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팬택 베가]][[분류:현대카드]][[분류:팬택의 미출시 제품]][[분류:스마트 디바이스/2014년]] [include(틀:팬택 베가)] ||<-2><:> [br] {{{#046882,#17B6BF {{{+5 '''Brùklin''' }}}}}} [br] {{{#046882,#17B6BF {{{-3 '''IM-A777S''' }}}}}}[br][br]|| ||<-2><:>{{{#!wiki style="margin: -2px -10px" [[파일:Brùklin.png|width=60%]]}}}|| ||<-2><:><^|1>{{{#!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간단 사양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 '''프로세서''' ||<-5> 퀄컴 스냅드래곤 808 MSM8992 || ||<-2> '''디스플레이''' ||<-5> 5.0인치 16:9 비율 FHD(1920 x 1080) LCD (441 ppi) || ||<|2> '''카메라''' || '''전면 카메라''' ||<-5> 500만 화소 || || '''후면 카메라''' ||<-5> OIS 지원 1,300만 화소 || ||<|2> '''메모리''' || '''램''' ||<-5> 3 GB LPDDR3 SDRAM || || '''내장 메모리''' ||<-5> 32 GB eMMC 5.0 규격 || ||<-2> '''배터리''' ||<-5> 내장형 Li-Ion 2,300 mAh || ||||}}}}}}}}}|| '''Pantech Brùklin / IM-A777S''' [목차] == 개요 == [[팬택]]과 [[현대카드]]가 2014년부터 공동 개발한, 2015년 8월경에 출시 예정이었지만 '''[[베이퍼웨어|출시하지 못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이다.[* 공식적으로 프로젝트가 무산된 2015년 9월 10일 기준으로 [dday(2015-09-10)]일, 약 [age(2015-09-10)]년 정도가 지났다. [[http://m.mtn.co.kr/news/news_view.php?mmn_idx=2015091018183642813|#]] 다만, 실제로 개발이 중단된 시점은 회생절차 폐지가 결정된 2015년 5월로 추정되며, 현대카드가 프로젝트를 취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개발 코드네임은 EF78로 명명되었다. 초기에는 브루클린의 명칭이 Brooklyn 이었으나, 후에 Brùklin으로 변경되었다. == 사양 == ||'''주의 : __아래의 사양은 대부분 프로토타입 기기를 기준으로 작성되어 있으며, 실제 계획되었던 출시 사양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__'''|| ||[[SoC|프로세서]]||[[퀄컴 스냅드래곤 8]]08 MSM8992 [[SoC]]. {{{#!wiki style="margin:0 5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구성 내용 확인 ] ||<|2><:>[[CPU]]||<(>[[ARM big.LITTLE]]↓|| ||<(>[[ARM Cortex-A57]] MP2 1.8 GHz [[CPU]][br][[ARM Cortex-A53]] MP4 1.25 GHz [[CPU]]|| ||<:>[[GPU]]||<(>[[퀄컴 Adreno]] 418 600 MHz [[GPU]]|| ||<:>NPU & DSP||<(>[[퀄컴]] Hexagon V56 DSP|| ||<:>Sensor Hub||<(>DSP 대체|| ||<:>통신 모뎀||<(>[[Qualcomm Snapdragon X10 LTE Modem]]||}}}}}}|| ||[[메모리]]||3 GB LPDDR3 SDRAM, 32 GB [[eMMC]] 5.0 규격 내장 메모리|| ||[[디스플레이|디스[br]플레이]]||5.0인치 16:9 비율 [[FHD]](1920 x 1080) (441 ppi) 멀티터치 지원 정전식 [[터치 스크린]]|| ||[[네트워크]]||- [* 대부분의 기기들은 [[IMEI]]가 아예 존재하지 않으며, 일부 기기들은 IMEI가 존재하지만, 이 역시 통신이 불안정하며 사용이 거의 불가능하다.]|| ||근접통신||Wi-Fi 1/2/3/4/5, 블루투스 4.2+LE, NFC|| ||[[카메라]]||전면 500만 화소, 후면 [[OIS]] 지원 1300만 화소 [[AF]] 및 [[LED]] [[플래시(카메라)|플래시]]|| ||[[배터리]]||내장형 Li-Ion 2300 mAh|| ||[[운영체제]]||[[안드로이드(운영체제)/버전|안드로이드]] 5.0.2 (Lolipop)|| ||규격||68.71 mm x 138.64 mm x 7.95 mm|| ||색상||블랙실버, 화이트실버, 브라운실버, 네이비블루실버|| ||단자정보||USB 2.0 micro Type-B x 1, 3.5 mm 단자 x 1|| ||기타||[[FM#s-2|FM]] [[라디오]] 지원, [[MHL]] 3.0 지원[* MHL 3.0을 지원하는 실리콘이미지 Sii8620 칩이 탑재되었다. 다만, 관련 드라이버가 개발되어있지 않아 실제로 작동하지는 않는다.]|| == 상세 == ||
[[파일:브루클린 사진.jpg|width=400%]] || || 현대카드 디자인 라이브러리 1층에 전시된 목업 || 디자인은 기존 팬택의 스마트폰들과는 다르게 상당히 심플한 디자인이 채택되었다. 이는 심플한 디자인을 추구하는 [[현대카드]]에서 외관 디자인을 맡았기 때문에, 실제로 현대카드에서 출시한 [[현대카드#s-3.4. 6|코스트코 리워드 현대카드]] 중 Executive 등급 카드와 매우 비슷한 디자인을 가지고 있다. 이전 팬택 스마트폰 시리즈 중에서는 [[베가 아이언]]과 가장 유사한 디자인을 가지고 있으며, 이후엔 [[스카이 아임백]]에서 본 기기와 상당히 비슷한 디자인을 채택했다. 기본 색상은 블랙, 화이트, 브라운, 블루 총 4종을 계획하고 있었으며, 생산은 팬택이 담당하고 디자인과 홍보 등 마케팅은 현대카드가 맡기로 되어 있었다. 후면 디자인의 경우 [[베가 시크릿 노트]]와 같이 투톤으로 디자인 되어 있는데, 상단부는 메탈 느낌의 도색이 올라간 플라스틱 파츠가 사용되었고,[* [[LG G5]]의 마감과 유사하다. 단 G5는 실제 메탈 재질을 사용하였고, 브루클린의 경우 단순히 플라스틱 위에 메탈 느낌의 도색이 사용되었다.] 하단부는 마찬가지로 플라스틱 소재가 사용되었으나 [[베가 아이언2]]나 삼성전자의 [[갤럭시 노트3]] 블랙 색상과 같이 우레탄으로 마감되어 있다. 사양은 우선 AP로 [[퀄컴 스냅드래곤 8]]08 MSM8992를 사용한다. [[ARM Cortex-A57]] 듀얼코어 [[CPU]]를 빅 클러스터로 구성하고 [[ARM Cortex-A53]] 쿼드코어 [[CPU]]를 리틀 클러스터로 구성해 [[ARM big.LITTLE 솔루션|big.LITTLE 솔루션]]을 적용한 HMP 모드 지원 헥사코어 [[CPU]]와 [[퀄컴 Adreno]] 418 [[GPU]]를 사용한다. 개발 초기는 스냅드래곤 810이었으나 개발도중 발열문제로 인하여 808로 변경되었다. RAM은 LPDDR3 SDRAM 방식이며 3 GB이다. 내장 메모리는 eMMC 5.0 규격의 낸드 플래시를 사용하며 32 GB 단일 모델이다.[* 삼성전자의 [[https://www.samsung.com/semiconductor/estorage/emmc/KLMBG4GEND-B031/|KLMBG4GEND-B031]]가 공급되었다.] 또한, micro SD 카드로 용량 확장은 불가능하다. 디스플레이는 5.0인치 FHD 해상도를 지원하는 LCD 디스플레이를 탑재했다.[* [[CPU-Z]]에서는 표기 오류로 인해 4.77인치로 표기된다.] 이는 [[베가 아이언]]과 완벽하게 동일한 크기이며 5.15인치의 [[스카이 아임백]]에 비해 소폭 작은 크기이다. 배터리 용량은 내장형 2300 mAh이다. 개발용 단말기 기준으로 [[갤럭시 A5]]와 동일한 [[삼성전자]] 배터리 셀이 탑재되었다. [* 배터리 하단에 공간이 남아있는 것을 감안하면 배터리 제작이 늦어졌거나 비용 절감을 위해 갤럭시 A5의 셀을 사용한 것으로 추정되며, 실제 계획된 용량은 더 클 확률이 높다.] 후면 카메라는 [[OIS]] 기술이 적용된 카메라 모듈에 [[소니 엑스모어]] RS IMX214 센서의 1,300만 화소 카메라를 탑재했으며, 전면 카메라는 [[삼성 아이소셀]] S5K5E2 센서의 500만 화소 카메라를 탑재했다. 단자 규격은 일명 '5핀 단자'라 지칭되는 [[USB]] micro Type-B를 입출력 단자로 사용하며 전송 규격으로 [[USB 2.0]]을 지원한다. 또한 사운드 출력을 위한 3.5 mm 단자가 탑재되었다. 안드로이드 5.0 롤리팝을 기본으로 탑재했다. 구체적인 펌웨어 버전은 5.0.2이다. 또한 위 스펙표의 FM라디오는 완제품단말기 에서는 지원하지 않는다. 라디오기능은 미완성 프로토타입 기기에만 활성화 되어있다. 완성형 제품은 FM라디오, DMB 둘 다 없다. 현재 브루클린의 디자인은 현대카드 코스트코 익스클루시브 등급과 같은 디자인을 갖고 있으나 극초기 개발기기의 경우엔 스카이 [[듀퐁폰]]의 금장버전에 가까운 디자인을 갖고 있으며 스냅드래곤 810을 탑재하고 있다. 아무래도 팬택과 현대카드의 합작인 기기인만큼 초기엔 팬택의 디자인으로 가다가 후에는 현대카드 디자인으로 가게된 것 같다. 극초기 유닛과의 공통점이라면 디스플레이 패널은 동일하다. 극초기형 유닛의 경우엔 위에 언급했듯이 Brooklyn이라는 이름을 갖고 있다. == 문제점 == * 현대카드와의 공동 개발로 출시 예정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삼성전자]]의 [[삼성 페이|MST]], [[LG전자]]의 [[LG 페이|WMC]]와 같은 마그네틱 결제 기술이 적용되지 않았다는 아쉬움이 있다.[* 오히려 삼성전자가 당시 처음으로 MST 결제 솔루션을 사용한 [[삼성페이]]를 [[갤럭시 S6]]와 [[갤럭시 노트5]]에 탑재했다.] 다만 브루클린이 소수의 [[프로토타입]]만 존재한다는 것을 감안하면 실제 출시에서는 마그네틱 결제 솔루션 적용을 계획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으며, 혹은 범용적인 [[NFC]] 결제를 사용해 NFC 결제가 충분히 활성화될 수 있는 신호탄을 팬택과 현대카드가 쏘아올릴 수도 있었을 가능성도 존재한다. [* 이는 2023년 현대카드가 [[Apple Pay]]를 먼저 받아들이면서 뒤늦게나마 실현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 후면부의 재질이 플라스틱 위에 우레탄 코팅을 입힌 재질인데, 시간이 지나면 우레탄의 산화가 진행되면서 먼지가 심하게 붙고 끈적해지는 문제가 있다. 이는 같은 우레탄 코팅을 사용한 [[베가 아이언2]] 블랙 계열 색상의 백커버나, 삼성전자의 [[갤럭시 S4]] 스티치 커버, [[갤럭시 노트3]] 블랙 색상의 백커버, [[갤럭시 라운드]]의 백커버, [[갤럭시 그랜드2]]의 백커버와 동일한 증상이다. 먼지를 일반적으로 제거하려면 쉽게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테이프를 사용해 살살 제거해내는 것이 제일 안전한 방법이다. == 기타 == * 만약 본 기기가 정상적으로 출시되었다면, 2015년 팬택의 플래그십 역할을 수행하며 [[갤럭시 S6]], [[LG G4]], [[아이폰 6]]와 경쟁했을 것이다. 다만 당시 [[LG전자]]가 발열 이슈가 존재하는 스냅드래곤 810 대신 스냅드래곤 808을 탑재한 [[LG G4]], [[LG V10]]을 출시해 성능 이슈로 큰 타격을 입고 그 여파가 상당히 컸었다는 부분을 생각해보면, 안 그래도 재정적으로 상당히 불안정했던 팬택은 더욱 큰 타격을 입을 수 있었을 것이다. 아마 출시를 했다 하더라도 LG만큼의 자산도 없어 메인보드 무상교체도 사실상 불가능 했을것이다. 아마 화웨이의 [[넥서스 6P]] 의 메인보드 냉납 유상교체 처럼 욕을 바가지로 먹었을것이다. 아니, 그 이상으로. * PDL OS, 소프트웨어 상으로는 외부 유출을 방지하기 위함인지 모델명이 IM-A000으로 표기되어 있지만, 기기 후면 하단에서 본래 모델명인 IM-A777을 확인할 수 있다. * [[스카이 아임백]]과 외관 디자인이 상당히 유사하기에 브루클린 프로젝트를 재활용하여 스카이 아임백을 개발하였다고 오해할 수 있지만, 외관 디자인을 제외하면 규격, 내부 구조 등이 완전히 다르다.[* 전면 수화부 형태와 LED의 위치부터 완전히 다르며, 배터리나 메인보드의 형태가 상당히 다르다.] 다만 아임백 개발 당시 브루클린의 디자인을 기반으로 한 것은 거의 확실하다고 볼 수 있다. * 이전에 팬택에서 근무하던 연구원들의 [[LinkedIn]] 프로필에 브루클린에 관한 내용이 일부 존재하는데, 그 중 [[MSM8994]] 기반으로 표기되어 있는 경우도 존재하는 것으로 보아 처음에는 [[스냅드래곤 810]]으로 개발되었으나, 개발 도중 스냅드래곤 810의 발열 이슈로 인해 스냅드래곤 808 기반으로 계획이 변경된 것으로 추정된다. * 프로토타입 기기들의 펌웨어는 크게 S0227005, S0227006[* 각각 4월 3일, 4월 10일 빌드] 펌웨어로 갈리는데, S0227005 펌웨어는 설정 앱의 [[UI]]가 [[AOSP]]에서 크게 바뀌지 않은 상태이며 위젯 등이 완성이 덜 된 모습이지만, S0227006 펌웨어에서는 설정 앱 UI가 크게 바뀌어 있으며 자잘한 부분에서 더 완성이 된 모습을 보인다. ||[[파일:브루클린_안전재난문자.jpg|width=100%]]||[[파일:브루클린_긴급재난문자스크린샷.png|width=100%]]|| * [[IMEI]]가 존재하지 않으며, [[USIM]]을 장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긴급재난문자]]가 정상적으로 수신된다. * [[Nextbit Robin]]과 AP, RAM, 디스플레이 해상도 등 전체적인 사양이 비슷한데, 실제로 Nextbit Robin의 [[TWRP]]를 간단한 작업만으로 포팅시켜 [[https://cafe.naver.com/skyplanet/3597|부팅시킬 수 있다.]] * 유튜버 [[잇섭]][[https://youtu.be/B3vxniv9dPY|과]] [[뻘짓연구소]][[https://www.youtube.com/watch?v=bg7bn1PafAo|가]] 각각 구독자의 기기를 빌려 리뷰하였다. == 갤러리 == === 기기 모습 === || [[파일:A777_1.jpg|width=100%]] || [[파일:A777_2.jpg|width=100%]] || [[파일:A777_4.jpg|width=100%]] || ||<-3> {{{#!folding [ 추가 사진 펼치기 · 접기 ] || [[파일:A777_3.jpg|width=100%]] || [[파일:A777_6.jpg|width=100%]] || || [[파일:A777_5.jpg|width=100%]] || [[파일:A777_7.jpg|width=100%]] ||}}} || === UI 모습[* 후기 펌웨어 기준] === || [[파일:A777_8.jpg|width=100%]] || [[파일:A777_9.jpg|width=100%]] || [[파일:A777_11.jpg|width=100%]] || [[파일:A777_10.jpg|width=100%]] || ||<-4> {{{#!folding [ 추가 스크린샷 펼치기 · 접기 ] || [[파일:A777_12.jpg|width=100%]] || [[파일:A777_13.jpg|width=100%]] || [[파일:A777_14.jpg|width=100%]] || [[파일:006.png|width=10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