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평양시의 랜드마크)] ||<-2> {{{-2 '''[[북한|[[파일:북한 국기.svg|height=15]]]] [[평양시|{{{#white 평양시}}}]]의 [[백화점|{{{#white 백화점}}}]]'''}}}[br]{{{#!wiki style="margin: -10px -10px" || [[북한|[[파일:북한 국장_White.svg|height=60]]]]||'''{{{+1 평양제1백화점[br]平壤第一百貨店}}}[br]{{{-2 Pyongyang Department Store No. 1}}}'''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평양제1백화점.jpg|width=100%]]}}} || ||<-2> {{{-1 '''▲ 평양제1백화점의 모습'''}}} || || '''설립''' ||[[1982년]] [[4월]] || || '''규모''' ||{{{-2 연건축면적}}} 40,000㎡[br]{{{-2 층수}}} 지하 1개 층 / 지상 9개 층 || || '''상위 조직'''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인민봉사총국|인민봉사총국]] || || '''주소'''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39.022304934831816%2c125.75374799876379&zoom=15, 타입=satellite, 너비=100%, 높이=250)]}}} ---- {{{#!wiki style="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e40001; color: white" '''평양제1백화점'''}}} {{{-2 ([[평양시]] [[중구역]] 경흥동)}}} || [목차] [clearfix] == 개요 == [[북한]]의 [[백화점]]. [[평양시]] [[중구역]] 경흥동에 있다. 근처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종합청사|내각종합청사]], [[백선행기념관]], [[평양학생소년궁전]], [[만수대예술극장]], [[인민대학습당]],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무성|외무성 청사]], [[김일성광장]] 등의 시설물이 있다. == 특징 == || [[YTN|[[파일:YTN 로고.svg|width=60]]]] [[굿모닝 와이티엔|{{{+1 {{{#00b5e3 '''굿모닝 와이티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Q4DOYOMmdE, width=100%, start=14, end=61)]}}} || || '''평양제1백화점[br](2022년 10월 23일 방영분)''' || 북한 내 최대 규모의 국영 백화점이다. [[1982년]]에 구 [[화신백화점]] 평양점 자리에 화신백화점 시절보다 25배 규모로 세워졌으며, 연건축면적 40,000㎡에 지하 1개 층, 지상 9개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한다. [[http://www.snkpress.kr/news/articleView.html?idxno=786|기사{{{-2 (남북경협뉴스)}}}]][* 기사에는 별관 건물이 있다고 설명되어 있으나 지도를 살펴보면 이 백화점 주변에 '별관'이라고 불릴 만한 건물은 확인되지 않는다.] 매년 '평양시인민소비품전시회'가 열리는 장소이다. [[https://www.dailynk.com/%EB%B6%81%ED%95%9C%EC%9D%BD%EA%B8%B0-%EC%86%8C%EB%AC%B8%EB%82%9C-%EC%A0%84%EA%B5%AD-8%C2%B73-%EC%9D%B8%EB%AF%BC%EC%86%8C%EB%B9%84%ED%92%88-%EC%A0%84%EC%8B%9C%ED%9A%8C%EC%97%90/|기사{{{-2 (데일리NK / 2020년)}}}]] [[https://www.news1.kr/articles/?4522758|기사{{{-2 (뉴스1 / 2021년)}}}]] [[https://www.yna.co.kr/view/PYH20220804100400042|기사{{{-2 (연합뉴스 / 2022년)}}}]] [[https://www.news1.kr/photos/view/?5835734|기사{{{-2 (뉴스1 / 2023년)}}}]] [[1992년]]에 덴마크계 다국적 기업의 임원이 이곳을 다녀간 적이 있는데, '물건을 사거나 사려는 사람이 거의 없고 팔려는 태세도 안 된 점이 무척 기이했다'라면서 "품질이 중국보다 10-15년 뒤떨어지고 한국보다 20년 이상 낙후돼 있었다."라고 평가했다. [[https://imnews.imbc.com/replay/1992/nwdesk/article/1856291_30556.html|기사{{{-2 (MBC)}}}]] 이러한 기사를 보면 당시에는 북한에서 백화점이라 해도 규모가 큰 국영상점 정도의 모양새였다고 추측할 수 있다. 다만 2010년대에는 중국 쇼핑물을 참고하여 정비과정을 거쳤고, [[2018년]]에는 '전자상점'이라는 이름으로 온라인 쇼핑몰을 운영 중이라는 내용이 전해졌다. [[https://www.news1.kr/amp/articles/?3465707|기사{{{-2 (뉴스1)}}}]] 2016년 기준으로 하루 이용객이 2만여 명으로, 일요일이나 명절에는 5만 명의 인파가 몰렸다고 하는데, 이는 비슷한 시기 [[롯데백화점]] 중형점포보다 약간 많은 수치였다고 한다. [[http://www.jajusibo.com/30262|기사{{{-2 (자주시보)}}}]] 다만 북한 최대 백화점이라고 해도 너무 높게 볼 필요는 없는 것이 내부 사진을 보면 남한의 지방 쇼핑몰보다도 열악한 수준이다. 나름 최신 유행으로 리모델링한 [[대성백화점]]마저 남한 입장에서는 뭔가 부족한 느낌인데 평양제1백화점은 그보다도 훨씬 내부가 열악하다.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5194783|안내도]]를 보면 6, 7층이 없는데, 이는 6, 7층은 백화점 운영진들이 업무하는 곳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6층은 사무실과 이용생산반이 있고 7층에는 회의실, 영사실이 있기 때문이다. [[http://www.cybernk.net/infoText/InfoHumanCultureDetail.aspx?mc=CC0305&sc=A32025001&tid=CC020500035384&direct=1|#]]] [[분류:중구역]][[분류:북한의 건축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