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 ||<-2>
{{{#31584D '''{{{+1 페어웰}}}''' (2019)[br]''The Farewell''}}}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페어웰 포스터.png|width=100%]]}}} || || '''{{{#31584D 장르}}}''' ||{{{#!wiki style="margin: 0px 10px" [[가족]], [[드라마]]}}} || || '''{{{#31584D 감독}}}''' ||{{{#!wiki style="margin: 0px 10px" [[룰루 왕]]}}} || || '''{{{#31584D 각본}}}''' ||{{{#!wiki style="margin: 0px 10px" [[룰루 왕]]}}} || || '''{{{#31584D 제작}}}''' ||{{{#!wiki style="margin: 0px 10px" 애니타 고우[br]다니엘 테이트 멜리아[br]앤드류 미아노[br]피터 사라프[br]마크 터틀타웁[br][[룰루 왕]][br]크리스 웨이츠[br]제인 정}}} || || '''{{{#31584D 주연}}}''' ||{{{#!wiki style="margin: 0px 10px" [[아콰피나]], 자오 슈젠, 티지 마, 다이애나 린,,외,,}}} || || '''{{{#31584D 촬영}}}''' ||{{{#!wiki style="margin: 0px 10px" 안나 프란케사 솔라노}}} || || '''{{{#31584D 미술}}}''' ||{{{#!wiki style="margin: 0px 10px" 이용옥}}} || || '''{{{#31584D 음악}}}''' ||{{{#!wiki style="margin: 0px 10px" 알렉스 웨스턴}}} || || '''{{{#31584D 제작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빅 비치 필름[br] 뎁스 오브 필드 [br] 카인드레드 스피릿 [br] 시소 프로덕션 }}} || || '''{{{#31584D 수입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오드(기업)|[[파일:39714691_2404272996257149_3295118503132004352_n.jpg|width=30]]]] [[오드(기업)|오드]] }}} || || '''{{{#31584D 배급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A24]] [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오드(기업)|[[파일:39714691_2404272996257149_3295118503132004352_n.jpg|width=30]]]] [[오드(기업)|오드]]}}} || || '''{{{#31584D 개봉일}}}'''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2019년]] [[8월 9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1년]] [[2월 4일]]}}} || || '''{{{#31584D 화면비}}}''' ||{{{#!wiki style="margin: 0px 10px" 2.35:1}}} || || '''{{{#31584D 상영 시간}}}''' ||{{{#!wiki style="margin: 0px 10px" 100분}}} || || '''{{{#31584D 제작비}}}''' ||{{{#!wiki style="margin: 0px 10px" '''$3,000,000'''}}} || || '''{{{#31584D 월드 박스오피스}}}''' ||{{{#!wiki style="margin: 0px 10px" '''$22,990,556'''}}} || || '''{{{#31584D 북미 박스오피스}}}''' ||{{{#!wiki style="margin: 0px 10px" '''$17,695,781'''}}} || || '''{{{#31584D 대한민국 총 관객 수}}}''' ||{{{#!wiki style="margin: 0px 10px" '''13,376명'''}}} ||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31584D 상영 등급}}}]]''' ||{{{#!wiki style="margin: 0px 10px" '''[[전체 관람가|[[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2021.svg|width=40]] {{{#000000 전체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계 미국인 감독 [[룰루 왕]]의 장편 영화로 한국에서는 [[CGV]] 단독개봉한다.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J4lT7K-DAK8)]}}}|| || '''{{{#31584d 메인 예고편}}}''' || == 시놉시스 == > 뉴욕에 사는 '빌리'와 그녀의 가족들이 > 할머니의 남은 시간을 위해 벌이는 > 세상에서 가장 따뜻한 거짓말을 담은 > > 2021년이 거짓말처럼 행복해지는 > <페어웰> == 등장인물 == === 주연 === * [[아콰피나]] - 빌리 역 === 조연 === * 자오 슈젠 - 할머니 역 * 티지 마 - 아빠 역 * 다이애나 린 - 엄마 역 * 홍 루 - 이모할머니 역 * 장용보 - 하이빈 숙부 역 ===# 단역 #=== * 진함 - 하오하오 역 * 미즈하라 아오이 - 아이코 역 * 장정 - 고모 역 * 양학건 - 이 선생 역 * 짐 리우- 닥터 송 역 * 유금항 - 바오 역 * X 마요 - 수즈 역 * 베카 칼릴 - 셜리 역 == 줄거리 == 어린 시절 부모를 따라 중국에서 미국으로 이민을 떠난 온 빌리([[아콰피나]])는 작가의 꿈을 키우고 있지만, 일이 잘 안 풀려 방세도 제대로 못 낼 지경이다. 그리고 이민 1.5세대로서 태어난 나라와 자란 나라 사이에서 정신적으로 방황하며 소속감을 못 느끼고 있다. 그래도 중국에 남은 할머니와 자주 통화하면서 큰 위로를 느낀다. 어느 날 이모 할머니(할머니의 동생)에게서 할머니가 암에 걸려 시한부 판정을 받았다는 소식을 듣게 된다. 이 일로 미국에서 살던 빌리의 부모와 일본으로 이민간 빌리의 큰아버지 가족 모두 중국으로 돌아가 할머니를 뵙기로 한다. 다만 할머니가 충격받을까봐 할머니에게는 시한부 판정 이야기를 숨기기로 하고, 큰아버지의 아들이며 빌리의 사촌동생인 하오하오가 일본인 여자친구와 결혼하게 되어 오래간만에 가족이 모이게 되었다는 핑계를 대기로 한다. 빌리 부모는 빌리가 아직 자리잡지 못 한 게 다른 친척들 보기에 민망하기도 하고, 빌리가 할머니와 무척 친해서 할머니에게 거짓말을 제대로 못 할 것을 염려해서, 빌리만 미국에 두고 떠난다. 하지만 할머니와 무척 친한 빌리는 있는 돈 없는 돈 다 털어서 기어이 중국으로 뒤따라 가고, 사정을 모르는 할머니는 빌리를 보고 무척 반가워한다. 6살 때 중국을 떠났던 빌리는 다시 중국에서 지내면서 온갖 문화 차이와 충격을 겪는다.[* 오촌 고모(이모 할머니의 딸)는 중국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지만 미국은 별 볼 일 없어졌는데 빌리 가족이 괜히 미국으로 이민갔다는 뉘앙스의 말을 하면서, 정작 자기 아들은 장차 미국으로 유학보낼 생각을 하는 이율배반적인 모습을 보인다. 중국인이 미국에 가진 이중적인 감정(미국이 중국의 발전을 시기하고 방해한다는 적개심 + 미국은 중국보다 선진국이라는 동경심)이 잘 드러난 장면이다.][* 미국 같은 서구 문화권에서는 보기 힘든 요란한 성묘 방식이나, 하객들 앞에서 체면을 중시하여 성대하게 결혼식을 치르려는 풍습 등이 나오기도 한다.] 빌리는 할머니가 얼마 안 남은 인생을 정리할 기회를 갖어야 한다며 진실을 알리고 싶어한다. 그러나 부모님, 큰아버지 부부, 이모 할머니, 오촌 고모(이모 할머니의 딸) 모두 아픈 할머니에게 심적 부담을 지울 수 없다며, 그런 심적 부담은 자식들의 몫이라고 주장한다. 하마터면 할머니가 진실을 알게 될 뻔한 일도 생기지만 친척들이 똘똘 뭉쳐서 병원 진단서를 위변조까지 하며 비밀을 지킨다. 이런저런 일로 가족간, 친척간에 소소한 갈등을 겪기도 하지만 우여곡절 끝에 사촌동생의 결혼식을 무사히 치르면서 서로간의 정과 의리도 새삼 느낀다. 할머니는 아무 것도 모른 채 손자의 결혼식 준비로 들뜨고 손녀와 함께 지낼 수 있는 것에 즐거워한다. 빌리는 할머니의 격려로 다시 꿈을 키울 힘을 얻고 미국으로 돌아간다. 영화 마지막 부분에서 자막으로, 할머니는 의사가 예상함 시한부 기간을 훨씬 지나서도 생존해 있다고 나온다.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the-farewell, critic=89, user=8.3)]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the_farewell_2019, tomato=98, popcorn=87)] [include(틀:평가/IMDb, code=tt8637428, user=7.6)]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the-farewell-2019, user=4.1)] [include(틀:평가/알로시네, code=270046, presse=3.3, spectateurs=3.4)]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1272451, user=<평점>)]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262613, user=7.5)]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30390144, user=7.3)] [include(틀:평가/왓챠, code=m5Q946l, user=3.4)]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75187, light=84.62)]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181970, expert=6.71, audience=7.46, user=7.56)]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127664, expert=<전문가 평점>, user=8.4)] [include(틀:평가/CGV, code=83090, egg=86)] == 흥행 == ||<-4> 출처: [[https://www.boxofficemojo.com/title/tt8637428/|박스오피스 모조]] || || 국가 || 개봉일 ||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 기준일 || || '''전 세계''' || 2019년 7월 12일 || '''$23,076,657''' || '''미상''' || ||<-4>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 || '''[[북미]]''' || 2019년 7월 12일 || '''$17,695,781''' || 2019년 11월 7일 || || '''[[중국]]''' || 2019년 11월 22일 || '''$566,664''' || 2020년 1월 19일 || 제작비 3백만 달러로 7배가 넘는 2천 3백만 달러 이상의 수익을 얻어 흥행에 성공했다. 다만, 비평가에게 찬사를 받는 것은 물론이고 일반 관객들에게도 재미와 감동을 모두 느낄 수 있다고 인정받는 대중성 있는 작품이며, 사실상 중국계 배우들만 출연했고 중국 문화가 강하게 녹아든 영화인데도, 세계 영화 시장 2위인 중국에서는 흥행에 참패했다.[* 이 영화가 개봉했을 때 미국과 중국 관계가 매우 험악했다는 점이 가장 큰 이유로 꼽힌다. 중국계 감독이 중국계 배우들을 기용하여 중국어로 찍은 영화라지만, 감독([[룰루 왕]])은 중국에서 태어났으나 미국으로 이민가 귀화했고 주연 배우([[아콰피나]])는 중국계라지만 아예 미국에서 태어나고 자랐다는 점 때문에, 중국에서 상영관을 많이 확보하지도 못 했고 중국 네티즌에게도 반감을 샀다.] === [[대한민국]] === ||<-7>
'''{{{#ffffff,#ffffff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 || '''{{{#ffffff,#ffffff 주차}}}''' || '''{{{#ffffff,#ffffff 날짜}}}''' || '''{{{#ffffff,#ffffff 일일 관람 인원}}}''' || '''{{{#ffffff,#ffffff 주간 합계 인원}}}''' || '''{{{#ffffff,#ffffff 순위}}}''' || '''{{{#ffffff,#ffffff 일일 매출액}}}''' || '''{{{#ffffff,#ffffff 주간 합계 매출액}}}''' || || {{{#ffffff,#ffffff 개봉 전}}} || || -명 || -명 || 미집계 || -원 || -원 || ||<|7> {{{#ffffff,#ffffff 1주차}}} ||20XX-XX-XX. 1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XX-XX-XX. 2일차(목) || -명 || -위 || -원 || ||20XX-XX-XX. 3일차(금) || -명 || -위 || -원 || ||20XX-XX-XX. 4일차(토) || -명 || -위 || -원 || ||20XX-XX-XX. 5일차(일) || -명 || -위 || -원 || ||20XX-XX-XX. 6일차(월) || -명 || -위 || -원 || ||20XX-XX-XX. 7일차(화) || -명 || -위 || -원 || ||<|7> {{{#ffffff,#ffffff 2주차}}} ||20XX-XX-XX. 8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XX-XX-XX. 9일차(목) || -명 || -위 || -원 || ||20XX-XX-XX. 10일차(금) || -명 || -위 || -원 || ||20XX-XX-XX. 11일차(토) || -명 || -위 || -원 || ||20XX-XX-XX. 12일차(일) || -명 || -위 || -원 || ||20XX-XX-XX. 13일차(월) || -명 || -위 || -원 || ||20XX-XX-XX. 14일차(화) || -명 || -위 || -원 || ||<|7> {{{#ffffff,#ffffff 3주차}}} ||20XX-XX-XX. 15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XX-XX-XX. 16일차(목) || -명 || -위 || -원 || ||20XX-XX-XX. 17일차(금) || -명 || -위 || -원 || ||20XX-XX-XX. 18일차(토) || -명 || -위 || -원 || ||20XX-XX-XX. 19일차(일) || -명 || -위 || -원 || ||20XX-XX-XX. 20일차(월) || -명 || -위 || -원 || ||20XX-XX-XX. 21일차(화) || -명 || -위 || -원 || ||<|7> {{{#ffffff,#ffffff 4주차}}} ||20XX-XX-XX. 22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XX-XX-XX. 23일차(목) || -명 || -위 || -원 || ||20XX-XX-XX. 24일차(금) || -명 || -위 || -원 || ||20XX-XX-XX. 25일차(토) || -명 || -위 || -원 || ||20XX-XX-XX. 26일차(일) || -명 || -위 || -원 || ||20XX-XX-XX. 27일차(월) || -명 || -위 || -원 || ||20XX-XX-XX. 28일차(화) || -명 || -위 || -원 || || '''{{{#ffffff,#ffffff 합계}}}''' ||<-6> '''누적관객수 -명, 누적매출액 -원'''[* ~ 20XX/XX/XX 기준] || *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 === [[북미]] === 첫 주에는 달랑 4개 영화관에서 제한적 상영으로 시작했으나, 관객에게 좋은 반응을 얻으며 6~8주에는 800개 이상의 영화관에서 상영했다. 최종적으로 17주 동안 상영하며 약 1,770만 달러의 수익을 올렸다. === [[호주]] === 64주 동안 약 120만 달러의 수익을 올렸다. === [[영국]] === 약 82만 달러의 수익을 올렸다. === [[프랑스]] === 약 73만 달러의 수익을 올렸다. === [[이탈리아]] === 약 56만 달러의 수익을 올렸다. == 기타 == *[[봉준호]] 감독이 페어웰의 감독 [[룰루 왕]]을 극찬한 바 있다. 페어웰은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영화)|기생충]]과 같은 해 개봉하여 [[골든 글로브]] 등의 시상식에서 경쟁했다. 페어웰도 비평가나 관객에게 수작이란 평가를 받았지만, 이 영화가 여러 나라에서 개봉하고 여러 영화제에서 수상했던 2019년에 한국에서는 기생충의 열풍에 묻혀 잘 알려지지 않았다. 게다가 다음 해인 2020년에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가 터져 극장가가 심각한 타격을 입기까지 해서, 2021년 2월에야 한국에서 개봉했다. *페어웰은 미국으로 이주한 중국계 이민자 가족에 관한 영화다 보니 영어대사 비중이 50% 미만이라서, 2020년 골든글로브 시상식 작품상 후보에 오르지 못하고 외국어영화상 후보에만 올랐다. 공교롭게도 한국계 이민자 가족에 대한 영화인 [[미나리(영화)|미나리]]도 같은 이유로 2021년 골든글로브 시상식에서 작품상 후보에 오르지 못하고 외국어영화상 후보에 올랐다. 이에 대해 [[중국계 미국인]] 감독 [[룰루 왕]]은 동병상련의 느낌이었는지 "나는 올해 ‘미나리’보다 더 미국적인 영화를 보지 못했다" 면서 "우리는 이제 미국인은 오로지 영어만 쓴다는 고루한 규정을 바꿀 필요가 있다"고 쓴소리를 SNS에 남겼다. [[분류:2019년 영화]][[분류:미국의 가족 영화]][[분류:중국의 가족 영화]][[분류:미국의 드라마 영화]][[분류:중국의 드라마 영화]][[분류:A24]][[분류:실화 바탕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