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최상급 효과 몬스터 카드.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PhantomDragon-LODT-JP-SR.jpg|width=400]]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팬텀 드래곤, 일어판명칭=ファントム・ドラゴン, 영어판명칭=Phantom Dragon, 몬스터=, 효과=, 레벨=8, 속성=빛, 종족=드래곤족, 공격력=2300, 수비력=2200, 효과1=상대가 몬스터의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때\, 패에서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이 카드가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한\, 자신의 몬스터 카드 존은 2곳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 쉽게 소환 가능한 최상급 몬스터. 특수 소환이 안 나오면 이상한 듀얼 환경상 패에 잡힌 다음 턴이면 바로 불러낼 기회가 온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2300은 준수하다고 볼 수는 없지만 그래도 특수 소환 속도가 빠르기로 유명한 [[사이버 드래곤]] 계열 몬스터들보다는 높은 편이다. 레벨 8에, 빛 속성에, 드래곤족이라서 다른 능력치도 축복받은 편. 특히 일반 소환권이나 다른 카드를 사용하지 않고 불러낼 수 있는 최상급 몬스터는, 상대 턴 한정이라곤 하지만 꽤나 매력적이다. 상대가 [[싱크로 소환]] 혹은 [[엑시즈 소환]]을 할 낌새가 보이면 대량전개를 하는 와중에 불러내서 [[무력의 증명]] 같은 것을 걸어주는 맛이 꽤 쏠쏠할 듯하다. 하지만 대체 왜 자신 몬스터 존을 2군데나 봉인하는 개성적이고 끔찍한 디메리트를 들고 나왔는지 의문. 사드 계열 견제를 위해서 너무나도 많은 것을 버린 느낌. 사이버 드래곤만큼 빨리 초반에 튀어나올 수 있는 녀석치곤 당시엔 공격력이 높은 편인 2300이라서 밸런스를 위해 그랬다고 쳐도 너무 큰 문제점. 이 디메리트가 가진 그나마 긍정적인 면은 상대의 [[방해꾼 트리오]]를 봉쇄한다는 건데, 방해꾼 토큰 때문이던 이 효과 때문이던 몬스터 카드 존을 못 쓰는 것은 어차피 거기서 거기. 그나마 소재로서의 제약이 없다는 것이 위안이다. [[어드밴스 드로우]]를 채용하는 덱이라면 투입할 여지가 있다. 몬스터 존을 봉쇄한다는 효과도 어차피 이 카드를 릴리스하면 없어지니 이 카드는 단순히 훌륭한 드로우 셔틀이 되어준다. 어드밴스 드로우를 쓴다는 것 자체가 최상급 몬스터가 많으므로 자연스래 필드에 내는 몬스터가 적다는 뜻이니 몬스터 존에 대한 부담도 적은 편이고, 특히 [[Sin(유희왕)|Sin]] 덱은 이 특징을 극대화해서 사용할 수 있다. 단, 이런 덱에서도 극초반에 이런 연계가 나와주지 않으면 좀 곤란해지는 것은 어쩔 수 없다. 그 외에는 [[스킬 드레인]]을 사용하는 덱에서 사용 가능. 패의 효과는 무효로 못하고 필드의 효과만 무효화하는 스드는 패에서의 효과는 좋지만 필드 위에선 짐덩어리를 지니는 이 카드에게 아주 잘 맞는다. 스킬 드레인 덱의 에이스인 [[신수왕 바르바로스]]와도 레벨 8의 특징을 공유하기도 하고. 레벨 8 엑시즈 소환을 노리는 고레벨 위주 덱에도 투입될 여지가 있다. 공격력 2300은 [[킹그렘린]]이나 [[기아기간토 X]] 등 흔히 엑시즈 소환되는 어드밴티지 벌이 랭크 4 엑시즈 몬스터들의 공격력과 같은 수치이고,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할 시 [[No.101 사일런트 아너즈 아크 나이트]]에게 흡수당하지 않으면서 전투로 파괴되지 않을 정도의 수비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엑시즈 몬스터가 튀어나올 때 적절히 던져주면 한 턴간의 벽 역할과 함께 다음턴의 랭크 8 엑시즈 소환을 이뤄낼 수 있는 발판이 되어준다. 싱크로 소환과 병행하더라도 레벨 3 튜너와 함께 [[성태룡]] 정도는 불러올 수 있다. 거의 비슷한 활용도를 지닌 카드로 [[대치의 G]]가 있다. 차이점이라면 대치의 G는 디메리트가 없지만 상대가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할 경우에만 가능하다는 것. 여담으로, 같은 팩에서 등장한 [[운마물|운마물-스톰 드래곤]]과 분위기와 구도가 겹친다. 이름 또한 후에 등장하는 [[오드아이즈 팬텀 드래곤]]과 우연히도 겹친다. 근데 재밌는 것은, 이름에 [[팬텀]]이 들어가는데도 속성은 어둠이 아닌 빛이라는 것이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파괴의 빛]] || LODT-KR041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파괴의 빛|LIGHT OF DESTRUCTION]] || LODT-JP041 || [[슈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파괴의 빛|Light of Destruction]] || LODT-EN041 || [[울트라 레어]][br][[얼티밋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Battle Pack 2: War of the Giants || BP02-EN065 || [[레어]][br][[패러렐 레어|모자이크 레어]] || 미국 || || [[분류:유희왕/OCG/드래곤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