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2 {{{#fff '''평양시 인민위원회'''}}}}}}[br]{{{#fff 平壤市 人民委員會}}}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39.01682931698705%2C125.74714254346182, 너비=100%)]}}} || ||<-2> {{{#fff '''위치'''}}} ||<-2> [[평양시]] [[중구역]] 서성거리 [[중성동(평양)|중성동]] || ||<-2> {{{#fff '''국가'''}}} ||<-2> [[파일:북한 국기.svg|width=30]] [[북한|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2> {{{#fff '''관할구역'''}}} ||<-2> [[평양시]] || ||<-2> {{{#fff '''인민위원장'''}}} || [[최희태(북한)|최희태]] || [include(틀:조선로동당)] || [clearfix] [목차] == 개요 == [[평양시]]의 농업 관련 사무를 제외한 행정의 집행, 주민의 관리 등을 담당하는 북한의 지방행정기관. 평양시 당위원회로부터 행정에 관해서도 지도를 받고 당위원회와 달리 농촌의 경영과 관련된 사항을 관할할 수 없기 때문에 한국의 시청과 곧바로 대응한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평양시당의 지도란 것은 단순 자문 수준이 아니라 [[화성지구]] 건설의 경우 시당이 직접 기관기업소 단위별로 건설에 동원할 인원과 구매할 자재 수량, 담당 구간, 동호수를 제시해주는 등 구체적인 건설과제 몫을 나눠주는 등 심의 이상의 권한을 행사하는 것을 말한다. [[https://www.dailynk.com/20220223-1/|#]] 인민위원회, 당위원회의 행정 사무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인민위원회(북한)|인민위원회]] 문서 참조. 이곳 인민위원장은 평양시에서 서열 2위다. 서열 1위는 평양시당 책임비서다. 평양시 당위원회 청사도 중성동에 있지만 중국 같은 나라와 달리 다른 곳에 있다. 인접한 곳에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와 [[김일성광장]], [[인민대학습당]]뿐만 아니라 [[조선로동당]]과 내각의 주요 기관 및 시설이 위치하고 있다. == 역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평양부청 전경.jpg|width=100%]]}}} || || '''{{{#white 평양시 인민위원회 청사}}}'''[* 일제강점기에는 평양부 청사로 쓰였다.] || [[조선]]과 [[대한제국]], [[일제강점기]]부터 쭉 평양부청이 소재하고 있었다. 광복 이후 1946년 평양특별시 인민위원회가 설립되었고, 1952년 현재의 기관인 평양시 인민위원회로 개편되었다. === 역대 인민위원장 === [include(틀:역대 평양시 인민위원회 위원장)] * [[강희원]] (1962 ~ ?) * [[강성산]] (1969 ~ 1975) * [[정준기]] (1977 ~ ?) * [[량만길]] (1998 ~ 2006) * 방철갑 (2006 ~ 2007) * [[박관오]] (2007 ~ 2010) * [[량만길]] (2010 ~ 2012) * [[차희림]] (2012 ~ 2020) * [[최희태(북한)|최희태]] (2020 ~ ) == 조직 == === 하위 조직 === {{{-2 (2018년 통일부 발간 '북한 주요기관 • 단체 인명록' 참고)}}} [[https://www.e-ia.co.kr/sonosa/newsletter/201810/p5.pdf|인명록]] * '''위원장''' * 제1부위원장 * 부위원장 * 초급당위원장 * 직업동맹 * 지구계획위원회 * 생산종합처 * 가금지도국 * 건설건재공업총국 * 건설관리국 * 상하수도건설사업소 * 건설지도국 * 직업동맹 * 교량건설사업소 * 대학건설사업소 * 건재관리국 * 계획국 * 고려봉사관리국 * 고려약생산관리국 * 기술과 * 약초생산과 * 자재공급과 * 자재상사 * 교육도서 및 기자재관리국 * 국영목장관리국 * 국토환경보호관리국 * 능라도무역총국 * 대동강건설관리국 * 대동강건설총국 * 건설사업소 * 대동강과수관리국 * 도로원림관리국 * 도시경영총국 * 무역관리국 * 문화국 * 문화보존처 * 보건국 * 위생방역처 * 방역과 * 위생과 * 사회급양관리국 * 상하수도관리국 * 석탄공업관리국 * 식료일용공업관리국 * 여객운수관리국 * 직업동맹 * 후방물자공급소 * 인민보안국 * 교통지휘대 * 인민봉사지도국 * 인민생활공채상무위원회 * 원림관리국 * 원예지도국 * 일용수매관리국 * 임업관리국 * 재정총국 * 전화국 * 정보기술국 * 정보화연구소 * 카드연구소 * 지구계획국 * 지방공업관리국 * 시공조직관리사업소 * 창광봉사관리국 * 평천냉동공장 * 8.3국 * 편의봉사관리국 * 기술준비소 * 지방공업관리국 * 피복공업관리국 * 혁명사적관리국 * 혁명사적지건설지도국 한국의 광역시청, 시의회와 달리 선출직이 아니라 당이 주민의 선거 과정을 거치지 않고 임명한 사람이 더 중요할 수 있다는 점이 다르다. 평양시의 구역의 인민위원회는 내각과 시 인민위원회의 '관리와 감독'을 받고, 구역 당위원회의 지도를 받는다. 인사권은 모조리 당위원회에 있다. [[https://kapa21.or.kr/bbs/dictionary/6492|#]] 구역 당위원회는 상급 당조직인 평양시 당위원회나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의 지도를 받는 것이다. 하지만 시 인민위원회나 구역 인민위원회는 당을 감독할 수는 없다. [[분류:광역자치단체 청사]][[분류:평양시]][[분류:북한의 정치]][[분류:1946년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