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강원특별자치도경찰청]][[분류:평창군]][[분류:1945년 설립]] [include(틀:강원특별자치도경찰청 휘하 경찰서)] ||<-2> {{{#!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대한민국경찰참수리.svg|height=50]]||{{{+1 {{{#2350a9 '''평창경찰서'''}}}}}} [br] {{{#2350a9 平昌警察署}}} [br] {{{#2350a9 Pyeongchang Police Station}}} ||}}} || || '''{{{#ffffff 설립일}}}''' || [[1945년]] [[8월 15일]] || || '''{{{#ffffff 경찰서장}}}''' || [[총경]] 김충우 || ||<|2> '''{{{#ffffff 소재지}}}'''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평창경찰서, 너비=100%)]}}}|| ||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평창읍 군청길 55 (하리) || || '''{{{#ffffff 상급기관}}}''' || [[강원특별자치도경찰청]] || || '''{{{#ffffff 홈페이지}}}''' || [[http://www.gwpolice.go.kr/pc|평창경찰서 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강원특별자치도경찰청]] 소속의 경찰서. [[평창군]] 일대의 치안, 교통, 범죄수사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경찰 관서이다. == 구조 == 본관 5층, 별관 2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 연혁 == ||<:><#2350a9> {{{#FFFFFF '''날짜'''}}} ||<#2350a9> {{{#FFFFFF '''내용'''}}} || ||<:> [[1945년]] [[8월 15일]] ||평창보안서 설치 || || [[1945년]] [[10월 21일]] ||평창경찰서 개칭 || || [[1945년]] [[11월 20일]] ||미탄·운교·대화·봉평·진부·도암지서 설치 || || [[1946년]] [[11월 15일]] ||마지·용전지서 설치 || || [[1948년]] [[11월 10일]] ||도암지서 유천리 이전, 구지에 횡계지서 설치 || || [[1954년]] [[4월 5일]] ||하리파출소 설치 || || [[1966년]] [[5월 10일]] ||횡계·마지·용전지서→출장소 개편 || || [[1975년]] [[11월 4일]] ||마지출장소→마지파출소, 횡계·용전출장소→횡계·용전지서 변경 || || [[1976년]] [[3월 27일]] ||방림검문소 설치 || || [[1980년]] [[10월 25일]] ||방림검문소→방림파견소 명칭 변경 || || [[1985년]] [[1월 25일]] ||장평검문소 설치 || || [[1995년]] [[1월 1일]] ||지서→파출소 명칭 변경 || || [[1997년]] [[8월 8일]] ||현 청사 준공 || || [[1998년]] [[7월 1일]] ||마지파출소→하리파출소 통합 || || [[2000년]] [[6월 1일]] ||도암출장소→유천분소, 횡계출장소→도암분소 변경 || || [[2003년]] [[8월 1일]] ||지역경찰제 실시(평창·중부순찰지구대, 진부·도암특수파출소) || || [[2006년]] [[4월 23일]] ||대화치안센터→파출소 승격 || || [[2007년]] [[9월 1일]] ||도암파출소→대관령파출소 명칭 변경 || == 조직 == * 서장 * 112치안종합상황실 * 경무과 * 경무계 * 경리계 * 청문감사계 * 정보안보외사과 * 공공안녕정보경비계 * 수사과 * 수사지원팀 * 지능범죄수사팀 * 형사팀 * 생활안전교통과 * 생활안전계 * 여성청소년계 * 교통관리계 * 교통조사팀 == 지구대·파출소·치안센터 == ||
<:><#2350a9> {{{#FFFFFF '''지구대명'''}}} ||<#2350a9> {{{#FFFFFF '''소재지'''}}} ||<#2350a9> {{{#FFFFFF '''전화번호'''}}} || || 평창지구대 ||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평창읍 평창중앙로 5 (하리) || 033-339-5372 || || 중부지구대 ||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봉평면 평온길 2 (평촌리) || 033-339-5376 || ||<#2350a9> {{{#FFFFFF '''파출소명'''}}} ||<#2350a9> {{{#FFFFFF '''소재지'''}}} ||<#2350a9> {{{#FFFFFF '''전화번호'''}}} || || 대화파출소 ||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대화면 대화중앙로 112 (대화리) || 033-339-5304 || || 진부파출소 ||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청송로 103 (하진부리) || 033-339-5275 || || 대관령파출소 ||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대관령면 대관령로 95 (횡계리) || 033-339-5284 || ||<#2350a9> {{{#FFFFFF '''치안센터명'''}}} ||<#2350a9> {{{#FFFFFF '''소재지'''}}} ||<#2350a9> {{{#FFFFFF '''전화번호'''}}} || || 방림치인센터 ||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방림면 서동로 1587 (방림리) || 033-334-2319 || || 운교치안센터 ||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방림면 서동로 275 (운교리) || 033-339-5262 || || 미탄치안센터 ||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미탄면 미탄중앙로 33 (창리) || 033-339-5260 || || 용평치안센터 ||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용평면 경강로 2003-3 (용전리) || 033-339-5263 || == [[고추]] 건조장? == [youtube(_VJfpRsWzqY)] 농작물 [[서리(범죄)|서리]] 때문에 농민들의 피해가 막심하다 보니 해마다 수확 시기가 되면 농촌 지역 [[경찰서]]들도 골머리를 앓는 실정인데, 평창경찰서에서는 아예 '''경찰서 주차장을 농산물 건조장으로 제공하는''' 고육책을 내놓기까지 했다. 예시로 든 평창경찰서의 경우 2001년부터 주차장을 제공했으며, 농작물 절도 예방[* 만에 하나 절도꾼이 출몰하더라도 [[현행범]]으로 잡아가면 그만이다.]뿐만 아니라 평상시에는 농민들의 작물 관리 일손도 돕고 있다고 한다. 또한 절도 방지 외에도 농민들이 도로변에 농작물을 널어놓고 말리다가 교통사고를 당하는 사례가 많기 때문에 사고 방지 목적도 있다. 덕분에 해마다 경찰서 주차장이 건조장으로 개방되는 시기에는 경찰서 직원들이 다소 불편하더라도 도보 내지는 [[자전거]]로 출퇴근을 한다고 한다. [[https://www.yna.co.kr/view/AKR20150909089900062|#1]] [[https://www.ytn.co.kr/_ln/0115_201908232242353741|#2]] == 여담 == * 미탄치안센터에서 [[시골경찰|시골경찰 리턴즈]] 10~12화를 촬영했다.[* 1~6화는 [[안동경찰서]] 임동파출소, 7~9화는 [[영덕경찰서]] 영해파출소에서 촬영] == 관련 문서 == * [[강원특별자치도경찰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