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평양시의 랜드마크)] ||<-2> {{{-2 '''[[북한|[[파일:북한 국기.svg|height=15]]]] [[평양시|{{{#white 평양시}}}]]의 [[테마파크|{{{#white 테마파크}}}]]'''}}}[br]{{{#!wiki style="margin: -10px -10px" || [[북한|[[파일:북한 국장_White.svg|height=60]]]]||'''{{{+1 평양민속공원[br]平壤民俗公園}}}[br]{{{-2 Pyongyang Folklore Park}}}'''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평양민속공원 전경.jpg|width=100%]]}}} || ||<-2> {{{-1 '''▲ 평양민속공원의 전경'''}}}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평양민속공원.jpg|width=100%]]}}} || ||<-2> {{{-1 '''▲ 평양민속공원의 입구 표지석'''}}} || || '''개장''' ||[[2012년]] [[9월 11일]] || || '''폐장''' ||[[2016년]] [[6월]] || || '''규모''' ||2.0㎢ || || '''상위 조직'''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인민봉사총국|인민봉사총국]] || || '''운영여부''' ||'''폐장 / 완전 철거''' || || '''주소'''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39.06067423960599%2c125.8250425262822&zoom=12, 타입=satellite, 너비=100%, 높이=250)]}}} ---- {{{#!wiki style="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e40001; color: white" '''평양민속공원'''}}} {{{-2 ([[평양시]] [[대성구역]] 안학동)}}} || [목차] [clearfix] == 개요 == [[북한]]의 [[테마파크]]. [[평양시]] [[대성구역]] 안학동에 있었다. [[대한민국]]의 [[한국민속촌]], [[용인대장금파크]] 등과 대응되는 민속공원이다. 이 공원 바로 옆에 [[안학궁|안학궁터]]가 있다. == 특징 == [[2008년]] [[12월]], [[김정일]] 생전에 그로부터 위임을 받은 매부 [[장성택]] 주도로 만들어진 공원으로서, 수억 달러를 들여서 정성스레 만들었다. [[https://www.worldkorean.net/news/articleView.html?idxno=38605|기사{{{-2 (월드코리안넷)}}}]] 그 덕에 [[북한]]을 방문했던 외국인 관광객들에게도 반응이 좋았다고 하며, 평양의 신혼부부들이 사진을 찍는 명소로도 유명했다.[* 폐쇄 이후 김정은이 [[기록말살형|"평양민속공원에서 찍은 사진까지 없애라"]]고 지시했지만 당연히 효과는 없었다.] 역사종합교양구, 역사유적전시구, 현대구, 민속촌구, 민속놀이구, 백두산 및 금강산공원구역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주제는 민속공원답게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는 역사적 창조물들이 재현되어 있었다. [[https://www.tongi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0809|기사{{{-2 (통일뉴스)}}}]] 특히 공원 한가운데에 [[한반도]] 모양의 [[호수]] 공원도 있었다. 하지만 [[2016년]] [[6월]], [[김정은]]이 '자신이 죽인 고모부 [[장성택]]이 생각난다'는 이유로 폐쇄 조치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160614074100014|기사{{{-2 (연합뉴스)}}}]] 그리고 그로부터 6년여가 흐른 [[2022년]] 기준으로는, 해당 터에 아무 것도 남아있질 않으며 예전 흔적이 전혀 없이 빈 공터로 있다. [[분류:북한의 공원]][[분류:폐건물]][[분류:2016년 폐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