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 {{{+2 {{{#FFFFFF ''' 페드로 코스타[* 거의 대부분의 시네마테크와 영화제에서는 '페드로 코스타'라고 표기하고 있고 영화비평잡지 FILO 정도만이 '페드루 코스타'로 쓰고 있는 상황이나,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법/포르투갈어|포르투갈어 표기법]] 및 그 용례에 따르면 'pedro'의 'o'는 강세가 없는 'o'이므로 '루'라고 표기하여야 한다.][br] Pedro Costa''' }}} }}}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페드로 코스타.jpg|width=100%]]}}}|| ||<:> '''{{{#white 국적}}}''' ||<(> [[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28]] [[포르투갈]] || ||<:><|2> '''{{{#white 출생}}}''' ||<(> [[1958년]] [[12월 30일]] || ||<(>[[포르투갈 제2공화국|포르투갈]] [[리스본]] || ||<:> '''{{{#white 부모}}}''' ||<(> 루이스 필리페 코스타[* 각본가 출신이다. 1990년에 이사벨 메디나라는 포르투갈 배우와 재혼한 것으로 보인다.] || ||<:> '''{{{#white 학력}}}''' ||<(> Escola Superior de Teatro e Cinema [* 리스본 대학에서 이곳으로 옮겼다. 영화 영상 전문 학교이다.] || ||<:> '''{{{#white 활동}}}''' ||<(> [[1989년|1989년 – ]][[현재]] || ||<:> '''{{{#white 데뷔}}}''' ||<(> [[1969년]] 장편 || [목차] == 개요 == 포르투갈의 영화/다큐멘터리 감독. 리스본 대학에 다니다가 영화전문학교인 'Escola Superior de Teatro e Cinema'로 전학한다. 이곳에서 안토니오 레이스, 파울루 호샤, 알베르토 세이사스 산토스 같은 포르투갈 대가에게 수업을 받았다. 그 후 몇몇 감독들의 조수로 일하다 1989년 <피(O Sangue)>로 영화세계에 입문하였다. 두번째 장편 <용암의 집(Casa de Lava)>을 만들고 세번째 장편<뼈(Osso)>에서부터 리스본의 빈민촌 폰타이냐스를 배경으로 빈민층의 삶에 초첨을 맞추기 시작해 폰타이냐스 3부작을 만들기 시작한다. 뼈의 주인공이었던 '''반다 두아르치'''를 그 다음 장편인 <반다의 방(No Quarto David Vanda)>에서 다시 같이 작업하여 2002년 칸영화제에서 상을 받게된다. 반다의 방이후 다큐멘터리 <당신의 숨겨진 미소는 어디에?(Ondo Jaz O Teu Sorvino?)>[* 원래는 아르테 TV의 요청으로 제작된 다큐이다. 그가 존경하는 두 거장인 장-마리 스트라우브, 다니엘 위예가 <시칠리아!>의 촬영을 마치고 편집하는 모습을 담은 다큐이다.][* 이 다큐는 극장용과 방송용 버전이 따로있다. 그리고 당.숨.미에서 사용되지 않은 6개의 장면들을 골라 새로운 맥락으로 편집된 단편 <여섯개의 바가텔(6 Bagatelas)>이 있다.]를 제작, 연출하고 폰타냐이스 3부작의 마지막 작품인 <행진하는 청춘(Colossal Youth)>[* <대단한 젊음>이라고도 불린다.]을 연출하여 2006년 [[칸 영화제]] 경쟁부분에 초청된다. 이 작품으로 그는 '''벤투라'''를 만나게 된다. 이 작품들로 거장의 반열에 오른 코스타는 다른 나라 거장들과 옴니버스 작품, 다큐 그리고 단편들을 찍는다. 2014년, 그는 거의 10년만에 벤투라가 주연을 한 신작 <호스 머니>를 연출하고 그 해 로카르노영화제에서 감독상을 수상하게된다. 2019년 [[비탈리나 바렐라]]로 [[로카르노 영화제]] 황금표범상을 수상했다. == 특징 == 영화광적인 인용, 때론 흑백까지 가는 무채색의 색감과 조명, 비전문 배우와 전문 배우가 뒤섞여있는 캐스팅, 과묵한 연기 지도, [[스트로브-위예|장 마리 스트로브와 다니엘 위예]]의 영화들에게 영향을 받은 다큐멘터리와 픽션의 모호한 경계, 소외된 자들에 대한 시선, 디지털 카메라 사용을 예로 들 수 있다. 1960년대 자국 포르투갈 뉴웨이브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감독이기도 하다.[* 특히 트라스 우스 몽스트나 녹색의 해 같은 자국 다큐픽션 영화들의 영향에 많이 받았다.] 영화판 [[사무엘 베케트]]라는 얘기도 자주 듣는다. <피>만 해도 [[로베르 브레송]]의 영향을 받은 전형적인 아트하우스 영화였지만 <용암의 집>을 거쳐 <뼈>에서 작법이 확 달라지게 된다. 이전까진 전문 배우들이 참여한 픽션 영화였다면, <뼈>는 실제 빈민가 사람들을 기용해 그들의 삶을 모호한 톤으로 다루면서 픽션과 다큐멘터리 간의 경계가 흐려지기 시작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가짜"같다는 고민을 하게 되고 때마침 등장한 디지털 카메라로 <뼈>의 등장 배우를 다시 내세워 찍은 <반다의 방>에서 지금과 같은 인장을 굳히게 된다. 비평가들과 영화광들의 굳건한 지지를 받는 감독이지만 대중성은 전무한지라 일반 관객들에게는 난해하다는 얘기를 자주 듣는다. == 필모그래피 == === 장편 === * 피 ''O Sangue'' (1989) * 용암의 집 ''Casa de Lava'' (1994) * 뼈 ''Ossos'' (1997) * 반다의 방 ''In Vanda's Room'' (2000) * 행진하는 청춘 ''Colossal Youth'' (2006) * 호스 머니 ''Horse Money'' (2014) * 비탈리나 바렐라 ''Vitalina Varela'' (2019) === 단편 === * 토끼사냥꾼 - 수용소의 삶 ''A caça ao coelho com pau - Memories'' (2007) * 타라팔 - 삶의 조건 ''Tarrafal - O Estado do Mundo'' (2007) * 아워 맨 ''O Nosso Homem'' (2010) * 어린 시절에 대한 회한 - 센트로 히스토리코 ''Lamento da vida jovem - Centro Histórico'' (2012) * 불의 딸들 ''Filles Du Feu'' (2023) - [[제76회 칸 영화제]] 단편 부문 초청작 [* 인터뷰에 따르면 장편 예고편 같은 느낌의 단편이라고 한다.] === 다큐멘터리 === * 당신의 숨겨진 미소는 어디에? ''Où gît votre sourire enfoui?'' (2001) * 아무 것도 바꾸지 마라 ''Ne Change Rien'' (2009) == 기타 == 상당한 수준의 음악광이다. [[뼈]]엔 [[와이어]]의 Lowdown을 삽입하기도 했고 행진하는 청춘은 [[영 마블 자이언츠]]의 음반에서 이름을 따왔다. 선호하는 타입은 [[펑크 록]]이나 [[포스트 펑크]]인듯. 일본 [[도쿄조형대학]]에서 객원 교수로 일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하스미 시게히코]]의 지지를 받아서인지 유달리 대접이 좋은 편이다. 한국에도 몇 차례 내한한 적이 있지만, 정식 개봉한 작품은 없다. 대신 영화제에서 자주 소개되었다. [[한국영상자료원]]에서 DVD로 <뼈>, <반다의 방>, <행진하는 젊음>[* 이 세 영화는 크라이테리온에서 만든 세트이다. 참고로 행진하는 젊음은 한국어판 DVD가 생겨 한국어 자막으로 볼 수 있게 되었다.]을 볼 수 있지만... 아까 말했다시피 한국에서 인지도가 시네필이 아니면 모르는 수준이라서 한국어 자막이 없다. 보고 싶다면 영어실력을 키우고 영자막을 트는 것을 추천한다. 정 한글 자막으로 볼려면 국내 [[시네마테크]] 상영관에서 상영해줄때 밖에 없다. [[유운성]] 평론가가 밝히길, [[불법 복제]]에 관대한 편이라고 한다. 자신의 영화를 불법 복제로 봐도 상관 없다고. [* 코스타는 비대중적인 노선 치고는 홈비디오가 잘 나오는 편에 속한다.] 실제로 인터뷰 등지에서 젊었을 적 음반이나 책 훔친 경험이 있다는 얘기를 하기도 했다. 영화평론가 정성일이 뽑은 21세기 영화 반다의 방[[https://youtu.be/JB1t4FWN0xs?t=1506|#]] [[파일:pedrocosta19.jpg|width=60%]] 2019년 [[비탈리나 바렐라]]로 [[로카르노 영화제]] 황금표범상을 수상했을 당시 의외로 [[맷 리브스]] 팬이다. [[클로버필드]], [[혹성탈출: 반격의 서막]], [[더 배트맨]]을 좋아한다고 인터뷰에서 밝힌 적이 있다. [[분류:포르투갈 영화 감독]][[분류:1958년 출생]][[분류:리스본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