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평안남도의 시군)] {{{+1 平原郡 / Phyŏngwŏn County}}} |||| {{{+2 평원군}}}[br]平原郡 / Phyŏngwŏn County || || 국가 || [[북한]] || || 광복 당시 면적 || 985.05㎢ || || 광역시도 || [[평안남도]] || || 광복 당시 행정구역 || 16면 || || 시간대 || UTC+9 || ||<-3><:> [include(틀:지도, 장소=평원군)] || [목차] [clearfix] == 개요 == [[평안남도]] 서북부에 위치한 군이다. 서쪽은 [[황해]]에 접하며 서북쪽으로 갈수록 이름 그대로 평원이 넓어지는 지형이다. 대한민국 행정구역상 16개 면으로 구성된다. 면적 985㎢. == 역사 == 한사군 시대에는 낙랑군(樂浪郡) 혼미현(渾彌縣)이었다. 이후 조선시대에는 왕이 머무는 [[영유행궁]]이 지어졌다. 본래 영유군, [[숙천군]], [[순안군]]이라는 세 군으로 나뉜 지역이었다. 그러다가 1914년 시행된 [[부군면 통폐합]]으로 평원군으로 통합되었다. 광복 당시 중심지는 평원면이었으며 1947년 4월 [[북조선인민위원회]]가 순안면, 양화면, 동암면을 [[대동군]]으로 이관하였다. 이후 1952년 북한이 숙천군을 부활시키면서 현재 북한 행정 구역상 평원군은 영유군 지역만 남은 상황이다. 김일성, 김정일이 명예 농장원인 원화협동농장이 있어 '원화리'에 있는 이 농장은 북한 당국의 집중적인 관리를 받는다. 여기서 첫 모내기를 시작하면 다른 협동농장들도 뒤따라 모내기를 시작하곤 한다. == 북한 기준 행정구역 == 량교리, 신성리, 룡상리, 원압리, 송림리, 월일리, 대정리, 운흥리, 운봉리, 덕제리, 덕포리, 심원리, 송화리, 화진리, 신송리, 청보리, 남산리, 청룡리, 운룡리, 배전리, 석교리, 송석리, 대암리, 삼봉리, 룡이리, 원화리, 삼송리, 석암리, 대풍리로 구성되어 있다. == [[이북5도위원회|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 == [Include(틀:평안남도의 하위행정구역)] [[파일:평원군기.png|width=50%]] [[파일:평원군.jpg]] 해방 당시 16개 면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 구 영유군 지역 === * '''평원면'''(平原面) * 관할 리 : __이화(梨花)__, 괴천(槐泉), 대부(大夫), 부용(芙蓉), 송석(松石), 어은(漁隱), 어파(漁坡), 영덕(永德), 원류(元柳), 월정(月晶), 월평(月坪), 자일(紫逸), 장림(長林), 화림(華林) * 면소재지와 군청소재지는 이화리. 본래 영유군 영유면(永柔面), 동부면(東部面), 중부면(中部面), 서부면(西部面)으로 [[1914년]] 부군면 통폐합으로 영유면이 되었고, 1929년 평원면으로 개칭되었다. 부군면 통폐합 이전 영유군의 중심지였기 때문에 일명 '영유(永柔)'라고 불렸다. 이화리에 [[조선 선조]]가 임진왜란 때 100일간 머물렀던 [[영유행궁]]이 있었고, 조선시대의 사열대인 [[http://www.mkstudy.com/photo/view/pBc7/|훈련정]](訓鍊亭)이 아직 남아 있다. 영덕리에 있던 삼충사는 [[제갈량]](諸葛亮)·[[악비]](岳飛)·[[문천상]](文天祥)을 모신 사당이었다. * 철도 교통은 산 넘어 이웃 공덕면에 있는 [[경의선]] [[어파역]]을 이용해야 한다. * '''노지면'''(鷺池面) * 관할 리 : __용정(龍井)__, 대송(大松), 대주(大洲), 문명(文明), 석소(石蘇), 쌍암(雙巖), 용당(龍堂), 용암(龍巖), 정림(旌林), 추흥(楸興) * 1914년 덕지면(德池面), 백로면(白鷺面), 상계면(上界面)이 통폐합되어 신설되었다. * '''동암면'''(東巖面) * 관할 리 : __산음(山陰)__, 도전(都田), 동석암(東石巖), 둔전(屯田), 문암(門巖), 반송(盤松), 부백(孚白), 산양(山陽), 상탄(上灘), 서문(西門), 서석암(西石巖), 송석(松石), 신평(新坪), 신흥(新興), 암적(巖赤), 어중(御重), 용산(龍山), 용우(龍隅), 용이(龍二), 원화(元和), 율일(栗一), 율화(栗花), 조산(造山) * 1917년 용흥면(龍興面)이 석암면(石巖面)으로 개칭되었고, 1929년 구 순안군 지역이었던 동두면(東頭面)과 합병되어 형성되었다. 좌우로 길게 뻗은 형상으로, 면소재지 부근에 [[경의선]] [[석암역]]이 있다. * '''용호면'''(龍湖面) * 관할 리 : __연교(蓮橋)__, 관성(館城), 남양(南陽), 뇌송(雷松), 당우(堂隅), 매전(梅田), 안연(安淵), 약전(藥田), 어당(魚塘), 용강(龍岡), 운봉(雲鳳), 응오(鷹烏), 장평(獐坪), 중항(中巷), 청운(靑雲), 판교(板橋) * 1914년 용흥면(龍興面), 갈하면(葛下面), 연하면(蓮下面), 통호면(通湖面)의 4개 면을 통합해 신설한 면이다. 서해와 면하는 지역으로 남양리에는 남양[[염전]]이 넓게 형성되어 있다. 북한에서는 이 염전에서 [[평남]] 소금의 1/3이 생산된다고 한다. 아울러 염전 부근 와룡산(73m)의 [[봉수대]] 터도 있다. * '''청산면'''(靑山面) * 관할 리 : __구원(舊院)__, 개수(价水), 계산(桂山), 교산(橋山), 금봉(金峰), 남흥(南興), 보방(寶坊), 송현(松峴), 용암(龍巖), 운송(雲松), 운탑(雲塔) * 1914년 청지면(靑池面)과 화산면(禾山面), 수남면(水南面)이 통폐합되어 신설되었다. * 노지면·덕산면과의 경계에 산 전체가 [[화강암]]으로 된 대원산(大圓山, 205m)이 있으며, 산정에 [[기암괴석]]으로 된 경승지 낙가굴(洛迦窟)이 있다. * '''해소면'''(海蘇面) * 관할 리 : __금학(金鶴)__, 난산(爛山), 내덕(內德), 송정(松井), 용교(龍橋), 용현(龍峴), 월현(月峴), 종률(種栗) * 1914년 소호면(蘇湖面)과 해율면(海栗面)이 통폐합되어 신설되었다. * 바다 海가 들어가 있지만 서쪽 끄트머리를 제외하고는 바다에 접하고 있지 않다. === 구 숙천군 지역 === 아래 지역은 조선시대 숙천군의 영역에 해당한다. * '''검산면'''(檢山面) * 관할 리 : __검흥(檢興)__, 검서(檢西), 검양(檢陽), 송양(松陽), 신성(新成), 신지(薪枝), 용포(龍浦), 터산(攄山), 학산(鶴山) * 1914년 숙천군 상검면(上檢面), 하검면(下檢面), 법리면(法里面), 애산면(艾山面)이 통폐합되어 신설되었다. * 검산(194m) 부근 검흥리와 터산리 사이에 위치한 검산약수가 유명하다. * '''동송면'''(東松面) * 관할 리 : __월봉(月峰)__, 군자(君子), 백석(白石), 백운(白雲), 송현(松峴), 수암(壽巖), 용담(龍潭), 운룡(雲龍), 운평(雲平), 청룡(靑龍) * 1914년 숙천군 동산면(東山面)과 송리면(松里面)이 통폐합되어 신설되었다. * 청룡리에 청룡사(靑龍寺)가 있었다. 한자 이름이 [[철원군]] [[동송읍]](東松邑)과 동일하다. * '''서해면'''(西海面) * 관할 리 : __사산(蛇山)__, 광천(廣川), 남포(南浦), 당오(唐塢), 보덕(補德), 보원(補元), 신덕(新德), 연풍(延豊), 용산(龍山), 원흥(元興), 중흥(中興) * 1914년 숙천군 고리면(高里面), 당리면(唐里面), 보민면(補民面), 평리면(坪里面)이 통폐합되어 신설되었다. * 평원군의 서북쪽 끝에 있는 면으로, 이름대로 서쪽은 [[황해]]와 접한다. 철도는 [[남동선]]이 지나가며 염전역, 남동역이 있다. * '''숙천면'''(肅川面) * 관할 리 : __관전(官前)__, 관동(館東), 내동(內洞), 당하(堂下), 덕수(德水), 도덕(道德), 만흥(晩興), 미남(嵋南), 백로(白鷺), 사직(社稷), 성남(城南), 송저(松底), 신남(新南), 신흥(新興), 심정(深井), 통덕(通德) * 1914년 숙천군 동부면(東部面), 서부면(西部面)과 영유군 우상면(右上面), 우하면(右下面)이 통폐합되어 신설되었다. 구 숙천군의 중심지. 경의선 [[숙천역]]이 있다. * '''조운면'''(朝雲面) * 관할 리 : __갈산(葛山)__, 성덕(聖德), 송천(松千), 순정(順井), 응암(鷹巖), 재정(財井), 조운(朝雲), 태평(太平) * 1914년 숙천군 삼리면(三里面), 성상면(聖上面), 취리면(吹里面)이 통폐합되어 신설되었다. * 숙천면 바로 서쪽에 있던 면으로 화가 [[이중섭]]이 이곳 송천리 출신이다. === 구 순안군 지역 === 아래 지역은 조선시대 순안군의 영역에 해당한다. 이외에도 동암면 둔전리·문암리·반송리·부백리·산음리·서문리·어중리·용우리·용이리·율일리·율화리(구 동두면)가 구 순안군 영역이었다. * '''공덕면'''(公德面) * 관할 리 : __흥운(興雲)__, 간(間), 괴전(槐田), 법흥(法興), 병상(竝上), 산송(傘松), 상이(上二), 성교(城橋), 송매(松梅), 신교(新郊), 신화(新和), 양수(兩水), 용암(龍巖), 용흥(龍興), 원(院), 장재(長財), 적암(積巖), 퇴남(退南), 퇴상(退上), 퇴현(退峴), 향암(香巖) * 군의 동쪽에 있는 면. 1914년 순안군 공전면(公田面)과 평천면(平川面)을 통폐합해 공평면(公平面)이 신설되었고 1929년 자덕면(自德面)이 합병되어 형성되었다. 1929년 축조된 평안저수지[* 또는 석암저수지라고도 하는데, 현재 북한에서는 견룡저수지라고 한다.]가 있으며, 31본산 중 하나였던 [[http://www.mediabuddha.net/news/view.php?number=11900|법흥사]]가 남아있다. * 관내에 [[경의선]] [[어파역]]이 있다. * '''순안면'''(順安面) * 관할 리 : __남창(南昌)__, 관북(館北), 구교(舊校), 구서(九瑞), 군상(郡上), 남산(南山), 담화(曇華), 사직(社稷), 상양(上陽), 성이(星二), 성일(星一), 수우(水隅), 신상(新上), 신안(新安), 안암(安庵), 안흥(安興), 양학(陽鶴), 연산(延山), 오산(梧山), 원일(元一), 포정(蒲井) * 1914년 순안군 군내면(郡內面)과 송현면(松峴面), 정방면(定坊面)이 통폐합되어 신설되었다. * 구 순안군의 중심지로 평원군의 남동쪽 끝에 있으며 [[대동군]]과 접한다. 북한 치하에서는 [[순안구역]]으로 [[평양시]]에 편입되었으며 경의선 [[순안역]]과 함께 북한의 관문인 [[평양국제비행장]]이 있다. 그런데 북쪽 활주로는 동암면과 걸쳐 있고, 남쪽 활주로는 보통강 건너 양화면에 있다. * 동쪽 담화산(431m)에는 동금강암(東金剛庵)이라고도 불리는 [[http://www.mediabuddha.net/m/news/view.php?number=11876&page=|금강암]](金剛庵)이 있다. * '''양화면'''(兩花面) * 관할 리 : __요화(蓼花)__, 금강(金剛), 내송(內松), 상서(上西), 상송(上松), 신(新), 신성(新成), 신정(新井), 옥정(玉井), 용복(龍伏), 중흥(中興), 평(坪) * 1914년 순안군 동화면(冬花面)과 연화면(蓮花面)이 통폐합되어 신설되었다. 순안면 바로 서쪽 지역으로, 남쪽으로 대동군과 접한다. === 구 [[평양부]] 지역 === 아래 지역은 조선시대 [[평양부]]의 영역에 해당하며 1914년 평원군 신설 당시 평원군으로 이관되었다. * '''덕산면'''(德山面) * 관할 리 : __삼정(三井)__, 검암(劒巖), 경하(坰下), 귤(橘), 대포(大浦), 덕수(德水), 봉도(蜂島), 원오(元五), 유촌(兪村), 제(齊), 주촌(朱村), 탑(榻), 호여(浩呂), 화산(華山) === 구 [[증산군]] 지역 === 아래 지역은 조선시대 증산군의 영역에 해당한다. 증산군은 1914년 한천면은 평원군에, 한천면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은 [[강서군]]에 편입되어 폐지되었다. * '''한천면'''(漢川面) * 관할 리 : __감팔(甘八)__, 감사(甘四), 감삼(甘三), 감오(甘五), 감육(甘六), 감이(甘二), 감일(甘一), 감칠(甘七), 신성(信成), 예지(禮智), 인의(仁義) * 1914년 증산군 진방면(鎭坊面)과 초곡면(草谷面)이 통폐합되어 신설되었다. 서쪽으로 황해와 접한다. == 출신인물 == * [[김응용]] * [[이중섭]][* 성장한 곳은 [[원산시]]이다.] * [[우동측]] * [[강석주(1939)|강석주]] * [[한경직]] [[분류:평안남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