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ad171c> {{{#!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패닉 버튼 로고 화이트.svg|width=120]]||'''{{{#ffffff {{{+1 패닉 버튼}}}[br]Panic Button}}}''' ||}}} || ||<|2> '''기업명''' ||'''정식''': Panic Button, LLC. || ||'''한글''': 패닉 버튼 || || '''설립일''' ||[[2007년]] || || '''업종''' ||[[게임 제작사|게임 소프트웨어 개발]] || || '''소재지'''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텍사스]] [[오스틴(텍사스)|오스틴]] || || '''기업규모''' ||'''직원 수''': 약 50명 || || '''홈페이지''' ||[[https://panicbuttongames.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패닉 버튼(Panic Button)은 [[텍사스]] [[오스틴(텍사스)|오스틴]]에 위치한 게임 개발사이다.[* 이름의 유래는 총격전등으로 긴급지원이 필요한 경찰관들이 누르는 비상버튼에서 유래된듯하다. 이걸 누르면 주위의 경찰관들이 몰려온다.] 2007년에 세워졌으며, 인원은 약 50명 남짓. 주로 게임을 타 콘솔이나 기기로 이식하는 작업을 맡으며 [[M2(게임 회사)|유한회사 M2]]와 [[블루포인트 게임즈]]와 함께 3대 이식의 왕이라고 불린다. 설립 이후 약 5년간은 자체적으로 게임을 개발했으나, 2013년부터는 사실상 거의 게임 포팅 전담 회사가 되었다. 실제로 포팅을 본격적으로 맡기 시작한 2013년부터 자체 개발한 게임이 단 '''1개'''밖에 없다. 주로 [[닌텐도 스위치]]로의 이식이 대부분이며, 가끔씩 [[PS4]]나 [[Xbox One]]으로의 이식을 맡기도 한다. 동시대에 나온 AAA 게임을 닌텐도 스위치로 성공적으로 이식한 사례가 많아, [[더 위쳐 3: 와일드 헌트]]의 스위치 이식을 담당한 세이버 엔터테인먼트와 함께 스위치 유저들에게 호평과 기대를 받는 회사이기도 하다. 요약하면 [[비녹스]]의 안티테제 2. == 주요 이식작 == 출시된 순서대로 기재한다. * [[인저스티스: 갓즈 어몽 어스]] (2013, [[PS Vita]]) * [[프라이멀 카니지]]: 익스팅션 (2015, [[PS4]]) * [[옥토대드: 데들리스트 캐치]] (2015, [[Wii U]]) * [[리코어]] (2016, [[Microsoft Windows]]/[[Xbox One]]) * [[로켓 리그]] (2016, [[닌텐도 스위치]]/Xbox One) * [[둠(2016)|둠]] (2017, 닌텐도 스위치) * [[울펜슈타인 2: 더 뉴 콜로서스]] (2018, 닌텐도 스위치) * [[워프레임]] (2018, 닌텐도 스위치) * [[서브노티카]] (2018, 닌텐도 스위치/PS4/Xbox One) * [[울펜슈타인: 영블러드]] (2019, 닌텐도 스위치) * [[둠 3: BFG 에디션]] (2019, 닌텐도 스위치/PS4/Xbox One) * [[토치라이트 2]] (2019, 닌텐도 스위치/PS4/Xbox One) * [[포르자 호라이즌 4]] (2020, [[Xbox Series X\|S]]) * [[둠 이터널]] (2020, 닌텐도 스위치) * [[Apex 레전드]] (2021, 닌텐도 스위치) * [[스타워즈 제다이: 오더의 몰락]] (2021, [[PS5]]/Xbox Series X|S) [[분류:2007년 기업]][[분류:미국의 게임 제작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