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75년 출생]][[분류:독일의 축구 심판]][[분류:뮌헨 출신 인물]]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7F7F7 0%, #FFFFFF 20%, #FFFFFF 80%, #F7F7F7)" [[FIFA|[[파일:FIFA 로고.svg|width=100]]]]}}}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0a76d 0%, #00a76d);" {{{+1 [[독일 축구 연맹|{{{#FFFFFF '''독일 축구 연맹'''}}}]]}}}}}}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elix Brychh.jpg|width=100%]]}}} || ||<-2><:>{{{#E0C9A5 '''이름'''}}}||<:>'''{{{+1 펠릭스 브리히}}}''' [br] '''Felix Brych''' || ||<-2><:>{{{#E0C9A5 '''출생'''}}}||[[1975년]] [[8월 3일]] ([age(1975-08-03)]세) / [br] {{{-1 [[서독]], [[뮌헨]]}}} || ||<-2><:>{{{#E0C9A5 '''국적'''}}}||[include(틀:국기, 국명=독일)] || ||<-2><:>{{{#E0C9A5 '''신체'''}}}||키 185cm || ||<-2><:>{{{#E0C9A5 '''직업'''}}}||[[축구 심판]][br][[변호사]] || ||<|2><:> {{{#E0C9A5 ''' 심판경력 ''' }}} ||<:> {{{#E0C9A5 ''' 국내 ''' }}} ||[[독일 축구 연맹|DFB]] (1999~ ) [br] [[2. 분데스리가]] (2001~ ) [br] [[분데스리가]] (2004~ ) || ||<:> {{{#E0C9A5 ''' 국제 ''' }}} ||[[FIFA]] (2007~2021 ) || [목차] [clearfix] == 개요 == [[독일]]의 축구 심판. [[변호사]]로도 일하고있다. == 경력 == [[1999년]]에 [[독일 축구 연맹]] 심판 자격을 취득했고 [[2004년]]부터 [[분데스리가]]에서 심판으로 활동하고 있다. 그리고 [[2007년]]부터는 [[FIFA]]의 국제경기에서도 심판으로 나선다. [[2008년]]에는 [[K리그/2008년|K리그 챔피언결정전]] 2차전의 주심을 맡았다. [[UEFA 챔피언스 리그/2011-12 시즌]]에는 [[첼시 FC]] vs [[FC 바르셀로나]] 간의 준결승전을 주관했다. [[FIFA 월드컵]]에는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을 처음으로 경험했다. 이 때는 [[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벨기에]] vs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러시아]]의 주심으로 나섰다. [[파일:Juventus+v+Real+Madrid+UEFA+Champions+League+rIwQwGeTHNCl.jpg]] 그리고 [[UEFA 챔피언스 리그/2016-17 시즌/결승전|2016-17 UEFA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에서 주심을 맡았다. 그리고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도 심판으로 참가하게 되었는데 이 때는 [[스위스 축구 국가대표팀|스위스]] VS [[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세르비아]] 경기에서 오심을 저질렀다. 경기 후반에 세르비아의 프리킥 상황에서 페널티 박스 안에 있던 [[알렉산다르 미트로비치]]가 스위스 수비 3명한테 그레코로만형에서나 나올법한 제스쳐로 넘어졌는데 세르비아의 페널티킥을 선언하지 않고 미트로비치의 파울을 선언하고 만 것이다. --[[노르딘 암라바트]] 의문의 1승-- [[UEFA 유로 2020]]에서는 포르투갈과 벨기에의 16강전에서 안일한 진행으로 인해 경기가 거칠어지는데 일조했으며 이로 인해 큰 비난을 받았다. 전체적으로 판정 성향이 관대한 편인데 요즘 들어서는 그 관대함이 경기가 거칠어지는 방향으로 흘러가는데도 불구하고 방관하는 스타일로 보여지며 팬들의 원성을 사고 있는 주심이다.[* 단, 레드카드 관련해서는 선수들이 조심할 필요가 있는 심판이다.] 2021년 끝으로 브리히는 국제 심판 활동을 중단했으며 연령 제한에 따라 2022-23시즌까지 리그 활동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11월 26일 프랑크푸르트와 슈투트가르트와의 경기에서 십자인대 부상을 당하고 말았다. == 여담 == * [[슈테판 키슬링]]의 유령골 당시 주심이었다. 자세한 내용은 키슬링 문서 참조. == 둘러보기 == [include(틀:분데스리가/심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