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평양시의 행정구역 변천사)] [include(틀:6.25 전쟁)] ||<-2> '''{{{#ffffff 평양시정위원회 [br] 平壤施政委員會 [br] Pyongyang Municipal Administrative Committee}}}''' || ||<-2>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width=150]] || || {{{#white 설립일}}} ||1950년 10월 19일 || || {{{#white 해산일}}} ||1950년 12월 6일 || || {{{#white 점령국}}} ||[[미국]] || || {{{#white 시장}}} ||[[임정득(정치인)|임정득]] || [목차] [clearfix] == 개요 == [[6.25 전쟁]] 당시 [[평양]]을 탈환한 후 [[유엔군사령부|유엔군]](사실상 [[미국]])이 설치한 평양 통치 기구. == 상세 == === [[평양 탈환]] === [[한국군]]과 [[유엔군사령부|유엔군]]은 [[인천 상륙작전]]의 여세를 몰아 [[9월 28일]] [[서울]]을 [[9.28 서울 수복|수복하였고]], 이에 따라 [[북한군]]은 [[남한]] 지역에서 대대적인 후퇴를 하기 시작한다. 이어 [[10월 1일]] 한국군은 [[38선]]을 돌파하였고, 뒤이어 [[10월 7일]]에는 유엔군도 38선을 넘어 북진하기 시작하였다. 이에 [[북한]]은 모든 정부 기관과 북한군 부대를 평양에서 철수하기로 결정했다. 한국군과 유엔군이 평양으로 빠르게 진격해 오자 [[김일성]]은 [[10월 12일]] 평양을 떠나 [[강계시|강계]]로 [[피난]]하였고, 북한도 모든 정부 기관과 북한군 부대를 평양에서 철수시켜 강계에 들어갔다. 한편 [[10월 9일]]부터 평양으로 출발한 한국군과 유엔군은 열흘 동안에 [[평양 탈환작전|평양을 탈환하는데 성공한다.]]([[10월 19일]]) === 시정위원회의 설치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10> {{{#ffffff 시장}}} || ||<-10> [[임정득(정치인)|{{{#004ea2,#008ccd 임정득}}}]] || ||<-10> {{{#ffffff 부시장}}} || ||<-5> {{{#004ea2,#008ccd 우제순}}} ||<-5> {{{#004ea2,#008ccd 오진환}}} || ||<-10> {{{#ffffff 부장}}} || ||<-2> {{{#ffffff 경찰부장}}} ||<-2> {{{#ffffff 소방부장}}} ||<-2> {{{#ffffff 보건부장}}} ||<-2> {{{#ffffff 후생부장}}} ||<-2> {{{#ffffff 사회부장}}} || ||<-2> {{{#004ea2,#008ccd 김영일}}} ||<-2> {{{#004ea2,#008ccd 이룡적}}} ||<-2> {{{#004ea2,#008ccd 선우요}}} ||<-2> {{{#004ea2,#008ccd 이황식}}} ||<-2> {{{#004ea2,#008ccd 안병섭}}} || ||<-2> {{{#ffffff 교통부장}}} ||<-2> {{{#ffffff 재정부장}}} ||<-2> {{{#ffffff 농무부장}}} ||<-2> {{{#ffffff 법무부장}}} ||<-2> {{{#ffffff 문교부장}}} || ||<-2> {{{#004ea2,#008ccd 김흥찬}}} ||<-4> {{{#004ea2,#008ccd 윤도성}}} ||<-2> {{{#004ea2,#008ccd 이학천}}} ||<-2> {{{#004ea2,#008ccd 배치엽}}} ||}}} [[대한민국]]의 [[이승만 정부]]와 [[미국]]은 평양의 통치권을 두고 갈등이 있었다. 이승만 정부는 [[대한민국 헌법]]상 평양도 대한민국 영토이므로 대한민국이 통치해야 한다고 주장하였으나, 미국은 평양이 분단 이후 대한민국의 영토가 된 적이 없으므로 대한민국의 지배권이 [[38선]] 이남에만 한정된다고 보고[* 그래서 현재 [[수복지구]]에 대한민국의 주권이 있는지에 대해 논란이 있다. [[수복지구]] 문서 참고.] 평양에 미치지 않는다고 보았다. 이에 따라 미국은 [[10월 21일]] 평양에 평양 시정위원회를 설치하였고 이후 약 두 달 동안 [[유엔군사령부|유엔군]]이 평양을 통치하였다. [[http://db.history.go.kr/item/level.do?sort=levelId&dir=ASC&start=1&limit=20&page=1&pre_page=1&setId=-1&prevPage=0&prevLimit=&itemId=dh&types=&synonym=off&chinessChar=on&brokerPagingInfo=&levelId=dh_019_1950_11_19&position=-1|유엔군 점령하의 평양의 광경을 묘사한 당시 신문기사의 내용.]] == 이후 == 평양 탈환 후 북진을 계속한 한국군과 유엔군은 여세를 몰아 10월 후순에는 마침내 한-중 국경선에 이르러 통일을 코앞에 두게 되었다. 그러나 [[인해전술|반격도 하지 못할 엄청난 규모]]의 [[중국 인민지원군|중공군]]이 전쟁에 개입하면서 전세는 단숨에 역전되었고 이에 따라 한국군과 유엔군은 통일을 코앞에 둔 채 후퇴를 하게 되었다. 서부전선에서 [[청천강 전투]]에서 유엔군이 참패하고 동부전선에도 공산군들에게 포위당하자 [[월튼 워커]]는 [[더글라스 맥아더|맥아더]]에 [[평양 철수]]를 제안하였고 맥아더는 곧바로 수락했다. 이에 따라 한국군과 유엔군은 [[12월 4일]] 약 두 달 만에 평양을 철수하였고, 미국은 평양에 두었던 평양 시정위원회를 철수하였다. 이틀 후인 [[12월 6일]] 평양은 다시 북한에 점령됐다. 이때 북한에 넘어간 평양은 지금까지 북한 지배하에 있으며 [[미군]]과 [[한국군]]은 다시는 평양에 가지 못하고 있다. 이후 [[임진강]]과 [[한탄강]]에서 겨우 방어선이 형성되는듯 했지만 얼마 못 가 서울을 다시 빼앗기고 결국 [[오산시]] 까지 밀려나게 된다. [[분류:1950년 설립]][[분류:1950년 해체]][[분류:6.25 전쟁]][[분류:평양시의 역사]][[분류:군정]][[분류:트루먼 행정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