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6px -11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3a0f, #69961b, #69961b, #3a3a0f)" {{{#ffffff {{{+1 '''페드로 파스칼'''}}}[br]'''Pedro Pascal'''}}}}}}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https://people.com/thmb/Rdv9TAuaadXP6FnRkJ7V45d-kgw=/1500x0/filters:no_upscale():max_bytes(150000):strip_icc():focal(572x679:574x681)/pedro-pascal-2000-4c240c5ee0cf45288e4d8e35a5ef257d.jpg|width=100%]]}}} || || '''본명''' ||호세 페드로 발마세다 파스칼[* 아버지의 이름을 딴 José에 어머니가 지어준 Pedro를 합쳐서 '호세 페드로'가 이름이다. 그리고 '발마세다 파스칼'이 성인데, 이는 친가(親家)쪽 성이 Balmaceda고 외가(外家)쪽 성이 Pascal이어서 그렇다.][br]José Pedro Balmaceda Pascal || ||<|2> '''출생''' ||[[1975년]] [[4월 2일]] ([age(1975-04-02)]세) || ||[[칠레]] [[산티아고(칠레)|산티아고]]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include(틀:국기, 국명=칠레)][* 칠레 산티아고 태생. 그러나 부모님이 정치적으로 망명하며 어린 시절에 미국으로 이주했다. 참고로 현재 미국 국적으로 미국에서 활동하고 있기 때문에, 칠레 태생이긴 하지만 미국인이 맞다.] || || '''신체''' ||180.4cm, 74.8kg, 285mm || || '''직업''' ||[[배우]] || || '''활동''' ||[[1996년|1996년]] [[현재]]|| || '''학력''' ||오렌지 카운티 예술 학교[* 대학이 아니라 공립 차터 스쿨(Public Charter School)로, 우리나라로 따지면 [[예술고등학교]]다.] (캘리포니아) [br][[뉴욕 대학교]] [[뉴욕 대학교#s-5.2|티시 예술대학]] || || '''가족''' ||아버지 호세 발마세다 리에라[br]어머니 베로니카 파스칼 유레타[br]누나 하비에라 발마세다 파스칼[* 미국에서 휘말린 모종의 사건으로 남매들의 부모가 다시 칠레로 돌아가면서, 동생들은 부모와 함께 칠레로 간 반면 페드로의 누나인 하비에라와 페드로만 미국에 남아 사는 것을 택했다고 한다.][br]남동생 니콜라스 발마세다 파스칼[br]여동생 룩스 파스칼[* [[1992년]]생 칠레의 배우. 남매가 나란히 배우다. 오빠와 달리 미국 국적이 아닌 칠레 국적을 선택하여 칠레인이며 칠레에서 배우 활동을 하고 있다. [[트랜스여성]]이고 개명 전 이름은 [[https://www.t13.cl/amp/noticia/tendencias/espectaculos/foto-esta-chile-tierno-saludo-pedro-pascal-su-hermano-lucas-su-cumpleanos|루카스 파스칼]]이다.] || || '''서명''' ||[[파일:Pedro_Pascal_Signature.png|width=100&bgcolor=#fff]] || || '''링크''' ||[[https://www.instagram.com/pascalispunk/|[[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pedropascal1, 크기=20)]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배우]]. 연극, TV, 영화계에서 꽤 오랫동안 활동해왔으며, 주 활동 영역은 TV 드라마와 영화이다. 영미권을 중심으로 세계적인 팬덤을 형성하는 《[[왕좌의 게임(드라마)|왕좌의 게임]]》에 출연해 [[오베린 마르텔]] 역으로 강렬한 인상을 남기면서 대중적인 인지도를 쌓기 시작했다. 한국에선 비교적 덜 알려져 있으나, [[넷플릭스 오리지널]] 범죄 드라마 시리즈 《[[나르코스]]》와 [[스타워즈]] 프랜차이즈의 첫 [[스타워즈 실사 드라마|실사 드라마]] 시리즈 《[[만달로리안]]》에서 주인공 [[딘 자린]]으로 활약하면서 서양 서브컬쳐계에서는 상당히 주목받고 있는 배우 중 한명이다. 2020년에는 《만달로리안》 시즌 2에서 평단과 대중의 찬사를 받음과 동시에, 《[[원더우먼 1984]]》의 메인 빌런 [[맥스웰 로드(DC 확장 유니버스)|맥스웰 로드]]로 열연을 펼치며 화제가 되었다. 이에 힘입어 그가 출연한 [[어린이 영화]] 《오늘부터 히어로》 역시 큰 성공을 거두며, 그는 한 해 동안 다양한 플랫폼[* 북미/유럽의 3대 [[OTT]] 서비스인 [[디즈니+]], [[넷플릭스]], [[HBO 맥스]]에서 각각 당해 스트리밍 기록을 갱신했다.]에서 최고의 화제작을 모두 석권하게 된다. 그리고 2021년, [[HBO]]의 차기 드라마 시리즈 《[[더 라스트 오브 어스(드라마)|더 라스트 오브 어스]]》에 주인공 [[조엘 밀러]]로 캐스팅이 확정되었다. 이로써 페드로 파스칼은 [[https://brobible.com/culture/article/pedro-pascal-rapid-hollywood-rise|전례없이 극적으로 떠오른 스타]]로 평가되고 있다. == 생애 == 1975년 4월 2일 칠레의 수도 산티아고에서 태어났다. 페드로의 아버지인 호세 발마세다는 산부인과 의사였다. 발마세다 가문은 [[바스크]]계 혈통의 [[정치인 가문]]으로, 칠레의 전 대통령인 [[호세 마누엘 발마세다]]를 비롯하여 많은 정치인들을 배출한 가문이었다. 어머니인 베로니카 파스칼은 아동 심리학자이자 [[살바도르 아옌데]] 대통령의 인척이었다.[* 베로니카의 삼촌인 가스톤 파스칼이 아옌데 대통령의 매제였다.] 이렇듯 페드로의 가족은 상당한 명문가였으나, 군부 독재자인 [[아우구스토 피노체트]]가 아옌데의 민주 정권을 전복시키고 정권을 장악하면서 위기에 처한다. 페드로의 부모는 아옌데를 지지하며 피노체트 독재에 반대하는 저항 단체에서 활동했기 때문에 군부로부터 쫓기게 된다. 결국 페드로의 부모는 어린 자녀들을 데리고 미국으로 정치적 망명을 하게 되었다.[* 페드로가 나중에 부모님이랑 사촌들한테 구체적으로 듣게 된 이야기로는, 페드로의 아버지가 먼저 베네수엘라 대사관 담을 넘을 정도로 급하게 피신했고 어머니도 소식을 전해 듣자마자 대사관에 갔다고 한다.][* 너무 어린 아이들이었던 페드로와 누나는 같이 숨어 지낼 수 없는 상황이어서 어쩔 수 없이 친척들한테 맡겨졌다고. 그러다 덴마크에서 정치적 망명을 인정하면서 가족 모두가 무사히 출국했다고 한다. 덴마크에서는 잠깐 있다가 아버지가 미국 병원에서 일자리를 구하면서 미국행을 선택하게 되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22638_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22638_1.jpg|width=100%]]}}} || ||<-2> '''{{{#fff 페드로 파스칼의 어린 시절}}}''' || 그렇게 미국 [[텍사스]]주 [[샌안토니오]]시, [[캘리포니아]]주 [[오렌지 카운티#s-2]] 등에서 자란 페드로는 어린 시절부터 수영에 뛰어난 재능을 보이게 된다. 11살에는 텍사스의 주 챔피언십에 초청돼 우승하며 장래를 수영 선수로 생각할 정도로 뛰어난 실력을 갖추지만, 캘리포니아로 이주하면서부터는 학교의 연극 동아리에 관심을 갖게 되면서 수영의 길을 접는다. 이후 연기에 재능을 보이며 오렌지 카운티 예술학교(Orange County School of the Arts)[* 공립 차터 스쿨. 우리나라로 따지면 [[예술고등학교]]다.]에서 연기를 접한 그는 [[뉴욕 대학교]] 티시 예술대학(NYU Tisch School of the Arts)[* [[뉴욕대]]의 예술 단과대다.]에 진학해 전문 연기자로 거듭나게 된다. == 배우 활동 == [[1996년]] 단편영화에 출연해 첫 연기 데뷔를 하게 된 그는 [[1999년]]부터 여러 연극과 TV 드라마 시리즈의 단역/조연으로 출연하게 되면서 실전 경험을 쌓는다. 그러다가 2013년, 《[[왕좌의 게임(드라마)|왕좌의 게임]]》 시즌 4의 [[오베린 마르텔]] 역에 오디션을 넣어 캐스팅 되는데, 이게 페드로 파스칼의 연기자 인생에 터닝 포인트가 된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edropascal_got&narcos.jpg|width=100%]]}}}|| 해당 배역으로 인상적인 평가를 받으며 대중의 인지도를 얻기 시작한 그는 다음해 2015년《[[나르코스]]》에서 [[나르코스/등장인물#s-2.1|하비에르 페냐]]로 첫 드라마 주연을 분하게 되고, 이 작품이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넷플릭스 오리지널]] 최고의 범죄 드라마 시리즈 중 하나로 흥행하면서 할리우드의 주목을 받게 된다. 이에 힘입어 《[[킹스맨: 골든 서클|킹스맨]]》과 《[[더 이퀄라이저 2|더 이퀄라이저]]》 속편 등에 출연 러브콜[* 특히 [[매튜 본]] 감독은 《나르코스》 시리즈에서의 페드로를 보고 "호기와 자신감을 보여주는 동시에, 거부당하는 것에 대한 상처를 표현하는 배우(Pedro had the swagger and confidence, but at the same time, such vulnerability of expecting to be rejected.)"라고 평하며 <킹스맨: 골든 서클>에 바로 캐스팅했다고 한다.]을 받게 되고, 2017년부터 스타워즈 실사 드라마를 준비하던 [[존 패브로]] 감독 눈에도 들면서 《[[만달로리안]]》의 주인공 [[딘 자린]]으로 발탁된다. 그리고 2019년, 해당 작품은 [[스타워즈]] 프랜차이즈에서 가장 사랑받으며 데뷔한 시리즈로 대성공을 거두게 된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edropascal_breakout_year.png|width=100%]]}}}|| 2020년에는 《만달로리안》 시즌 2와 함께 [[DC 확장 유니버스|DC]]의 《[[원더우먼 1984]]》에서 [[맥스웰 로드(DC 확장 유니버스)|메인 빌런]]으로도 호연을 펼치며 찬사받았다. 또 그가 출연한 [[어린이 영화]] 《오늘부터 히어로》는 [[미국|현지]]를 비롯한 주요 12개국에서 [[넷플릭스]] 콘텐츠 순위 정상을 차지, 공개 5일 만에 세계 순위(Global Top 50 Movies & TV Series on Netflix) 1위로 올라 최장기간 정상을 유지하는 신기록을 세웠다.[* [[크리스마스]] 연휴를 감안해도 이렇다 할 흥행 요소가 없는데 공개 하루만에 2위가 되었다. 해당 영화는 1월 15일까지 21일 간 1위를 유지했으며, 이로서 넷플릭스 콘텐츠 순위가 생긴 이래 최장기간 동안 1위에 올라있는 영화가 되었다.[[https://www.forbes.com/sites/travisbean/2021/01/13/we-can-be-heroes-just-accomplished-something-that-no-other-movie-has-ever-done-on-netflix/|#]]] 《만달로리안》의 딘 자린을 분하며 그가 얻은 인기를 실감할 수 있는 부분. 이렇듯 [[대중문화]]의 중심에서 한 해 동안 가장 성공한 배우로 자리매김하며 [[https://ew.com/tv/pedro-pascal-entertainers-of-the-year-2020/|올해의 엔터테이너]]로 선정되는 등, 오죽하면 '2020년은 페드로 파스칼의 해였다(2020 was Pedro Pascal's year)'는 [[https://screenrant.com/pedro-pascal-hero-villain-antihero-2020/|기사]]가 나올 정도다. 한편 2021년에는 《[[더 라스트 오브 어스(드라마)|더 라스트 오브 어스]]》에서 주인공 [[조엘 밀러]]로 캐스팅이 확정되었다.[[https://deadline.com/2021/02/pedro-pascal-star-joel-the-last-of-us-hbo-series-video-game-playstation-1234691935/|#]] 해당 작품은 [[더 라스트 오브 어스|동명의 게임]]을 실사화한 드라마이며, 2023년 1월부터 [[HBO]]에서 방영이 시작되었는데, 2010년 이후 첫화 시청률 2위[* 1위는 [[하우스 오브 더 드래곤]]이다.]를 달성하는 것은 물론 벌써부터 시즌이 끝나기도 전에 에미상 후보에 거론될 정도로 호평을 받고 있다. == 출연 작품 == === 영화 === || '''개봉 연도''' || '''제목''' || '''배역''' || '''비고''' || || 2001년 || Earth vs. the Spider || 고스족 남자 || Television Film || || 2005년 || Hermanas || 스티브 ||<|4> 조연 || || 2008년 || 아이 엠 댓 걸 || 노아 || ||<|2> 2011년 || [[컨트롤러#s-5|컨트롤러]] || 폴 데산티노 || || Sweet Little Lies || 파울리노 || ||<|2> 2015년 || 블러드서킹 바스터즈 || 맥스 필립스 || '''주연''' || || Sweets || 트윈 피터 || 조연 || || 2016년 || [[그레이트 월]] || 페로 토바르 || '''주연''' || || 2017년 || '''[[킹스맨: 골든 서클]]''' || '''[[잭 다니엘스(킹스맨 시리즈)|잭 다니엘스 / 위스키]]''' || 조연 || ||<|3> 2018년 || [[프로스펙트]] || 에즈라 ||<|10> '''주연''' || || '''[[더 이퀄라이저 2]]''' || '''데이브 요크''' || || [[빌 스트리트가 말할 수 있다면]] || 피에트로 알바레스 || || 2019년 || [[트리플 프런티어]] || 프란시스코 '캣피쉬' 모랄레스 || ||<|2> 2020년 || '''[[원더우먼 1984]]''' || '''[[맥스웰 로드(DC 확장 유니버스)|맥스웰 로드]]''' || || 오늘부터 히어로 || 마커스 모레노 || ||<|3> 2022년 || House Comes With a Bird || 니코 || || 더 버블 || 디터 브라보 || || [[미친 능력]] || 하비 구티에레스 || || 2023년 || 이상한 삶의 방식 || 실바 || ||<|3> 2024년 || Freaky Tales || || || || 드라이브 어웨이 돌스 || 산토스 || || || [[글래디에이터 2]] || || || ||<|2> TBA || 프리키 테일즈 || || || || 디 언인바이티드 || || || === 드라마 === || '''연도''' || '''제목''' || '''배역''' || '''비고''' || ||<|4> 1999년 || Good vs. Evil || 그레고어 뉴 || Episode: "Gee Your Hair Smells Evil" || || Downtown || 본인[* 참고로 이때만 해도 아버지 쪽 성을 따라 '페드로 발마세다'로 활동하고 있었으나 이후 외성으로 바꿔 현재의 이름으로 활동하게 되었다.] || 목소리 출연[br]Episode: "Hot Spot" || || Undressed || 그렉 || 3 Episodes || || 뱀파이어 해결사 버피 || 에디 || Episode: "The Freshman" || || 2000년 || 천사의 손길 || 리키 || Episode: "Stealing Hope" || || 2001년 || NYPD 블루 || 셰인 "디오" 모리시 || Episode: "Oh Golly Goth" || ||<|2> 2006년 || 뉴욕 특수수사대 || Kevin "Kip" Green || Episode: "Weeping Willow" || || 위드아웃 어 트레이스 || 카일 윌슨 || Episode: "Candy" || || 2008년 || [[Law&Order|로앤오더]] || 티토 카바사 || Episode: "Tango" || ||<|2> 2009년 || [[굿 와이프]] || 네이선 랜드리 || || || 뉴욕 특수수사대 || 레지 러크먼 || Episode: "The Glory That Was..." || || 2010년 || 간호사 재키 || 스티브 || Episode: "Twitter" || ||<|6> 2011년 || 라이트 아웃 || 오마 어새리언 || 4 Episodes || || 브라더스 & 시스터즈 || 잭 웰리슨 || 2 Episodes || || [[Law&Order: SVU|성범죄수사대: SVU]] || 그리어 요원 || Episode: "Smoked" || || 미녀삼총사 || 프레더릭 머서 || Episode: "Angels in Paradise" || || 원더우먼 || 에드 인델리카토 || Pilot Episodes || || 번 노티스 : 샘 엑스의 몰락 || Comandante Veracruz || Television Film || ||<|2> 2012년 || [[바디 오브 프루프]] || 잭 고프먼 || Episode: "Falling for You" || || [[CSI: Crime Scene Investigation|CSI 라스베가스]] || 카일 하틀리 || Episode: "Malice in Wonderland" || ||<|4> 2013년 || 니키타 || 리암 || Episode: "Aftermath" || || 레드 위도우 || 제이 카스티요 || 4 Episodes || || [[홈랜드]] || 데이비드 포르티요 || Episode: "Tin Man Is Down" || || The Sixth Gun || 오르테가 요원 || Pilot Episodes || || 2013년 ~ 2014년 || 그레이스랜드 || 후안 바디요 || 9 Episodes || ||<|3> 2014년 || [[멘탈리스트(드라마)|멘탈리스트]] || 마커스 파이크 || 7 Episodes || || Exposed || 오스카르 카스트로 바르가스 || Pilot Episodes || || '''[[왕좌의 게임(드라마)|왕좌의 게임]]''' || '''[[오베린 마르텔]]''' || 7 Episodes || || 2015년 ~ 2017년 || '''[[나르코스]]''' || '''[[나르코스/등장인물#s-2.1|하비에르 페냐]]''' ||<|2> '''주연''' || || 2019년 || '''[[만달로리안 시즌 1]]''' || '''[[딘 자린|딘 자린 / 만달로어인]]''' || ||<|2> 2020년 || Home Movie: The Princess Bride || 이니고 몬토야 || Episode: "Chapter Two: The Shrieking Eels" || || '''[[만달로리안 시즌 2]]''' || '''[[딘 자린|딘 자린 / 만달로리안]]''' || '''주연''' || || 2021년 || [[콜(드라마)|콜]] || 본인 || 목소리 출연[br]Episode: "Pedro Across the Street" || || 2022년 || '''[[북 오브 보바 펫]]''' || '''[[딘 자린|딘 자린 / 만달로어인]]''' || 3 Episodes || ||<|2> 2023년 || '''[[더 라스트 오브 어스(드라마)|더 라스트 오브 어스]]''' || '''[[조엘 밀러]]''' ||<|2> 주연 || || '''[[만달로리안 시즌 3]]''' || '''[[딘 자린|딘 자린 / 만달로어인]]''' || === 연극 === || '''연도''' || '''제목''' || '''배역''' || '''비고''' || ||<|2> 2005년 || Lorenzaccio || Piero Strozzi ||<|3> || || [[햄릿]] || 호레이쇼 || || 2005년 ~ 2006년 || Beauty of the Father || Karim || ||<|2> 2006년 || Based on a Totally True Story || Michael Sullivan || 세계 초연 || || [[멕베스]] || 단역 3개 ||<|5> || ||<|2> 2007년 || Some Men || 단역 5개 || || [[햄릿]] || 호레이쇼 || ||<|2> 2008년 || Sand || Ahmed / Armando || || Old Comedy After [[아리스토파네스|Aristophanes]]' Frogs || 디오니소스 || || 2009년 || The Miracle at Naples || Tristano || 세계 초연 || ||<|2> 2010년 || Maple and Vine || Roger || || || theaterjam || || 감독 || || 2011년 || Maple and Vine || Roger || || ||<|2> 2012년 || Yosemite ||<|2> ||<|2> 감독 || || Dear Darkness... || || 2014년 || 헛소동[*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극. 원제 《Much Ado About Nothing》.] || 돈 존 || || || 2019년 || [[리어 왕]] || 에드먼드 || [[브로드웨이]] 데뷔 || == 그 외 활동 == === 다큐멘터리 === || '''연도''' || '''제목''' || '''역할''' || '''비고''' || || 2021년 || 애니멀 || 나레이션 || 문어 편 || || 2022년 || Patagonia || 나레이션 || || === 뮤직비디오 === || '''연도''' || '''제목''' || '''아티스트''' || '''비고''' || || 2011년 || Make Some Noise || [[비스티 보이즈]] || || || 2015년 || [[https://youtu.be/fNdeLSKSZ1M|Fire Meets Gasoline]] || [[Sia]] || [* 독일의 모델이자 방송인 [[하이디 클룸]]과 함께 출연했다. 해당 영상은 하이디가 런칭한 속옷 브랜드 광고 겸 뮤비이며, Sia의 공식 뮤직비디오가 아니다.] || === 게임 === || '''연도''' || '''제목''' || '''배역''' || '''비고''' || || 2016년 || [[디스아너드 2]] || [[디스아너드 2/등장인물#s-8.2|파올로]] || 조연 || === 광고 === || '''연도''' || '''기업 / 브랜드''' || '''링크''' || || 2017년 || [[로에베]] || [[https://m.youtube.com/watch?v=Kb3ylQVgYU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018년 || 해피 삭스 || [[https://youtu.be/u1E9jsbCDTI|[[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020년 || [[iPhone 12 Pro]] || [[https://youtu.be/P91bKe-J-mcI|[[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021년 || 디아블로 '와인 레전드' 캠페인 || [[https://youtu.be/PjyvJL_oGT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br][[https://youtu.be/yG9pUw61_p4|[[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023년 || Merge Mansion || [[https://youtu.be/KL85b5n6sr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br][[https://youtu.be/Up_XW5bLn6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br][[https://youtu.be/shEsdZtvL4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인터뷰 === || '''연도''' || '''제목''' || '''링크''' || || 2015년 || Game of Thrones The Fallen A Roundtable | Sky Cinema || [[https://youtu.be/7WJ6LNYVYj8|[[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br][[https://m.youtube.com/watch?v=WABxsEHXkZQ&feature=youtu.b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br][* 페드로의 인터뷰 중간에 가짜 피를 이용한 촬영 장면이 나오므로 주의한다.] || || 2019년 || Oscar Isaac & Pedro Pascal Answer the Web's Most Searched Questions | WIRED || [[https://youtu.be/stLw-2Ob8x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br][[https://youtu.be/BzjzzlLyhV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020년 || Wonder Woman 1984's Pedro Pascal Guesses Porn Star or Comic Book Character - Stir Crazy || [[https://youtu.be/vC0ySEvVnW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br][[https://youtu.be/vKDMPClP0f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021년 || Ewan McGregor & Pedro Pascal | Actors on Actors - Full Conversation || [[https://youtu.be/hsxQXs9bjb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br][[https://youtube.com/playlist?list=PLV763F42mr4vylzuwnaYTfvH906FQgOq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022년 || Pedro Pascal Takes a Lie Detector Test | Vanity Fair - YouTube || [[https://youtu.be/oU7-KMGZ4b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br][[https://youtu.be/_ysdB8qDev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밈 == * 어째서인지 굉장히 잔인하게 죽는 필모그래피가 많아서 [[사망전대|잔인하게 죽는 전문 배우]]로도 유명해졌다. 페드로 파스칼 죽음(Pedro Pascal Death)이 구글 서치에 바로 나올 정도. 이에 본인도 자기가 죽이고 싶게 생겼냐고 얼빠진 얼굴로 물었다. 주로 머리 부위에 충격을 받아 [[두부외상]]으로 죽는 경우가 많은데, 머리 보호대 좀 차고 나오라는 밈이 생길 정도이다. 실제로 이후 《[[만달로리안]]》에서는 시종일관 헬멧을 쓰고 나와서 [[배우 개그]]가 되었다. --[[더 라스트 오브 어스(드라마)|이젠 골프채 맞고 죽게생겼다.]]-- * 2020년부터 과거 연극 프로젝트 일환으로 출연했던 한 [[https://www.youtube.com/watch?v=FQv7dGf_CLY&t=1203s|낭독극]]에서 선보였던 [[https://www.youtube.com/watch?v=55YOw2Oz8ac|억지스럽게 웃다가 서서히 오열로 변하는 연기]]가 갑자기 밈으로 부상하여 SNS 등지에서 신나게 합성당하는 중이다. 영상에 주로 사용되는 BGM은 [[Beach House]]의 [[https://www.youtube.com/watch?v=RBtlPT23PTM|Space Song]]. 과거 행복했던 시절을 회상하다가 서서히 암울한 현실을 자각하는 웃픈 상황이나 영화나 애니에서 호감 캐릭터가 [[사망]]한다거나 [[흑화]]할때 등등 만능소스로 활약하고있다. [[https://youtu.be/EUQ3CsS-Jak|예시들]] * [[니콜라스 케이지]]의 광팬인 마피아 대부 역을 맡은 [[미친 능력]]에서 나온 장면으로, 니콜라스와 함께 LSD를 투여하고 드라이빙 하는 장면이 밈이 되었다. 약에 거하게 취해 보이는 둘의 표정이 포인트. [[https://www.youtube.com/watch?v=_yRqfLL21ds|예시]] == 여담 == * 어렸을 때 왼쪽 팔만 3번이나 부러졌다고 한다. 그 중 2번은 영화 《[[인디아나 존스]]》를 보고 흉내내다가 낙상을 당했다고. * 학창 시절 본명 대신 '피터(Peter)'라는 이름[* 사도 [[베드로]]의 스페인어식 이름인 'Pedro'를 영어식으로 함부로 바꾼 것. 본인의 동의없이 이렇게 바꾸는 것은 '''성명 강요'''로, 명백한 [[인종차별]] 행위다.]으로 불려서 학적에도 그렇게 기록되어 있다. 그 당시에는 분위기 때문에 아무 말도 못한 것에 대해 후회한다고. 배우 생활 초창기까지도 영미권 이름으로 활동하면 배역이 더 잘 들어온다는 에이전시의 권유로 알렉산더라는 예명으로 활동했는데 '이건 내가 아니다'라는 생각에 본명으로 다시 바꿨다 한다. * 배우 생활 초창기 단역을 하면서 부업으로 웨이터 일을 했는데, 7년간 20번 넘게 해고당했다가 고용되는 과정에서 고생이 심했던 모양이다. * 그의 부모는 70년대에 칠레에서 미국으로 정치적 망명을 왔지만, 90년대 아버지의 사업이 사건에 휘말리면서 부모가 동생들을 데리고 다시 칠레로 귀국한다. 이 때문에 당시 [[뉴욕대]]에서 공부하고 있던 페드로만 졸지에 혼자 미국에 남겨졌고, 당시 일에 대해 그는 한 인터뷰에서 "어느날 갑자기 돌아갈 곳이 없어진 기분이었다."고 회상했다. 이후 그의 누나인 하비에라가 다시 미국에 돌아와서 둘이 함께 밥벌이를 하며 힘들게 살아야했다고. 그래서인지 파스칼은 형제자매들 중 유독 누나와 사이가 각별하다.[* 조카들과 보내는 시간이 많은지 일상 사진도 거의 대부분 누나네 아이들과 함께 찍은 사진이다.] * 외모가 아버지와 굉장히 닮았다. 특히 [[https://www.instagram.com/p/ByxbNh0DwCN/?igshid=1ah6o43ccwqyb|아버지의 젊은 시절 모습]]과 비교하면 판박이다. 다만 그의 친척들에 따르면 페드로는 아버지보다 어머니를 많이 따랐다고 한다. 상술했듯이 페드로의 일가족이 뿔뿔이 흩어지게 된 이유에는 아버지의 사업 문제 외에도 부모의 부부 갈등 문제가 있었는데, 얼마 안 있다가 어머니가 갑작스럽게 돌아가시면서 한동안 아버지를 굉장히 원망한 모양이다. 당시 그의 나이가 24살로, 아직도 이때 일을 떠올리면 어머니의 곁에 있어드리지 못해서 후회스럽다고 한다.[* 다만 그의 어머니는 가족들이 칠레로 돌아가도 페드로가 뉴욕대에서 학업을 계속하길 원했고, 그래서 그 혼자 미국에 남아있었다고 한다.] 배우 초창기 '페드로 발마세다(Pedro Balmaceda)'로 활동하던 그가 '''어머니 쪽 성(姓)인 Pascal로 바꿔 현재의 '페드로 파스칼(Pedro Pascal)'이 된 것도 이 일 때문'''이다. 이때 일에 대해서는 인생에서 가장 힘든 시기였으며, 스스로와 완전히 화해하게 되는 날이 올 수 있을지는 모르겠다[* 인터뷰 원문: "For me it was the hardest time. I have not been able, and I do not know if someday I will be able to reconcile completely how my parents separated and the tragedy that came after that separation.(저에게는 가장 힘든 시간이었습니다. 부모님의 결별과 그 이후에 일어난 비극에 대해서 지금도 받아들이기 힘들고, 과연 스스로와 완전히 화해하게 될 날이 올까 싶어요.)"]고 밝혔다. 그래도 시간이 흐른 지금 아버지와는 사이가 풀린 모양인지, 우애가 좋은 형제자매들과 함께 연말연초는 항상 칠레에서 가족들이 함께 모여 지낸다. [[코로나 19]]가 터지면서 가족을 못 만난지 오래되어서, 대신 전화를 자주 한다고 한다. * 어머니의 장례를 치르고 뉴욕에 돌아와 얼마 뒤에 [[9.11 테러]]가 났는데, 이런저런 사건들 때문에 정신적으로 너무 힘든 시절 페드로에게 마음의 위안이 되어준 곳은 미술관이라고 한다. 밑의 그림들은 여느 날처럼 지쳐서 들어간 전시회장에서 처음 봤는데 눈물이 터져나와 잊혀지지 않았다고.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게르하르트리히터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게르하르트리히터2.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게르하르트리히터3.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게르하르트리히터4.jpg|width=100%]]}}} || ||<-3> '''{{{#fff 게르하르트 리히터의 Seascape 작품 전시회}}}''' || * 페드로에게 가장 희망을 준 작품은 [[앙리 루소]]의 《The Dream》. 지금은 너무 바빠서 본지 오래됐지만 당시엔 시간날 때마다 계속 돌아가서 봤을 정도로 좋아했다 한다. 세상에서 명화 하나를 가질 수 있다면 이걸 가지고 싶다고 말하기도 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앙리루소TheDream.jpg|width=100%]]}}} || * 태생 때문에 칠레 산티아고 출신으로 분류되어 있지만 본인은 고향을 [[뉴욕시]]라고 생각하는 모양이다. 그도 그럴 것이 1993년부터 20년 넘게 [[뉴욕시]]에서 살았다. 현재는 [[캘리포니아]]주 [[로스엔젤레스]]시에 거주하고 있지만 누나네가 동부에 있어서 자주 왔다갔다하는 모양. * [[히스패닉]]계 미국인답게 모국어가 영어고 평소 억양도 평범한 캘리포니아 억양이다. 하지만 여느 이민 가족처럼 부모님의 영향으로 집에서는 칠레계 스페인어를 섞어 쓰고 그래서 스페인어도 자연스럽게 잘한다. 어떤 언어로 사고하냐는 질문에 스펭글리쉬(Spanglish)(스페인어와 영어를 합친 말장난)로 사고한다고 답했다. * 본인 말로는 스페인어를 일상생활 언어 정도로만 할 줄 안다고 하는데 인터뷰를 하다가도 인터뷰어도 스페인어를 할 줄 알 때 분위기가 편하거나 사적인 얘기를 할 때는 곧잘 스페인어로 말하는 편이다. 그리고 영어와 스페인어만큼 유창하게 잘하는 건 아니지만 미국 수화도 이해하고 응용하는 정도로 할 줄 안다. * 《[[아메리칸 호러 스토리]]》, 《[[오션스 8]]》로 유명한 배우 [[사라 폴슨]]과 굉장히 다정하게 찍은 사진이 많아서 연인이 아니냐는 오해를 받았는데, 두 사람은 18살 때부터 절친하게 지내온 죽마고우 사이다. 그래서 연인처럼 다정한 남사친&여사친 관계로 유명하다.[* [[사라 폴슨]]은 커밍아웃한 [[양성애자]]이다.] 페드로가 아직 무명이던 시절[* 비백인으로 정해진 배역이 아니면 역을 따내기 위한 오디션에서 대사를 전부 읊기 전에 쫓겨나는 경우도 많았다. [[칠레인]]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칠레]]는 남미에서 [[우루과이]]하고 [[아르헨티나]]처럼 [[백인]]의 비율이 높은 나라라 유럽 백인처럼 생긴 칠레인들을 매우 흔하게 볼 수 있다. 설령 윗대에 [[잉카]]나 [[마푸체]] 등 [[아메리카 원주민]] 혈통이 섞였더라도 칠레가 위도가 많이 높아서 [[멕시코]] 등과 다르게 원주민들의 피부가 하얀 편이고, 그 결과 칠레인들이 평균적으로 피부가 새하얗다. 근데 페드로는 전형적인 라틴계 백인처럼 생긴 부모와 형제들과는 달리 칠레인치고 피부색이 어두운 편이라 [[메스티소]] 느낌이 드는데, 스페인식 이름까지 더해서 미국에서는 비백인 배우로 분류되고 페드로 본인도 그렇게 생각한다. 같은 칠레계 미국인인 [[벤 발마세다]]하고 [[제이슨 리브렉트]]가 그냥 백인처럼 보이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실제 혈통은 [[스페인인]], [[바스크]]인, 아메리카 원주민, [[프랑스인]], [[웨일즈]]인 외에도 약간의 [[포르투갈인]], [[아르헨티나인]], 볼리비아인, 멕시코인, 파나마인, 페루인 혈통이 섞여 있다.[[https://ethnicelebs.com/pedro-pascal|#]]]에 힘겨울 때 큰 도움을 준 친구라고.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edropascal_sarahpaulson.jpg|width=100%]]}}} || * 배우 [[오스카 아이작]]과도 절친이다. 2005년 연극활동 당시에 만나 친해졌다고. 2019년 《트리플 프론티어》에서 케미를 뽑내며 [[Wired]] 구글 서치 질문[[https://youtu.be/stLw-2Ob8xQ|#]] 등 인터뷰도 같이 했다. * 《[[왕좌의 게임(드라마)|왕좌의 게임]]》을 함께 찍은 배우 [[레나 헤디]]와 연인이었으며 약 1-2년 정도 교제하다가 결별했다는 소문[* 당시 두 사람이 올리던 사진이나 둘의 데이트를 찍은 [[파파라치]]와 목격자들이 많았던 걸 보면 어느 정도 사실이었던 듯하지만, 두 배우 모두 교제 사실을 정식으로 인정한 사실이 없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루머로만 남았다.]이 있다. 2015년 헤디가 득녀하자 팬(안티)들은 딸의 친부가 페드로 아니냐고 추측했지만, 친부는 영국 감독 댄 케이덴인 것으로 밝혀졌다. * 2015년 《[[나르코스]]》를 찍기 전 공동 주연인 배우 [[보이드 홀브룩]]과 함께 버지니아 주 콴티코의 [[미합중국 법무부 마약단속국|마약단속국]] 본부에 위치한 훈련소에서 일주일 간 실제 DEA 요원 훈련을 받아야 했다고 한다. 실화 바탕의 드라마인만큼 실제 인물과 사건들을 재현해야 하다보니, 권총을 제대로 잡는 방법부터 기본적인 마약 현행범 체포 방식 등에 대한 교육과 모의 훈련도 경험했다고. 거기서 페드로가 작중에서 맡은 역의 실제 인물인 하비에르 페냐(Javier Peña) 요원을 만났다고 한다. * 2017년 개봉한 《[[킹스맨: 골든 서클]]》을 찍으면서 허리 부상을 당했다. 촬영 당시 날뛰는 로봇 소(bull) 위에 묶여서 간신히 매달린 채로 찍어야하는 파트가 있었는데, 그걸 약 일주일간 스턴트 없이 찍다가 허리에 무리가 와서 경막외 마취제까지 맞으면서 치료받을 정도로 심각했다고. 문제는 그렇게 해서 찍은 장면들이 전부 영화 최종 편집에서 [[감독판|디렉터스 컷]]으로 잘렸다. 페드로는 개봉 전까지 이 사실을 모르고 있다가 《나르코스》 시즌 3 촬영장으로 걸려온 [[매튜 본]] 감독의 전화 한 통으로 통보 받게 되었다고 한다. 어쨌든 이때 허리가 많이 안 좋아져서 이후로 고질적인 문제가 된 모양이다. * 2018년 [[존 패브로]] 감독에게서 "[[스타워즈]]와 관련된 무언가에 대해서 논의하고 싶다"는 전화를 받고는 깜짝 놀랐다고 한다. 무슨 역인지도 모른 채로 약속 장소인 스튜디오에 나갔고, 거기에는 존 패브로와 함께 [[스타워즈: 클론전쟁(2008)|스타워즈 애니메이션 시리즈]]의 제작자인 [[데이브 필로니]]도 나와있었다고. 70년대생답게 스타워즈의 팬이었던 페드로는 두 감독과 함께 [[스타워즈 오리지널 시리즈]]와 스튜디오 벽면에 가득한 《만달로리안》 초안 아트워크에 대한 얘기를 나눴는데, 그때까지도 본인이 단순히 [[드로이드]]나 외계생명체 역의 성우를 맡은 줄 알았다고 한다. 그래서 존 패브로 감독에게 자신의 배역을 물었을 때, "당신이 주인공 만달로리안이다(You are the Mandalorian)."이란 답을 듣고는 정말 꿈만 같았다고. * 존 패브로 감독은 페드로를 딘 자린으로 직접 핸드픽했다. 《만달로리안》 프로젝트 초기부터 1순위 후보였고 계약할 때도 당시 페드로의 스케줄이 굉장히 꼬여있었는데 촬영 편의를 봐줄 정도로 적극 캐스팅할 정도였다. * 2019년 《만달로리안》을 찍다가 '''콧대가 찢어지는''' 부상을 겪었다. 분장실에서 분장을 마치고 촬영장으로 나오다가 합판에 얼굴을 세게 부딪혔는데, 콧대 중간 부분이 찢어져서 급하게 응급실로 갔다고. 하필이면 그날 한 분장이 폭발물에 심하게 당한 분장이어서 머리와 귀가 가짜 피로 피범벅되어 있었고, 진짜로 찢어진 코에서 흐르는 피도 장난이 아니어서 도착한 응급실에선 페드로를 심각한 중환자로 오해하는 등 웃지 못할 해프닝이 있었다고 한다. 다행히 오해를 풀긴 했지만 심하게 다쳤었는지 일곱 바늘이나 꼬맸다고. 그리고 그날 바로 다시 촬영장에 복귀해 찍은 장면이 [[:파일:The Mandalorian S1E8 Bacta Spray.jpg|이것]]. 이 사건 때문에 해당 장면을 위한 [[메소드 연기]]였냐며 존 패브로 감독과 데이브 필로니 감독이 한동안 놀렸다고 한다. * 페드로와 17살 차이 나는 막내 동생 룩스 파스칼은 현재 칠레에서 활동하고 있는 [[트랜스여성]] 배우다. 또한 룩스는 성전환 하기 직전인 2019년에 칠레 [[퀴어 영화]] 《[[https://movie.daum.net/moviedb/main?movieId=135343|더 프린스]](El Príncipe)》에서 동성애 연기를 선보인 바 있다. 그러다보니 페드로 역시도 자연스럽게 [[성소수자]] 인권 운동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인 지지를 표명하고 있다. 개인사적 배경도 영향이 있겠지만 상당한 진보 성향으로, [[여성들의 행진|Women's March]], [[LGBT+]], [[BLM]] 운동 등 다양한 [[사회 운동]]에 꾸준하게 적극적으로 참여해왔다. * [[iPhone 12 Pro]] [[https://youtu.be/P91bKe-J-mc|광고]]의 목소리다. 오랜 [[Apple]] 유저이기도 한데, 광고를 찍고 출시 직전에 새 것을 받은 듯하다. 그런데 정작 페드로는 팬들 사이에서 [[기계치]]로 유명하다. * 《만달로리안》을 시작으로 《[[원더우먼 1984]]》, 《오늘부터 히어로》에서도 자식을 몹시 사랑하는 아버지 역으로 나왔는데, 《[[더 라스트 오브 어스(드라마)|더 라스트 오브 어스]]》에서 또다시 비슷한 역을 맡게 되며 타입캐스팅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우스갯소리가 나왔다. * 가장 좋아하는 동물은 [[코끼리]]. TV에 코끼리가 나오면 시간가는 줄 모르고 본다고. 동물원에 가도 코끼리부터 찾는다고 한다. 그밖엔 문어도 좋아하는데, 신기한 동물이어서 애완문어 키우고 싶다고 한 적도 있다. * 몸에 확인된 타투만 6개인데, 그중 3개가 작은 코끼리 그림이다. 양쪽 다리 허벅지 안쪽에 하나씩 있고, 오른 다리 허벅지 바깥쪽 무릎 위쪽으로 하나가 있다. 코끼리 말고도 왼손 엄지 검지 사이에 작은 과녁 모양이 있는데 이건 학창 시절 추억이 담긴 낙서라고 한다. 이어서 페드로의 오른 손목에는 P처럼 보이는 V 모양이 있는데 이건 돌아가신 어머니의 이름을 기리기 위해서 새긴 시그니처라 한다. 그리고 왼쪽 귀 뒤에 꽃잎이 몇 잎 빠진 작은 꽃 그림은 누나와 함께 똑같이 받은 타투.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83436_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83436_2.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83436_3.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83436_4.jpg|width=100%]]}}} || * 페드로가 가장 좋아하는 과일은 베리류. 어떤 종류의 베리든 가리지 않고 전부 다 좋아한다.[* 관련된 일화로 드라마 《왕좌의 게임》 시즌 4에서 조프리의 결혼식 장면을 찍을 때 하객 음식으로 베리가 가득했는데 그걸 진짜 먹으면서 찍어서 장면 데코팀이 계속 리필해줬다 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63854_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63854_2.jpg|width=100%]]}}} || * 지인들 사이에서 유명한 [[독서광]]일 정도로 책을 좋아하고 많이 읽는다. 비소설보다 소설을 훨씬 더 좋아하는데, 그 이유를 "진실은 소설에 있다고 생각해요"라고 말했다. 휴일에 자주 가는 곳도 서점이라고. 그리고 팬들한테도 책 관련 질문받는 것을 좋아하는 듯하다. * 페드로가 살면서 가장 감명 깊게 읽은 책은 [[표도르 도스토옙스키|도스토옙스키]]의 『[[죄와 벌]]』, 어렸을 때 읽은 책 중에 가장 기억나는 책은 리처드 애덤스의 『[[워터쉽 다운]]』, 그밖에 가장 사랑하는 책들은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마르케스]]의 『[[백년의 고독]]』, [[샬럿 브론테|브론테]]의 『[[제인 에어]]』, 『[[호밀밭의 파수꾼]]』 저자이기도 한 [[J. D. 샐린저|샐린저]]의 모든 책이라고 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에드가225353_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에드가225353_2.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그레타225353_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그레타225353_2.jpg|width=100%]]}}} || ||<-2> '''{{{#fff 앞의 두 사진은 에드가, 뒤의 두 사진은 그레타}}}''' || * [[강아지]]를 매우 사랑한다고 한다.[* [[고양이]]도 좋아하지만 안타깝게도 [[알러지]]가 있다.] 키운 아이 중에 편애하면 안 되지만 지금까지도 가장 사랑하는 녀석은 12년 동안 함께한 그레타라고 언급했다.[* 그레타는 13년에 무지개 다리를 건넜다.][* 에드가는 2018년 런던의 다른 가정집으로 입양 갔다. 소식이 더 이상 올라오지 않는 건 이것 때문. 바쁜 촬영 스케줄 때문에 여행이 잦아져서인지 페드로는 현재 아무것도 키우지 않는다.] * 가장 좋아하는 영화는 《[[차이나타운(1974)|차이나타운]]》(1974), 《[[이터널 선샤인]]》(2004), 《[[뜨거운 오후]]》(1975), 《[[투씨#s-2|투씨]]》 (1982) * 만약 배우가 아니었다면 되고 싶은 직업은 [[종군 기자]]나 문학을 가르치는 선생님이라고 말했다. * 페드로는 팬들이 자길 '''페드리또'''라고 불러주는걸 좋아한다고 말했다. Pedrito는 스페인어로 "작은 페드로"라는 뜻을 가진 애칭. 그래서 페드로의 팬들은 《만달로리안》의 아기도 페드로에 대한 애정을 담아서 Yodito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 남미 혈통답게 [[천주교]] 집안 출신이라 유아 세례를 받았지만 [[불가지론자]]이다. 자신이 뭘 믿는지, 뭔가 믿기는 하는지 모르겠고 신이라는 관념에 대해서도 회의적이라고. 믿는 게 있다면 좋은 사람이 되는 게 가장 중요하다는 것이라고 한다.[* 되도록 이런 질문은 하지 않는 게 예의지만, 페드로 친척이 이 부분을 어머니와 관련해서 질문한 인터뷰에서 페드로는 자기가 기도를 안 해서 떠난 사람을 가깝게 느낄 수 있는 의식같은 건 하지 않지만 엄마를 위해 살아가는 것, 그게 자신한테는 납득이 되는 방법인 거 같다는 식으로 말한 적이 있다.] * 《왕좌의 게임》에서 [[오베린 마르텔]]의 발음은 작가진이 아니라 페드로가 떠올리고 만든 것이다. 첫 오디션 테이프을 보낼 때부터 그 발음으로 했으며, 대본을 보자마자 오베린은 킹스 랜딩 사람들과 출신/생김새/옷차림/행동 등 모든게 다르니까 발음도 달라야 한다고 생각했다고. 그걸 본 각본가 [[데이비드 베니오프]]는 대만족했고, 페드로의 오디션 테이프으로 바로 캐스팅을 확신했을 뿐만 아니라 나중에는 오베린 발음에 맞춰서 다른 도르네 출신의 캐릭터들 발음을 오베린식으로 맞추는 설정을 넣었다.[* 여담이지만 페드로는 자기 아버지의 칠레식 영어 발음에서 오베린의 발음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었다고 한다.] * 《왕좌의 게임》 오디션 테이프를 베니오프에게 전달하는 데 공헌한 인물은 사라 폴슨. 왕겜을 즐겨봤지만 제작진과 연이 없던 페드로는 오디션에 참가를 못하고 있었는데, 자기가 과외하던 학생이 받은 오베린 오디션 대본을 보고 이건 꼭 하고 싶다 생각했다고. 집에서 열심히 핸드폰으로 오디션테이프을 찍은 페드로였지만, 왕겜 제작진한테 보낼 방법이 없어서 사라한테 하소연했고 페드로의 말을 들은 사라는 자기가 [[아만다 피트]](베니오프가 남편)랑 절친이니까 대신 보내주겠다면서 찍은 걸 당장 보내라고 말했다. 이후 오베린을 무사히 연기하게 된 페드로에게 사라는 너무나도 고마운 친구여서 지금도 페드로는 사라의 새 작품이 나오면 항상 홍보해준다. * 《왕좌의 게임》에서 페드로가 가장 먼저 찍은 장면은 지하 감옥에서 티리온과의 대화 장면이고, 가장 마지막으로 찍은 장면은 세르세이와 정원을 거닐면서 대화를 나누다가 세르세이가 부탁한 배를 보면서 미르셀라에게 선물을 가져다 주겠다고 약속한 장면이다.[* 마지막 장면을 찍고 페드로는 근처 바다에서 시간을 보내면서 레나 헤디(세르세이 배우)의 촬영이 끝나길 기다렸다가 둘이 함께 공항으로 갔다고 한다.][* 참고로 이때 촬영지가 [[니콜라스 케이지]]와 찍은 신작 와 같은 촬영지인 크로아티아의 두브로브니크이다.] * 《나르코스》에서 [[나르코스/등장인물#s-2.1|하비에르 페냐]]는 멕시코계 미국인 DEA여서 칠레식 스페인어 대신 멕시코식 스페인어를 써야 했다. 그런데 용어도 일상생활에서 쓰는 스페인어가 아니라 수사에 쓰는 전문 용어가 많아서 생소하고 힘들었다고 한다. 그래서 스페인어를 공부하면서 찍었다는 후문.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9480216_0121230.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7348_1641115.jpg|width=100%]]}}} || ||<-2> '''{{{#fff 대표적인 티셔츠&바지 사진}}}''' || * 애착 옷을 정말 오랫동안 입어서 티셔츠는 목선이 늘어지고 구멍나는 건 기본이고, 바지는 쫄아서 모양이 달라지는게 보일 정도로 입는다() 팬들에게 악명 높은 옷들이 몇 벌 있는데 매번 찍히는 평상복 사진이 대충 거기서 골라입는 수준이다. ~~흔한 미국의 남자 연예인.~~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whw4idqshy6.jpg|width=100%]]}}} || * 팬들에게 페드로의 또 다른 애착 셔츠로 유명한 [[플리트우드 맥]] 티셔츠는 어째 페드로가 플리트우드 맥의 열성 팬이어서 사서 입은 걸로 알려져 있는데, 실은 누나가 선물한 티셔츠라고 몇 년 전 인터뷰에서 직접 말한 적이 있다. 팬은 맞지만 콘서트에 간 적은 없다고 한다. 단지 [[스티비 닉스]]랑 만난 적이 있고 닉스도 페드로와 처음 만났는데 페드로의 손을 꼭 잡은 채로 긴 대화를 나누었다고 한다. * 페드로의 최애 플리트우드 맥 노래는 [[Dreams]]고 페드로는 이걸 수화로도 부를 줄 안다. 이걸 열심히 연습하는 모습을 친구가 영상으로 찍어서 올린 적이 있다. * 페드로가 가장 좋아하는 색은 [[보라색]]. 그 이유는 보라색 하면 잊을 수 없는 두 가지가 떠올라서라고. 하나는 앨리스 워커의 소설 『더 컬러 퍼플』의 구절 "I think it pisses God off if you walk by the color purple in a field somewhere and don't notice it."이고, 다른 하나는 [[프린스(음악가)|프린스]]의 곡 [[Purple Rain(노래)|Purple Rain]]을 사랑하던 엄마가 떠오르기 때문. 특히 퍼플 레인에서 "I only wanted to see you laughing in the purple rain"이란 가사가 죽은 사랑을 기억하는 사랑에 대한 복잡한 감정을 너무나도 잘 포착했다고 생각해서 좋아한다고 한다. * 영화 《[[프로스펙트]]》에서 이제는 에즈라의 상징이 되어버린 하얀 새치 머리스타일은 페드로의 아이디어였다고 감독이 밝혔다. 원래 각본엔 없었던 디테일인데 페드로의 강력한 건의로 감독이 마지못해 허가하면서 들어가게 된 것. 감독 개인적으론 페드로한테 새치를 지우고 다시 찍자고 하고 싶었을 정도로 싫었지만 촬영 시간이 촉박해서 그럴 수 없었다고 한다. 그런데 영화가 개봉되고 팬들이 거기에 반응 + 좋아하는 걸 보고 시간이 지나면서 좋아하게 되었다고. * 《프로스펙트》 촬영 중에 페드로는 많이 아픈 상태였다. 감기에 걸렸는데 촬영하면서 몸 상태가 점점 더 안 좋아졌고... 그래서 앉아서 대사 치는 장면마다 엄청 좋아했다 한다. [* 특히 영화 초반부 데이먼이 총구를 에즈라의 헬멧에 갖다 대는 장면을 찍을 때 많이 아팠는데, 헬멧 안의 공간을 이용한 페드로 연기가 인상적이어서 감독이 좋아하는 씬이라고 한다.][* 어쨌건 감기가 심해졌는데도 페드로는 아무런 불평 없이 촬영에 임했고 감독 지크는 이때 일을 이렇게 말했다 "Pedro was coming down with a cold, getting sicker and sicker. And he had to walk and deliver heavy lines in that helmet. Hes just a total champ! Like, a total, total pro."] * 가장 좋아하는 애니메이션은 《[[월-E]]》와 《[[인크레더블]]》. 디즈니 애니메이션 중에는 《[[덤보]]》. 자신은 보면서 눈물나는 영화가 좋다고 한다. * 가장 좋아하는 음식은 멕시코 음식. 스시도 정말 좋아한다. 근데 가장 자주 먹게 되는 음식은 냉동 피자라고... * 유소년 수영 선수 출신이었고 11살에 텍사스 주 챔피언십에서도 상을 탈 정도로 실력이 있어서 지금도 물 속에 들어가는 게 편안하고 좋다고 한다. * 오베린처럼 쿨하고 스트레스를 빨리 털어버리는 성격이냐는 팬의 질문에 대해서 자신도 그러고 싶은데, 불행하게도 그렇지 못하다고 언급했다. 마음이 심란할 때 진정시키는 방법으로 예전에는 수영을 하거나 티비를 본다고 했는데, 2020년에 나온 인터뷰에서는 "소금 목욕을 하거나 침을 맞거나 마사지를 받기도 하고, 그것도 안될 때는 그냥 태아 자세로 누워서 기분이 나아질 때까지 울어요."라고 말하기도 했다. * 1997년에 [[뉴욕 대학교]] 티시 예술대학에서 예술학 학사과정을 수료했으며 재학 중에는 스페인으로 해외 연수를 가서 1년 동안 인류학도 공부했다. 다시 대학 시절로 돌아간다면 간호대를 가고 싶다고 말한 적이 있는데, 왜 간호학이냐는 질문에 의대는 시간이 너무 걸릴 것 같다고 답했다.[* 실제로 미국에서 의사가 될려면 10년 넘게 공부해야해서 간호학을 택하는 사람들이 꽤 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m35jkNVQAAmZ1D.jpg|width=100%]]}}} || * 또 다른 절친은 고등학교 동문인 그레이스 로우. 배우/작가/프로듀서/감독으로 다양하게 활동하는 [[한국계 미국인]]이다. 같이 찍은 사진이 꽤 자주 올라오는 편일 정도로 오래된 베스트 프렌드이고 함께 작업한 영화도 2개 (2008년 I Am That Girl, 2015년 Virtually)씩이나 있다. 그레이스가 진행하는 팟캐스트에 페드로가 게스트로 등장하기도 했다.[[https://youtu.be/kxYIfXSYHI4|#]] * 10대 때 페드로의 첫 셀러브리티 크러쉬는 가수 [[올리비아 뉴튼 존]]. 올리비아 주연의 뮤지컬 영화 《[[제나두#s-3.1|제나두]]》랑 히트곡 Physical 뮤직 비디오가 제일 기억에 남는다고 한다. * 한 인터뷰에서 [[디즈니 프린세스]]보단 [[디즈니 빌런]]이 더 좋다고 말했다. 가장 좋아하는 [[디즈니 빌런]]은 [[우르슬라(디즈니 캐릭터)|우르슬라]]. * [[밴드]]에서 가장 좋아하는 그룹은 [[비스티 보이즈]]와 디라이트 그리고 [[예예예스]]라고 한다. * 코로나 시국 동안 혼자 지낸 시간이 길었다고. 그래서 새들을 관찰하는 새로운 취미를 개발해 동네 새들의 루틴과 어떤 새가 몇 시쯤 찾아오는지까지 알게 됐다고 한다. 여튼 코로나 때문에 가족들을 못 본지 너무 오래돼서 많이 힘들었고, 그래도 가까이에서 힘이 된 친구들 덕분에 견뎌냈다고 말했다. * 한 인터뷰에서 페드로의 어머니는 대학에서 배운 심리학 이론을 집에서 적용하고 싶어하는 전형적인 심리학자였냐는 질문에 "제가 어머니의 피실험자였냐는 뜻인가요? 당연하죠. 저는 아직도 게임으로 위장한 이상한 실험들과 세션들이 기억나요. 제가 장난감을 가지고 놀면서 보이는 반응을 누군가가 바라보고 있었거든요. 6살보다 나이가 많았는지는 모르겠지만 꽤 다이내믹했었던 걸로 기억해요. 가장 좋았던 건 제 꿈에 대해서 질문을 받는 거였어요. 언제나 환상적인 이야기를 만들어낼 기회를 줬으니까요."라고 답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eyduewhtw.jpg|width=100%]]}}} || * 허리가 상당히 가늘다. 2022년 3월 한 옷 가게에서 팬(으로 추정되는 사람)과 함께 찍은 사진이 SNS에서 돌아다녔는데, 다소 통통한 체형이었음에도 불구하고 페드로가 산 바지 두 벌 모두 무려 31~32인치 정도였다. [[분류:미국 남배우]][[분류:칠레 남배우]][[분류:1975년 출생]][[분류:1996년 데뷔]][[분류:산티아고 출신 인물]][[분류:복수국적자]][[분류:히스패닉계 미국인]][[분류:칠레계 미국인]][[분류:뉴욕 대학교 출신]][[분류:인터넷 밈/배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