] 열차를 타고 가다 보면 기지를 볼 수 있다. [[경부고속선]]은 판암기지에서 한참 남쪽에 나란히 있다. 다만 경부본선에서 이곳으로의 연결선로는 없어서 열차들은 전부 트럭에 싣고 와서 크레인을 동원하여 여기에 풀어놓았다. 경부본선 바로 옆에 있으면서도 왜 연결선을 통한 효율적인 반입 방법을 사용하지 않았는지는 의문.[* 부산 1호선이나 서울 7호선, 인천 1호선도 규격(전압, 통행방향, 신호방식)은 일반 철도와 다르지만 각각 부산진역, 도봉산역, 동암역에 전차선 가압이 안되는 연결선로라도 설치했다][* 다만 [[식장산역]]이 [[충청권 광역철도]]와의 환승역이 되지 못한 이유를 생각해볼 때 연결선을 만들려고 해도 만들 수 없는 상황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대전 도시철도 1호선]]의 모든 차량(21개 편성)은 현재 이 차량기지에 배속되어 있다. == 간이역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 역을 개량하여 신설될 대전 도시철도 1호선의 추가역, rd1=식장산역)] 기지내에 역은 없지만 판암기지간이역이라고 판암차량사업소로 출근하는 직원들을 위한 출입문 1개소만 취급하는 간이승강장이 있다. 출근 시간 열차는 판암역에서 직원들을 태우고 그대로 차량사업소로 가서 해당 승강장에서 하차시킨다. 다만 최근들어 대전시에서 사업비 150억원을 투입하여 입출고선 및 유치선을 이용한 고객 승강장(가칭. [[식장산역]])을 신설할 구상이 있음을 [[https://m.dnews.co.kr/m_home/view.jsp?idxno=202212141511499400424|발표하였다]]. [[분류:대한민국의 차량사업소]][[분류:대전 도시철도 1호선]][[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