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平壤操車場驛 / Phyŏngyang Jochajang Station}}} ||<-3> {{{+2 '''평양조차장역'''}}} || ||<-3>{{{#!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평양조차장, 너비=100%, 높이=100%)]}}}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Phyŏngyang Jochajang || || [[한자]] ||<-2> 平壤操車場 || || [[간체자]] ||<-2> 平壤操车场 || || [[가나(문자)|가나]] ||<-2> [ruby(平壌, ruby=ピョンヤン)]操車場 || ||<-3> '''주소''' || ||<-3> [[평양시]] [[평천구역]] 청평동 || ||<-3> '''관리역 등급''' || ||<-3> 불명[br](평양철도총국) || ||<-3> '''운영 기관''' || || [[평양화전선]]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 ||<-3> '''개업일''' || || [[평양화전선]] ||<-2> 1944년 3월 21일 || ||<-3> '''철도거리표''' || || [[보통강역|{{{#585858 {{{#!html
보통강 방면
}}}}}}]][[보통강역|보통강]][br]← 3.7 ㎞ || '''[[평양화전선]]'''[br]평양조차장 || [[평천역|{{{#585858 {{{#!html
평천 방면
}}}}}}]][[평천역|평 천]][br]2.0 ㎞ → || [목차] [clearfix] == 개요 == [[평양화전선]]의 철도역. [[평양시]] [[평천구역]] 청평동 소재. 대부분의 자료에서는 빠져 있는 역이다. 여객취급도 화물취급도 하지 않는 탓에 여객/화물영업을 기준으로 하는 [[코레일]] 자료에서 제외한 탓으로 보인다. 하지만 엄연히 존재하는 역.[* 외국에서 [[대전조차장역]]이나 [[제천조차장역]]이 받는 취급과 비슷하다.] == 역 정보 == 모양새가 아주 요상하게 되어 있다. 일단 '''원래 평양조차장이라 부르던 시설'''의 시작점에서 끝까지가 무려 2.7km에 이른다. 게다가 중간에는 [[서평양역]]이 위치해 있다. 이런 기묘한 구조가 된 이유는 현재로써는 추론할 수밖에 없는데, 아마도 과거 존재했던 (가칭) 서평양선의 존재 때문으로 보인다. 과거 경의선은 여객선이 평양역 북쪽에서 분기, 현재의 천리마거리-영웅거리-하신거리를 거쳐 현 서평양역 북쪽에서 경의본선과 합류하는 구조였는데[* 이 때 [[서평양역]]은 기림리, 현재의 인흥2동에 있었다. 현재도 뜬금없이 개선문 인근에 서평양백화점의 이름이 남아있다.], 이 舊서평양역의 개업이 1929년이고 평양조차장의 이전사업이 시작된 것은 1938년이다[* 그 전에는 [[평양역]]에서 입환 및 조성 업무까지 모두 맡았다.]. 게다가 조차장 서쪽, 현재 남교동 기계공장이 들어선 자리에는 [[온천]](!)이 자리하고 있었는데, 결국 평양조차장은 좌우 공간의 협소와 서평양선 분기기의 존재로 말미암아 남북으로 길게 늘어뜨리는 방식으로 건설할 수밖에 없지 않았나 생각된다. 북한의 양대 조차장역인 [[함흥조차장역]]이 화물영업을 하는 데 비해 이 역은 여객도 화물도 담당하지 않는다. 평양권 화물은 주로 [[서포역]]이 담당하고 있으며 [[평양역]]도 일부 수하물을 취급하고 있다. [[보통강역]]과 직결되는 선로가 따로 분기한다. [[남포시|남포항]]으로 평양역을 거치지 않고 이동해야 할 때 사용하는 선로로, 이 선로는 [[서평양역]]을 거치지 않는다. [[분류:북한의 철도역]][[분류:1944년 개업한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