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로스터)] ---- ||
'''{{{#FFFFFF 패트릭 산도발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FFF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FFFFFF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등번호 43번}}}''' || || [[존 커티스]][br](2019) || {{{+1 →}}} || '''{{{#FFFFFF 패트릭 산도발[br](2019~)}}}''' || {{{+1 →}}} || 현역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패트릭산도발.jpg|width=100%]]}}} || ||<-2>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No.43''' || ||<-2> '''{{{+2 패트릭 산도발}}}[br]Patrick Sandoval''' || || '''본명''' ||패트릭 조던 산도발[br]Patrick Jordan Sandoval || ||<|2> '''출생''' ||[[1996년]] [[10월 18일]] ([age(1996-10-18)]세) || ||[[캘리포니아|캘리포니아 주]] 미션비에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학력''' ||미션비에호 고등학교 || || '''신체''' ||190cm / 86kg || || '''포지션''' ||[[선발 투수]] || || '''투타''' ||[[좌투좌타]] || || '''프로입단''' ||[[2015 MLB 신인드래프트|2015년 드래프트]] 11라운드 (전체 319번, [[휴스턴 애스트로스|HOU]]) || || '''소속팀'''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2019~)''' || || '''계약''' ||1yr / $2,750,000 || || '''연봉''' ||2023 / $2,750,000 || || '''SNS''' ||[[https://www.instagram.com/psandy.43/|[[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소속 좌완 투수. == 선수 경력 == === [[휴스턴 애스트로스]] 산하 마이너 === [[2015 MLB 신인드래프트|2015년 드래프트]] 11라운드에서 휴스턴 애스트로스에 지명받아 입단하였다. 사이닝 보너스는 90만불. ===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 2018년 7월 26일, 국제계약 보너스 슬롯머니와 함께 트레이드되었다. 상대는 [[마틴 말도나도]]. 2019년 8월 5일, [[신시내티 레즈]]를 상대로 데뷔전을 가졌다. 5이닝 3피안타 8K 2자책을 기록했다. 2021 시즌 5월 3일 콜업되어 선발 로테이션을 돌고 있다. 전반기 성적은 12경기(선발등판 9경기) 56이닝 2승 3패 1세이브, 평균자책점 3.70(FIP 4.30)이다. 5월 중순에 선발 로테이션에 합류한 뒤로 선발 로테이션을 잘 돌아주며 준수한 성적을 기록했다. 7월 25일 [[미네소타 트윈스]]를 상대로 9회 원아웃까지 0피안타 3사사구(1볼넷) 13탈삼진을 기록하며 노히트노런을 노렸으나 아쉽게도 [[브렌트 루커]]의 타구가 안타가 되며 노히트노런 달성에 실패했다. 이 후 [[맥스 케플러]]를 잘 범타처리하며 완봉까지 아웃카운트를 하나 남겨둔 상황에서 [[라이셀 이글레시아스]]로 교체됐다. 교체되어 들어온 이글레시아스가 [[조시 도널드슨]]에게 적시타를 맞아 승계주자가 홈으로 들어오면서 이 날 최종성적은 8⅔이닝 1피안타 3사사구(1볼넷) 13탈삼진이 됐다. 2022 시즌 커리어 처음으로 100이닝 이상 던졌고 2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하였다. 다만 제구가 좋지 않아 WHIP이 높고 5이닝을 소화하는데도 투구수가 많은 유형이라 매시즌 승보다 패가 더 많았는데, 커리어하이를 찍은 시즌에도 패가 3개 더 많다. 산도발이 이런 단점을 잘 극복하면 향후 강력한 체인지업을 가진 에인절스의 1선발이 될 가능성 높다. 2023년 1월 13일, 연봉 조정을 피해 275만 달러의 연봉에 합의했다. 9월 25일 [[텍사스 레인저스]]전에 선발 등판했으나 4회초 피칭 도중 부상으로 조기 강판되었고 이후 부상자 명단에 올라 시즌을 마감했다. === 국가대표 경력 === ====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 [[멕시코 야구 국가대표팀]]의 일원으로 참가했다. 본선 1라운드 [[미국 야구 국가대표팀|미국]]전 선발 등판해 3이닝 2피안타 2볼넷 2K 1실점을 기록했다. 경기는 초반부터 멕시코 타자들의 맹폭으로 최종 스코어 11-5로 승리했으며, 산도발은 승리 투수가 되었다. 4강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일본]]과의 경기에서 선발로 출전하였고, 4⅓이닝 무실점으로 일본 타자들을 압도했다.[* 이는 산도발이 원래부터 좌타자한테 강했는데, 일본의 중심 타자들이 모두 좌타자였던 것이 컸다.] 주자 두 명을 남겨두고 [[호세 우르퀴디]]와 교체되었는데, 승계주자는 우르퀴디의 호투와 [[랜디 아로자레나]] 등의 호수비 등이 겹치며 실점으로 연결되지 않았다. 하지만 팀은 [[무라카미 무네타카]]의 끝내기 2루타로 패배했다. == 플레이 스타일 == 좌투수답게 좌타자한테 극강이다. == 연도별 성적 == ||<-18>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35]]]] {{{#FFFFFF '''패트릭 산도발의 역대 MLB 기록'''}}} || ||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 2019 ||<|5>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LAA]] || 10 || 0 || 4 || 0 || 0 || 39⅓ || 5.03 || 35 || 6 || 19 || 1 || 42 || 1.373 || 92 || 0.3 || 0.6 || || 2020 || 9 || 1 || 5 || 0 || 0 || 36⅔ || 5.65 || 37 || 10 || 12 || 0 || 33 || 1.336 || 81 || -0.2 || -0.1 || || 2021 || 17 || 3 || 6 || 1 || 0 || 87 || 3.62 || 69 || 11 || 36 || 4 || 94 || 1.207 || 124 || 1.5 || 2.0 || || 2022 || 27 || 6 || 9 || 0 || 0 || 148⅔ || 2.91 || 139 || 8 || 60 || 5 || 151 || 1.339 || 138 || 3.7 || 3.3 || || 2023 || 28 || 7 || 13 || 0 || 0 || 144⅔ || 4.11 || 145 || 12 || 74 || 4 || 128 || 1.514 || 110 || 2.4 || 0.6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br](5시즌)''' || 91 || 17 || 37 || 1 || 0 || 456 || 3.83 || 425 || 47 || 201 || 14 || 448 || 1.372 || 114 || 7.8 || 6.4 || [각주]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1996년 출생]][[분류:2019년 데뷔]][[분류:미션비에호 출신 인물]][[분류:좌완 투수]][[분류:좌투좌타]][[분류: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현역]][[분류:멕시코계 미국인]][[분류:멕시코의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분류: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