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리 코모의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역대 그래미 평생 공로상 수상자)] ---- [include(틀:역대 케네디 센터 공로상 수상자)] ---- [include(틀: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입성자,한글명=페리 코모,영어명=PERRY COMO,분야=라디오 · 텔레비전 · 음악,입성날짜=1960년 2월 8일,위치=라디오: 1706 Vine Street. · 텔레비전: 6676 Hollywood Blvd. · 텔레비전: 6631)] ---- }}} || ||<-2> '''{{{+1 페리 코모}}}[br]Perry Como'''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Perry_Como_1944.jfif.jpg|width=100%]]}}}|| || '''본명''' ||피에리노 라널드 코모[br]Pierino Ronald Como|| ||<|2> '''출생''' ||1912년 5월 18일||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캐넌즈버그|| ||<|2> '''사망''' ||2001년 5월 12일 (향년 88세)|| ||[[미국]] [[플로리다]]주 주피터 인렛 칼러니|| || '''직업''' ||가수, 배우|| || '''장르''' ||[[팝 음악|보컬 팝]], [[이지 리스닝]]|| || '''활동''' ||1932년 ~ 1997년|| || '''신장''' ||168cm|| || '''배우자''' ||로젤 벌린 ^^(1933년 ~ 1998년, 사별)^^|| || '''자녀''' ||라니 코모[br]테리 코모[br]데이비드 코모|| || '''종교''' ||[[가톨릭]]|| || '''서명''' ||[[파일:Perry_Como_signature.svg.png|width=150&bgcolor=#fff]]||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가수 겸 배우. [[이탈리아계 미국인]]으로, 1940~50년대 당시의 많은 이탈리아계 미국인 가수 중에서도 제일 많은 인기를,[* 같은 이탈리아계인 [[프랭크 시나트러]]와 맞먹는 수준이었다.] 아니 미국 음악계 자체에서 제일 인기있는 가수 중 하나였다. 2001년 5월 12일 89세 생일을 6일을 앞두고 사망하였다. == 상세 == 1950년대 초반 당시 미국 인기 가수의 순위를 보자면 [[빙 크로스비]] > 에디 피셔 > [[냇 킹 콜]] > 페리 코모 > [[프랭크 시나트러]]로 시나트러가 잠시 밀려 있고 크로스비는 절대적 상징으로 1위를 거머쥐었으며 에디 피셔는 나무위키 문서는 없지만 1928년생, 즉 20대 초반에 빌보트 차트 1위곡을 무려 3개[* "Wish You Were Here"(1952), "I'm Walking Behind You"(1953), "I Need You Now"(1954)]나 배출하여 시나트러가 갖고 있던 여성들의 인기를 상당수 가져왔다.[* 하지만 현재는 많이 잊혀졌는데 그 이유는 [[엘리자베스 테일러]]와의 불륜 때문이며, 불륜 그 자체보단 피셔의 수법이 팬들의 공분을 샀기 때문이다. 불륜 당시의 아내인 <[[사랑은 비를 타고]]>의 여주인공 [[데비 레널즈]], 딸인 [[스타워즈]]의 레아 공주 역 [[캐리 피셔]] 항목 참조. 2010년 사망했으며 1960년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헌액.] 그리고 냇 킹 콜은 인종차별이 극심했던, [[미국 흑인]]에게는 백인과 동등한 권리가 주어지지 않았고 인종차별이 [[미국 연방 헌법|연방법]]으로도 용인되던 40년대 말 갑자기 신드롬적인 인기로, 프랭크 시나트러 류의 틴 아이돌적인 인기가 아니라 음악 그 자체로 백인 기성세대를 매료해 버린 아주 특출난 케이스로 초대박을 거두었고[* 냇 킹 콜 전엔 [[루이 암스트롱]]이 있었다. 암스트롱 역시 백인들 사이에서 제일 인기 많은, 즉 미국에서 제일 인기 많은 가수 및 엔터테이너 중 하나였다. 대신 당대 [[미국 흑인]]들은 암스트롱을 위선자라고 비판하며 싫어했다. 자신들은 매일같이 차별받고 린치당하는데 최고급 스타의 위치에 올랐으니. 그러나 암스트롱이 미국 흑인에 대한 인식을 전보다 개선한 것은 확실하다. 콜도 그랬었고. 이 두 흑인 스타가 없었으면 백인들이 흑인들을 1910년대 • 20년대처럼 막 약탈하고 죽이고 린치하지 않았겠는가? 실제로 이 두 분이 흑인 인권에 미친 영향이 적지 않다.] 페리 코모는 그 다음 순위였다. 무슨 말이냐면 크로스비는 [[비틀즈]]나 [[엘비스 프레슬리]], [[지미 헨드릭스]] 같은 상징적 1위[* 50년대 들어 히트곡이 크게 줄었으니. 크로스비의 인기가 떨어졌다기보다도, 크로스비가 1950년대에는 활동을 전 시대에 해 널널하게 했다. 이미 히트곡이 백 개도 넘고 돈도 많고, 나이도 50인데 예전처럼 열심히 할 이유가 있지도 않았다.]였고 냇 킹 콜은 1950년 Mona Lisa로 빌보드 연말 차트 2위[* 1950년 미국에서 두 번째로 크게 히트한 곡.], 1951년 Too Young으로 빌보드 연말 차트 1위[* 1951년 최고의 히트곡.]로 명실공히 상업적으로 제일 승승장구하던 가수였다. 코모는 그 다음으로, 크로스비와 콜의 아성은 넘지 못했으나 싱글 차트 1위, 히트곡들을 계속 내놓은 가수였다. 실제로 코모는 40년대 중후반에도 시나트러보다 더한 상업적 성공을 거둔 가수이다.[* 코모는 40년대 중후반부터 빌보드 차트 1위 곡을 많이 배출했다.] 페리 코모의 또 다른 점은, 크로스비나 콜, 시나트러 류의 크루닝 창법 기반 트레디셔널 팝 가수가 아니라, Novelty Song[* 진지한 노래가 아니고, 고전 미국 쇼의 영향을 받아 코믹하고 즐겁고 유쾌한 가사가 특징인 장르이다.]을 주로 불러 장르에 구애받지 않았다. 예를 들어 1955년 발표된 Ko Ko Mo (I Love You So)는 [[로큰롤]]/[[리듬 앤 블루스]] 곡으로 코모는 [[빌 헤일리]]류의 로큰롤이 히트를 치자 마자 이러한 곡을 내놓아 빌보드 차트 5위에 오르며 성공했고 1956년 발표된 Hot Diggity[* [[Fall Guys]] 런칭 예고편에 쓰였다.]는 그냥 즐겁고 유쾌한 팝 트랙이다. 참고로 이때는 [[엘비스 프레슬리]]가 나온 해였고 프레슬리가 최고 인기를 구가하고 있었으나 코모의 인기는 떨어지지 않았고[* 크로스비, 시나트러와 달리 코모는 전연령층에 팬들이 있었다. 콜 역시 전연령대에 팬이 있었기에 죽기 전까지 전성기를 누릴 수 있었다.] 1957년 Round and Round로, 1958년 Catch A Falling Star로 각각 빌보드 싱글 차트 1위를 기록했다. 다만 이때는 [[빌보드 핫 100]]이 아니라 전체 차트를 판매량 차트, 주크박스 차트, 레이디오 디제이 차트로 나눠 했기에 좀 달랐다만 1955년에 개설된 핫 100의 전신이라 할 수 있는 탑 100도 있었다. Round and Round는 세 차트 모두 1위를 기록하고 탑 100에서도 1위했지만 Catch A Falling Star는 세 차트 중 두 차트에서 1위 했으나 아쉽게도 탑 100에서는 2위를 했다. 핫 100은 1958년 여름에 개설된다. 1957~58년은 로큰롤이 최고 인기를 구가하던 시대였지만 페리 코모는 아직 탑에 있었다. 코모가 원래부터 예술적이라기 보다는 상업적이고 친근한 노래[* 위에서 말했던 Novelty Song.]를 부르고 또 성격도 좋았기 때문에 계속 선방한 것이다. 이는 콜과도 일맥상통한다. 그러나 코모도 1959년부터 한동안 침체기였다. 페리 코모 쇼라는 인기 쇼를 1956년부터 진행해서 인기를 끌고 있었으나 가수로선 한동안 침체기였다. 1962년 발매한 싱글이 핫 100에서 23위를 기록하긴 하지만 코모의 가수 경력을 정점으로 올리는 수준은 아니었던데다 1964년엔 [[브리티시 인베이전]]으로 음악계가 또한번 크게 바뀌며 음악계에서 코모가 설 자리를 잃는다. 그러나 [[히피]] 문화가 빠르게 죽은 69년 말 이후 [[이지 리스닝]] 열풍으로 코모는 제2의 전성기를 맞게 된다. [[분류:미국 남가수]][[분류:이탈리아계 미국인]][[분류:1912년 출생]][[분류:1932년 데뷔]][[분류:2001년 사망]][[분류:워싱턴 카운티(펜실베이니아) 출신 인물]][[분류:트레디셔널 팝]][[분류: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입성자]][[분류:미국의 가톨릭 신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