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록 음악의 역사)] ||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10px;" {{{#ff1179 '''팝 펑크의 대표곡들'''}}}}}} || ||<#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s0cLMW181mo, height=2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PinCg7IGqHg, height=200)]}}} || || ''Rockaway Beach''[br][[라몬즈]] (1977) || ''Teenage Kicks''[br]더 언더톤즈 (1978)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aUVVRyjiVzo, height=2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NUTGr5t3MoY, height=200)]}}} || || ''Ever Fallen in Love (With Someone You Shouldn't've)''[br][[버즈콕스]] (1978) || ''[[Basket Case]]''[br][[그린 데이]] (1994)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1jOk8dk-qaU, height=2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CMX2lPum_pg, height=200)]}}} || || ''Come Out And Play''[br][[오프스프링]] (1994) || ''Fat Lip''[br][[Sum 41]] (2001)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TIy3n2b7V9k, height=2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vc6vs-l5dkc, height=200)]}}} || || ''[[Sk8er Boi]]''[br][[에이브릴 라빈]] (2002) || ''I Write Sins Not Tragedies''[br][[패닉! 앳 더 디스코]] (2006) || }}} || ||<-2><#87c669> '''{{{+1 팝 펑크}}}[br]Pop-punk''' || ||<|2> '''기원''' ||^^'''장르'''^^ [[펑크 록]], [[팝 음악]] || ||^^'''지역'''^^ [[파일:미국 국기.svg|width=28]] [[미국]],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8]] [[캐나다]]|| || '''등장 시기''' ||[[1970년대]] 후반 || || '''시대''' ||^^'''전성기'''^^ [[1990년대]] - [[2000년대]] || || '''하위 장르''' ||네온 팝 펑크, 이지코어 || || '''관련 장르''' ||멜로딕 하드코어, 스케이트 펑크, 이모 팝, [[이모 랩]] || [목차][clearfix] == 개요 == 팝 펑크는 [[펑크 록]]의 [[요소]]와 [[팝]] 또는 [[파워 팝]]과 결합한 [[록]] [[음악]] [[장르]]다. == 상세 == 팝의 영향을 받아 기존 펑크 록에 비해 캐치한 후렴과 멜로디가 강조되었으며 특유의 경쾌한 음색이 큰 특징이다. 음악적으로는 기존 펑크 록과 유사하지만 가사 등에서는 [[펑크 문화]]의 공격성, 반항적, 사회 비판적인 측면 대신 90년대를 관통하는 '루저'의 정서를 비롯한 개인적인 면모, 서정적인 면모를 띈다. 이는 팝과 결합으로 과거 펑크 록에 비해 대중적인 면을 띠고 있으며 실제로 [[빌보드 핫 100]]에 자주 진입하며 대중적으로도 인기를 얻고 주류화되었다. 파워 팝과 팝 펑크 사이에는 상당한 유사성이 있으며 실제로 두 스타일이 종종 혼용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펑크 록의 하위장르, 펑크의 변형, 팝 음악의 한 형태, 포스트 펑크 등 펑크 록과 유사한 장르로 다양하게 설명되기도 한다. == 역사 == 1970년대 후반 언더톤즈, [[버즈콕스]], [[라몬즈]] 등과 함께 등장했다. 1980년대 Bad Religion, Descendents, [[미스피츠]]와 같은 1980년대 펑크 밴드는 팝 펑크에 영향을 미쳤고, 1980년대와 1990년대 초에 Lookout! 레코드와 계약한 많은 밴드들에 의해 확장되었다. 1990년대 중반 [[그린데이]], [[오프스프링(밴드)|오프스프링]], [[blink-182]]와 같은 밴드와 함께 엄청난 인기를 얻었으며 대중화가 시작되었다. '''2000년대에 최전성기'''를 누렸으며 이 때문인지 비슷한 스타일의 장르도 많이 생겨났다. [[Sum 41]]의 Still Waiting, [[그린데이]]의 [[American Idiot]], [[패닉 앳 더 디스코]]의 1집 A Fever You Can't Sweat Out, [[에이브릴 라빈]]의 [[Sk8er Boi]] 등의 지금까지도 명작으로 평가받는 수 많은 팝 펑크 음반들이 이때 나왔다. [[마룬 5]]와 대시보드 컨페셔널같은 밴드들은 [[스파이더맨 2]]같은 대히트 영화의 사운드트랙에 참가하기도 했다. 2000년대 중반에는 이모와 팝 펑크를 결합한 이모 팝이라는 장르가 유행을 했다. [[마이 케미컬 로맨스]], [[폴 아웃 보이]], [[패닉! 앳 더 디스코]], [[파라모어]]같은 밴드들이 그 중심이 되었다. 2000년대 후반에는 전통적인 것에서 벗어나 팝과 일렉트로닉 음악의 요소를 더 많이 수용한 팝 펑크 스타일인 '네온 팝'이라는 하위 장르가 생겨났다. 당시 이런 스타일의 인기 그룹에는 [[올 타임 로우]], [[보이즈 라이크 걸즈]] 등이 있다. 2010년대에 들어 장르의 지나친 상업화와 양산형 밴드들의 등장으로 인해 씬 전체가 매너리즘에 빠져버렸고, 힙합, R&B, [[EDM]]이 대중음악계의 주류로 자리잡으면서 자연스럽게 리스너들로부터 외면받게 되었다. 기존의 팝 펑크 밴드들 역시 대부분 활동을 중지하거나 다른 장르로 노선을 변경하였고 그나마 [[All Time Low|올 타임 로우]], [[폴 아웃 보이]], [[5 Seconds of Summer]]같은 밴드가 장르의 명맥을 이어나가고 있다. 2020년대에는 [[Machine Gun Kelly]], [[YUNGBLUD]], [[iann dior]], [[blackbear]] 등을 필두로 한 [[이모 랩]] 및 힙합 아티스트들이 팝 펑크의 요소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힙합과 팝 펑크를 절묘하게 섞은 음악들을 내놓고 있다. 이들의 음악이 미국의 [[Z세대]]를 중심으로 인기를 얻기 시작하면서 2000년대의 팝 펑크 아티스트들은 물론 [[윌로 스미스]], [[Waterparks]], [[Meet Me @ The Altar]]같은 신인들도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blink-182]]의 드러머였던 [[트래비스 바커]]는 다수의 곡에 피처링 아티스트와 프로듀서로 참여하면서‘팝 펑크 리바이벌’이라 불리는 이 팝 펑크의 재유행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 그 결과 [[올리비아 로드리고]]의 팝 펑크 넘버 [[good 4 u]]가 빌보드 싱글 차트에서 1위를 차지하는 등 간만에 상당한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 아티스트 목록 == *'''[[에이브릴 라빈]]''' *'''[[그린데이]]''' *'''[[오프스프링]]''' *'''[[굿 샬롯]]''' *'''[[올리비아 로드리고]]''' *[[머신 건 켈리]] *'''[[마이 케미컬 로맨스]]''' *'''[[폴 아웃 보이]]''' *'''[[Sum 41]]''' *'''[[SR-71(밴드)|SR-71]]''' *'''[[심플 플랜(밴드)|심플 플랜]]''' *'''[[blink-182]]''' *'''[[All Time Low]]''' *'''[[패닉! 앳 더 디스코]]''' *'''[[Boys Like Girls]]''' *[[5 Seconds of Summer]] *[[YUNGBLUD]] *'''[[라이즈 어게인스트]]''' *'''[[Neck Deep]]''' *'''[[옐로우카드(밴드)]]''' *'''[[뉴 파운드 글로리]]''' *'''[[파라모어]]''' *'''[[McFly]]''' *[[jxdn]] *[[blackbear]] *[[Bowling For Soup]] *[[BIGONE]] *'''[[story of the year]]''' *[[gayle]] *[[Zebrahead]] *[[위저]] *[[라몬즈]] *[[Sonic Stones]][*한국] *[[YongYong]][*한국] *[[WinningShot]][*한국] *[[베어풋인더가든]][*한국] *[[Jayci yucca]][*한국] *[[추서준]][*한국] *[[Xdinary Heroes]][*한국][* 락밴드지만 대형 기획사인 JYP 소속 답게 케이팝 아이돌 댄스곡 특유의 색채가 강하다.] *[[페일 웨이브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포스트 펑크, version=55)] == 기타 == 특유의 경쾌한 음색 때문인지 한국에서는 이 장르의 음악들을 방송용, 광고용 [[BGM]]으로 많이 사용한다. 특히 같은 시대에 전성기를 맞이한 [[OGN ]]스타크래프트 대회에서도 자주 사용되었다. 또한 과거부터 현재까지 [[일본]]에서 유독 인기가 매우 많다. 2000년대 전후로 [[애니메이션]]이나 [[드라마]] 주제가로 오리지널 [[펑크]]가 많이 쓰이다가 2010년대 전후로 팝 펑크 장르의 음악이 기존 펑크를 밀어내고 많이 쓰여 왔다. 다만 2020년대 이후로는 [[요네즈 켄시]], [[요아소비]] 같은 [[팝 락]]이나 모던 [[R&B]]가 기존의 팝 펑크의 입지를 위협하는 추세지만 여전히 많은 인기를 구사하고 있다. [youtube(ogjtm7nFSsU)] 유명 팝 펑크 밴드들의 히트곡에서 한 소절씩 따온 뒤 이어붙여 노래를 완성한 패러디 곡이 존재한다. == 관련 문서 == * [[팝펑크 마이너 갤러리]] [[분류:팝 펑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