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말레이시아의 주)]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0px-Flag_of_Perak.svg.png|width=500]]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0px-Coat_of_arms_of_Perak.svg.png|width=500]] [[파일:external/www.imtgt.org/perak-parlimen.png|width=500]] 말레이어:Perak Darul Ridzuan 말레이어 자위 문자:ڨيراق دار الرضوان 중국어 간체/번체: 霹雳/霹靂 타밀어:பேராக் >'''Perak Aman Jaya/ڨيراق دار الرضوان''' >'''평화와 번영의 페락''' [[말레이시아]] 서부의 주. 별칭은 "Darul Ridzuan"으로 뜻은 "은혜의 집". == 개요 == 말레이시아 서부 내지 북부 일대에 좀 길게 뻗어있는 주로 "페라크"라고도 알려져 있다. 주도는 [[이포]]이지만 왕실 수도는 [[쿠알라캉사르]]. [[쿠알라룸푸르]]에서 [[풀라우피낭]] 가는 길에 위치한 주로 [[한국]]의 [[황해도]]에 해당되는 주. 다만 동북쪽으로 좀 길게 뻗어져 있고 [[태국]]과 국경을 접한다는 점이 다르다. [[훌루 페락]]이 바로 그 곳인데 이 곳은 오히려 [[자강도]]에 더 가까운 주. 틀린 말은 아닌게, 이 쪽은 흔히 알려진 [[페락 말레이어|페락 방언]]과는 다른 방언을 사용하고 오히려 [[크다 말레이어|크다 방언]]에 더 가깝다. 말레이시아에서는 네 번째로 큰 주이고, [[서말레이시아]]에서는 [[파항]]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주. 수도권인 [[슬랑오르]]와 인접해 있어 쿠알라룸푸르의 막강한 영향을 받을 거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느그리슴빌란]]에 비하면 다소 약하며 오히려 쿠알라룸푸르와 피낭 사이에 끼어있어서 그런지 이들에 비하면 좀 무시당하는 신세(...)이다. 다만 느그리슴빌란의 경우는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의 개항으로 더 발전하게 된 것이며, 이전에는 그 쪽도 많이 낙후된 편이었다. [[라트]]의 [[캄펑의 개구장이]]는 이 주 킨타 계곡에 있는 시골 [[고펭]]을 배경으로 하고 있고, [[도시의 개구쟁이]]는 도시 [[이포]]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사실 현대 말레이시아에서 페락 주는 캄펑 시리즈로 유명하다. == 역사 == 사실은 말레이시아에서 나름 존재감 있는 주였다. 15세기 [[믈라카 술탄국]]의 일원이었고 [[포르투갈]]과 [[네덜란드]]의 공격을 실컷 받던 곳의 하나이긴 했다. 그렇지만 더 중요한 것은, 이 곳은 19세기까지 광업으로 번영하던 곳이었다. 여기서 [[은]]이 많이 발견되었는데 이 주의 이름인 '페락'이 [[말레이어]]로 '은'을 뜻하는 단어일 정도. 그러나 [[중국인]] 광부들이 [[쿠알라룸푸르]]와 [[슬랑오르]]에서 광산을 발견하는 바람에 몰락해 버린 것. 그나마 완전히 [[유령도시]]가 되지는 않았고 그럭저럭 뜨긴 했지만 그 후로 인지도와 영향력이 급감해서 상대적으로 파묻히게 되었다. 다른 데는 휴양지에 국제적인 도시니 뭐니 하면서 뜨는데 페락은 별 볼 것도 없고...[* 페낭,쿠알라룸푸르는 이미 유명했고 조호르나 파항은 근래에 와 많이 알려져 번영 했다. 이건 사바도 마찬가지] [[분류:말레이시아의 행정구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