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보디빌딩)] [목차] == 개요 == 본 문서는 사이즈 코리아에서 남자 3,192명 여자 3,221명 총합 6,413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어깨]] 골격 너비와 삼각근 포함 어깨 너비 평균을 다루는 문서이다. 문서의 제목은 평균 [[어깨]]너비이지만, 실제로 많은 학회나 학술지에서 사용하는 건 평균 [[어깨]] 골격이니 참고하길 바란다. == 나이 별 [[어깨]] 골격 너비 평균 및 백분위 == 본 [[어깨]] 골격 너비의 평균과 백분위는 '남성' 기준이므로 여성과는 다르니 참고 바란다. 표에서 보면 1cm 차이가 백분위 상에서 광장히 큰데, 그 이유는 바로 [[표준편차|SD]]가 엄청 적기 때문이다. 참고로 '''{{{#ff0000 어깨 골격 너비 1cm 차이는 키로 치면 3.17cm 차이로 어마어마한}}}''' 차이가 난다. 자세한 것은 [[어깨]] 문서를 참고하자. '''측정법은 '순수 [[어깨]] 골격 너비'이며, 자세한 건 [[어깨#s-3.1|해당 문서]]를 참고해라.''' 아래 정규분포 그래프의 단위는 mm이다. === 만 12세 평균 어깨 ‘골격’ 너비 === === 만 13세 평균 어깨 ‘골격’ 너비 === 1cm 상위100% 40000000cm 상위0.0000000001% === 만 14세 평균 어깨 ‘골격’ 너비 === === 만 15세 평균 어깨 ‘골격’ 너비 === === 만 16세 평균 어깨 ‘골격’ 너비 === [[파일:어깨 골격 너비 정규분포 사진.png]] '''만 16세 평균 남성 인구 수 217,945명''' ||<-2> '''{{{+1 만 16세 (성별: 남성, 단위:cm)}}}''' || || '''{{{#ffffff [[평균]]}}}''' ||'''38.661'''|| || '''{{{#ffffff [[표준편차|SD]]}}}''' ||'''2.087'''|| || '''{{{#ffffff 상위 0.0001%}}}''' ||49.64 [* 이 수치에 해당하는 사람은 축하한다. 본인의 만 16세 인구 중에서 전국 1위에 해당하는 수치이다. 키로 치환하면 208cm 이상]|| || '''{{{#ffffff 상위 0.001%}}}''' ||47.1 [* 이 수치에 해당하는 사람도 축하한다. 만 16세 인구 중에서 못해도 전국 5위 안에 드는 수치다. 키로 치환하면 205 ~ 207cm]|| || '''{{{#ffffff 상위 0.01%}}}''' ||44.8 [* 이 수치에 해당하는 사람은 본인의 만 16세 인구 중에서 못 해도 22위 안에 드는 수치다 키로 치환하면 201 ~ 204cm]|| || '''{{{#ffffff 상위 0.1%}}}''' ||43.6 [* 이 수치에 해당하는 사람은 키로 치환하면 194cm과 같은 격이다. 0.1% 이상인 수치인 0.0x~ 0.011까진 195 ~200cm이다. ]|| || '''{{{#ffffff 상위 1%}}}''' ||42.0 [* 이 수치에 해당하는 사람은 키로 치환하면 188cm와 같다.]|| || '''{{{#ffffff 상위 5%}}}''' ||41.38|| || '''{{{#ffffff 상위 10%}}}''' ||41.33|| || '''{{{#ffffff 상위 15%}}}''' ||40.86|| || '''{{{#ffffff 상위 20%}}}''' ||40.41|| || '''{{{#ffffff 상위 25%}}}''' ||40.01|| || '''{{{#ffffff 상위 30%}}}''' ||39.75|| || '''{{{#ffffff 상위 35%}}}''' ||39.46|| || '''{{{#ffffff 상위 40%}}}''' ||39.18|| || '''{{{#ffffff 상위 45%}}}''' ||38.92|| || '''{{{#ffffff 상위 50%}}}''' ||38.661|| || '''{{{#ffffff 하위 45%}}}''' ||38.40|| || '''{{{#ffffff 하위 40%}}}''' ||38.14|| || '''{{{#ffffff 하위 35%}}}''' ||37.86|| || '''{{{#ffffff 하위 30%}}}''' ||37.57|| || '''{{{#ffffff 하위 25%}}}''' ||37.25|| || '''{{{#ffffff 하위 20%}}}''' ||36.91|| || '''{{{#ffffff 하위 15%}}}''' ||36.50|| || '''{{{#ffffff 하위 10%}}}''' ||35.99|| || '''{{{#ffffff 하위 5%}}}''' ||35.23|| || '''{{{#ffffff 하위 1%}}}''' ||33.81|| || '''{{{#ffffff 하위 0.1%}}}''' ||32.21|| || '''{{{#ffffff 하위 0.01%}}}''' ||30.90|| || '''{{{#ffffff 하위 0.001%}}}''' ||29.95|| || '''{{{#ffffff 하위 0.0001%}}}''' ||28.73|| === 성인(만 25세 이상) === 성인의 평균 및 백분위 표를 보기 전에 참고 해야 할 것이 있는데 가장 최신 조사자료 기준, '''2015 성인의 어깨 너비의 표준편차가 27.32로 매우 높게 나타나는데''', 이는 평균에 고루 분포한 것이 아닌, 극과 극에 해당하는 구간에서 속해 있을 확률이 높다. 즉 '''신뢰하기가 힘들다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간편하고 신뢰성이 높은 대체 방안이 있는데 바로 '''전년도의 표준편차를 기준으로 산출'''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표준편차에 문제가 있어 신뢰구간 95% 확보가 되지 않은 경우, t-검정을 통하여 다시 재검사 해야 하는데, 그러려면 자료를 아예 다시 만들어야 한다. 이게 뭔 말이냐면 '''2015년에 어깨 골격 너비를 측정 했던 등재된 신상에 속한 사람들을 정확히 다시 다 불러서 재측정을 해야 한다는 소리다.''' 다만 이는 현실적으로 힘든 점이 많아 개인이 실행하기엔 무리가 있어서 위 방법으로 계산하겠다. 그런데 어떻게 보면 전년도 측정 산출값이 압도적으로 신뢰도가 높은 게 '''2010년 측정 인원 수는 432명''', 2015년 측정 인원수는 333명으로 단순하게 표본 측정 인원수만 봐도 2010년 측정치의 신뢰도가 압도적으로 높으므로 문제될 것이 없기 때문. 즉, 2010년 자료 자체가 더 신뢰성이 높을 것으로 보인다. 허나 평균의 경우는 5년이 지날 수록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기에 딱히 오류라고 보기엔 힘들다. ~~애초에 어깨 골격 너비 1cm 차이가 3.17cm 차이이니 말 다했다.~~ [[사이즈 코리아]]에 게시된 자료를 통하여 2010년 기준 성인은 표준편차 19.71로 계산하겠다. ||<-2> '''{{{+1 성인 (성별: 남성, 단위:cm)}}}''' || || '''{{{#ffffff [[평균]]}}}''' ||'''40.189'''|| || '''{{{#ffffff [[표준편차|SD]]}}}''' ||'''1.971'''|| || '''{{{#ffffff 상위 0.0001%}}}''' ||49.6 [* 이 수치에 해당하는 사람은 매우 축하한다. 본인의 성인 연령 인구 중에서 전국 1위에 해당하는 수치다.]|| || '''{{{#ffffff 상위 0.001%}}}''' ||48.6|| || '''{{{#ffffff 상위 0.01%}}}''' ||47.51|| || '''{{{#ffffff 상위 0.1%}}}''' ||46.28|| || '''{{{#ffffff 상위 1%}}}''' ||44.77|| || '''{{{#ffffff 상위 5%}}}''' ||43.43|| || '''{{{#ffffff 상위 10%}}}''' ||42.72|| || '''{{{#ffffff 상위 15%}}}''' ||42.22|| || '''{{{#ffffff 상위 20%}}}''' ||41.85|| || '''{{{#ffffff 상위 25%}}}''' ||41.51|| || '''{{{#ffffff 상위 30%}}}''' ||41.22|| || '''{{{#ffffff 상위 35%}}}''' ||40.94|| || '''{{{#ffffff 상위 40%}}}''' ||40.7|| || '''{{{#ffffff 상위 45%}}}''' ||40.43|| || '''{{{#ffffff 상위 50%}}}''' ||40.19|| || '''{{{#ffffff 하위 45%}}}''' ||39.95|| || '''{{{#ffffff 하위 40%}}}''' ||39.7|| || '''{{{#ffffff 하위 35%}}}''' ||39.44|| || '''{{{#ffffff 하위 30%}}}''' ||39.165|| || '''{{{#ffffff 하위 25%}}}''' ||38.82|| || '''{{{#ffffff 하위 20%}}}''' ||38.53|| || '''{{{#ffffff 하위 15%}}}''' ||38.147|| || '''{{{#ffffff 하위 10%}}}''' ||37.66|| || '''{{{#ffffff 하위 5%}}}''' ||36.95|| || '''{{{#ffffff 하위 1%}}}''' ||35.61|| || '''{{{#ffffff 하위 0.1%}}}''' ||34.1|| || '''{{{#ffffff 하위 0.01%}}}''' ||32.87|| || '''{{{#ffffff 하위 0.001%}}}''' ||31.79|| || '''{{{#ffffff 하위 0.0001%}}}''' ||30.82|| == 나이 별 삼각근 포함 평균 어깨너비 == 실용적으로 의미 있는 어깨 너비인데,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대부분이 어깨 너비 측정하면 이 방법을 떠올린다. 어깨 골격 너비와의 차이는 후천적인 요인(운동, 보형물 삽입, 뽕 등)으로 넓힐 수 있다. 이 때문에 평균 값의 변화가 크며, 통계학적 신뢰 범위가 낮다. 어깨 골격이 좁아도 삼각근의 벌크를 통해 넓힐 수는 있어도 같은 삼각근 너비라면 어깨 골격이 넓은 사람이 더 넓다. === 만 16세 평균 ‘삼각근 포함’ 어깨 너비 === ||<-2> '''{{{+1 만 16세(성별: 남성, 단위:cm)}}}''' || || '''{{{#ffffff [[평균]]}}}''' ||'''43.926'''|| || '''{{{#ffffff [[표준편차|SD]]}}}''' ||'''2.872'''|| || '''{{{#ffffff 상위 0.0001%}}}''' || [* 이 수치에 해당하는 사람은 매우 축하한다. 본인의 성인 연령 인구 중에서 전국 1위에 해당하는 수치다.]|| || '''{{{#ffffff 상위 0.001%}}}''' |||| || '''{{{#ffffff 상위 0.01%}}}''' |||| || '''{{{#ffffff 상위 0.1%}}}''' |||| || '''{{{#ffffff 상위 1%}}}''' |||| || '''{{{#ffffff 상위 5%}}}''' |||| || '''{{{#ffffff 상위 10%}}}''' |||| || '''{{{#ffffff 상위 15%}}}''' |||| || '''{{{#ffffff 상위 20%}}}''' |||| || '''{{{#ffffff 상위 25%}}}''' |||| || '''{{{#ffffff 상위 30%}}}''' |||| || '''{{{#ffffff 상위 35%}}}''' |||| || '''{{{#ffffff 상위 40%}}}''' |||| || '''{{{#ffffff 상위 45%}}}''' |||| || '''{{{#ffffff 상위 50%}}}''' |||| || '''{{{#ffffff 하위 45%}}}''' |||| || '''{{{#ffffff 하위 40%}}}''' |||| || '''{{{#ffffff 하위 35%}}}''' |||| || '''{{{#ffffff 하위 30%}}}''' |||| || '''{{{#ffffff 하위 25%}}}''' |||| || '''{{{#ffffff 하위 20%}}}''' |||| || '''{{{#ffffff 하위 15%}}}''' |||| || '''{{{#ffffff 하위 10%}}}''' |||| || '''{{{#ffffff 하위 5%}}}''' |||| || '''{{{#ffffff 하위 1%}}}''' |||| || '''{{{#ffffff 하위 0.1%}}}''' |||| || '''{{{#ffffff 하위 0.01%}}}''' |||| || '''{{{#ffffff 하위 0.001%}}}''' |||| || '''{{{#ffffff 하위 0.0001%}}}''' |||| === 성인 === == 관련 문서 == * [[어깨]] * [[쇄골]] * [[견갑골]] * [[늑골]] * [[흉골]] * [[삼각근]] * [[광배근]] * [[어깨 깡패]] * [[어깨 통증]] [[분류:의학]][[분류:통계학]][[분류: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