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북한의 버스 터미널]] [include(틀:북한의 버스터미널)] ||<-2> {{{-2 '''[[북한|[[파일:북한 국기.svg|height=15]]]] [[평안남도|{{{#white 평안남도}}}]]의 [[버스 터미널|{{{#white 버스터미널}}}]]'''}}}[br]{{{#!wiki style="margin: -10px -10px" || [[북한|[[파일:북한 국장.svg|height=60]]]]||'''{{{+1 평성려객뻐스주차장[br]平城旅客뻐스駐車場}}}[*추정 [[서성려객뻐스주차장]], 원산려객뻐스주차장관리소 등의 명칭을 고려한 가칭이다.][br]{{{-2 Pyongsong Intercity Bus Terminal}}}''' || }}} || || '''다른 이름''' ||평성시외버스터미널[* [[대한민국]]에서 일부 북한 전문가가 사용하는 표현으로 공식명칭은 아니다.][br]平城市外버스터미널 || || '''준공''' ||''미상'' || || '''관리''' ||평안남도 인민위원회[br]평성려객뻐쓰주차장관리소 || || '''노선''' ||[[평성려객뻐스주차장#노선|하단 문단]] 참조 || ||<|2> '''주소''' ||{{{#!wiki style="margin: -3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39.24045214410435%2c125.87223227614741&zoom=14, 타입=satellite, 너비=100%, 높이=250)]}}} ---- {{{#!wiki style="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ED1C27; color: white" '''평성려객뻐스주차장 본터미널'''}}} {{{-2 ([[평안남도]] [[평성시]] 역앞동)}}}[* [[평양시]] 노선 이외의 나머지 전국 노선 담당. 후술할 곽인옥 칼럼의 내용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 ||{{{#!wiki style="margin: -3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39.24541358072367%2c125.87681551014003&zoom=14, 타입=satellite, 너비=100%, 높이=250)]}}} ---- {{{#!wiki style="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ED1C27; color: white" '''평성려객뻐스주차장 평양역행 터미널'''}}} {{{-2 ([[평안남도]] [[평성시]] 역앞동)}}} || [목차] [clearfix] == 개요 == [[북한]]의 [[버스 터미널]]. [[평안남도]] [[평성시]] 역앞동에 총 2군데 터미널이 있다. == 특징 == [youtube(n8375-HB1Ls, width=100%)] 이 버스터미널의 공식 명칭은 빈약한 북한 정보의 특성상 확인하기 어려우나, 공식명칭이 확인되는 [[서성려객뻐스주차장]], 원산려객뻐스주차장관리소, 함흥려객뻐스주차장관리소, 해주려객뻐스주차장관리소와 함께 [[2010년]]에 촬영된 위 영상 속 [[사리원시]] 소재 버스터미널의 이름패에 '황해북도인민위원회 려객뻐스주차장'이라고 새겨진 점, 2013년 12월 22일자 로동신문 1면에 "평성려객뻐스감독 및 주차장관리소 로동자"를 언급한 점을 고려해보면 현재의 가칭으로 추론할 수 있다. 다만 공식적으로 확인된 이름이 아니기에 이 명칭의 사용에는 어느정도 주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위 영상 속 사리원시 소재 버스터미널의 상위 관리주체가 '황해북도인민위원회'라는 것을 통해서 이 버스터미널의 상위 관리주체가 평안남도인민위원회임을 알 수 있다. 평성시내를 가로지르는 신천을 건너면 전국 각지로 통하는 본 터미널이 있으며, [[평성역]] 앞에는 [[평양역버스정류장]]으로 향하는 별도 터미널이 있다. [[평성시]]가 [[평양시]]로 진입하는 핵심 통로이다보니 자연스럽게 이곳에 전국으로 통하는 터미널이 생긴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평양시]]에 진입하려면 10호 초소에서 [[국가보위성]]으로부터 발급받은 [[려행증|특수려행증]]을 제시해야 진입이 가능하므로, 특수려행증이 없는 사람들이 최대한 접근할 수 있는 곳인 평성에 이런 식으로 교통체계가 형성될 수밖에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 운행 노선 [anchor(노선)] == 곽인옥 [[숙명여자대학교]] 교수의 자료는 링크 참조. [[http://www.e-conom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6963|곽인옥 칼럼]] 이 칼럼에 포함된 위성사진 자료를 통해서 이 버스터미널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한겨레]]의 기사에 따르면 전국 주요 도시를 잇는 ''''50개 안팎\''''의 노선이 있다고 하며, 심지어 [[청진시]]까지 무려 700km 거리의 노선까지도 있다고 한다. [[https://www.hani.co.kr/arti/politics/defense/891236.html|기사{{{-2 (한겨레)}}}]] * 평성 - [[평양역버스정류장|평양역]] * 평성 - 평원 * 평성 - 신의주 * 평성 - 남포 * 평성 - 사리원 * 평성 - 원산 * 평성 - 해주 * 평성 - 함흥 * 평성 - 청진 * 평성 - 혜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