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八龍터널 / Pallyong Tunnel }}} [[파일:팔룡터널 요금소.jpg]] [목차] == 개요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팔용동]]과 창원시 [[마산회원구]] [[양덕동(창원)|양덕동]]를 이어주는 유료 [[자동차전용도로]]. 원래 2018년 10월 25일 개통 예정이었으나 교통신호체계 조정 문제로 3일 후인 10월 28일에 개통되었다. == 공사 == [[2014년]] [[2월 25일]]부터 [[2018년]] [[10월 24일]]까지 총 1,703일(약 4년 8개월)간 공사를 진행하였다. [[민간투자사업]]으로 사업시행자는 (주)팔룡터널이고, 시공자 및 지분율은 삼부토건 30%, [[태영건설]] 20%, 대아건설 (현 [[경남기업]]) 13%, 새미래건설 9%, [[중앙건설]] 7.5%, 광득종합건설 10.5%, 신세계건설 5%, 경동건설 5%(총 8개사)이다. 사업비는 총 1,687억원이 투입되었으며 창원시가 221억원, 경상남도가 72억원, 나머지 1,394억원은 (주)팔룡터널이 각각 부담하였다. == 규모 == [[파일:20181003_171422.jpg]] [[터널]] 길이 2,643m, 폭 20m의 왕복 4차선 터널로, 사업 총 연장은 평산[[교차로]] 부터 양덕교차로까지 3.97km이다. 터널 내 소요시간은 제한속도 70km/h 기준으로 전 구간 주행시 135초에 불과하다. == 통행료 == 2047년까지 29년간 통행료를 받으며 현금, [[하이패스]], 전자카드로 납부할 수 있다. 1차로는 하이패스 전용차로, 2차로는 일반차로, 3차로는 화물차 하이패스차로(일반차로 겸용)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차로에서 하이패스카드로 요금을 지불하는 것도 가능하다. || 경차 500원 || || 소형차 900원 || || 중형차 1,400원 || || 대형차 1,800원 || (한국도로공사 차종 분류 기준 적용) == 상세 == 전 구간이 [[팔룡터널로]]의 일부이다. [[팔용동]] 방면으로는 [[창원대로]] 및 [[평산로(창원)|평산로]]와 연결되며 [[양덕동(창원)|양덕동]] 방면으로는 양덕광장을 통해 [[양덕로(창원)|양덕로]], [[합포로]] 등의 창원 시내의 주요 도로를 연결한다. 이 터널의 개통으로 인해 창원국가산업단지 및 [[창원 중동 유니시티]]와 양덕동의 한일타운 및 [[창원 메트로시티]]간의 통행시간이 기존 10~20분 내외에서 3분 이내로 줄어들었다. 평산사거리에서 양덕광장오거리 방향으로는 2.8km 제한속도 70km/h 구간단속을 실시한다. 그리고 양덕광장오거리에 도착하여 [[마산고속버스터미널]], 신세계백화점 마산점 방향으로 직진 및 마산역 방향 우회전, 양덕지오피아 방향 우회전만 가능하고 정우맨션 방향 좌회전 및 [[봉양로(창원)|봉양로]] 자유무역지역 방향 좌회전은 불가능했으나 얼마 안 가서 가능하게 바뀌었다. 평산사거리 방향으로 팔룡터널 진입시 양덕교차로 교차점에 50km/h 신호, 속도위반 단속카메라가 있으니 역시 조심해야 한다. 2018년에 개통한 터널답지 않게 터널 진출입부에 한하여 [[나트륨등]]과 [[LED]]가 혼합되어 있다. 다만 나트륨등은 개통 초기를 제외하곤 아예 점등하지 않고 있다. 사실상 전부 LED로 운영하는 셈. 예상보다 통행량이 매우 저조해서 수백억 대 적자를 내고 있는 상태이다.[[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299061|#]] == 여담 == [[방법: 재차의]]의 촬영지이기도 하다. [[분류:경상남도의 터널]][[분류:마산회원구의 도로]][[분류:의창구의 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