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천문학]][[분류:나무위키 천문학 프로젝트]][[분류:초은하단]] [include(틀:항성 및 은하천문학)] ||||<-3><:> {{{#FFFFFF {{{+3 '''페르세우스자리-물고기자리 초은하단 '''}}}[br]Perseus–Pisces Supercluster}}} || ||<-3>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uperc%C3%BAmulo_Perseo_Piscis.gif|width=100%]] || ||<-3> {{{#FFFFFF {{{-3 ''' 페르세우스자리-물고기자리 초은하단 의 지도 ''' }}}}}} || ||<-3> {{{#FFFFFF '''관측 정보'''}}} || ||<-2><:> {{{#FFFFFF 별자리}}} || [[물고기자리]], [[페르세우스자리]], [[삼각형자리]], [[안드로메다자리]], [[양자리]], [[페가수스자리]] || ||<-3> {{{#FFFFFF '''물리적 성질'''}}} || ||<-2> {{{#FFFFFF '''거리'''}}} || 약 2억 5,000만 [[광년|{{{#3366aa 광년}}}]][br] 약 7,670만 [[파섹|{{{#3366aa 파섹}}}]] || ||<-3> {{{#FFFFFF '''명칭'''}}} || ||<-3> SCL 40 || [목차] == 개요 == {{{+1 페르세우스자리-물고기자리 초은하단/Perseus–Pisces Supercluster}}} 페르세우스자리-물고기자리 초은하단은 [[라니아케아 초은하단]]에서 가장 가까운 초은하단으로 무려 3억광년 이상 뻗어있어 겉보기 크기로는 40도에 이르는 크기를 가지고 있다. == 상세 == 1977년 [[탈린]]에서 진행된 회의에서 처음으로 언급되었으며 이후 수년간의 연구끝에 존재하는 것이 확정되었다고 한다. 초은하단 내부에서 가장 거대한 은하단은 [[페르세우스자리 은하단]]으로 천구에서 가장 밝은 [[X선]] 소스중 하나인 [[NGC 1275]]가 중심으로 있다. 이외에도 NGC 708을 중심으로 하는 [[Abell 262]], NGC 910을 중심으로 하는 [[Abell 347]]등의 은하단과 NGC 841 은하군, NGC 973 은하군, NGC 777 은하군, NGC 877 은하군, NGC 507 은하군, NGC 383등의 수십개의 은하군이 초은하단에 속해 있다. 라니아케아 초은하단과는 황소자리 보이드와 국부 보이드의 두 보이드로 가로막혀 있으며 연결된 필라멘트로는 [[물고기자리-페가수스자리 초은하단]], [[조각가자리 초은하단]]등이 있다. 물고기자리-페가수스자리 초은하단과 함께 페르세우스자리-페가수스자리 필라멘트를 이루며 이 필라멘트는 라니아케아 초은하단에서 제일 가까운 은하 필라멘트라고 한다. 크기는 대략 10억 광년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 관련 문서 == * [[페르세우스자리 은하단]] * [[초은하단]] * [[라니아케아 초은하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