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마법 카드. [목차] == 설명 ==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파일:MessengerofPeace-DM4-JP-VG.png]] || 한글판 명칭 ||'''평화의 사자'''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ruby(平和, ruby=へいわ)]の[ruby(使者, ruby=ししゃ)]'''|| || 영어판 명칭 ||'''Messenger of Peace'''|| ||<-2> 마법 || ||<-2>공격력 1500 이상의 몬스터를 1턴 움직이지 못하게 한다. {{{-2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 ||<-2>적의 필드의 공격력 1500 이상의 몬스터를 전부 1턴 움직이지 못하게 한다. {{{-2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7 결투도시전설]])}}}|| ||<-2>공 1500 이상의 적 몬스터는 움직일 수 없다. 자신 턴 개시 시 LP 1000 줄어든다. {{{-2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8 파멸의 대사신]])}}}||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에서부터 등장. 공격력 1500 이상의 몬스터를 1턴간 공격할 수 없게 만드는 효과를 가졌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8 파멸의 대사신]]에서는 지속 마법처럼 필드에 남아 서로의 필드에 있는 공격력 1500 이상의 몬스터를 행동 불능으로 만들고, 이 카드의 컨트롤러는 턴 개시 시마다 LP를 1000 상실하는 지속 효과로 변경되었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OCG]] === [[파일:card100001182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 명칭=평화의 사자, 일어판 명칭=平和(へいわ)使者(ししゃ), 영어판 명칭=Messenger of Peace, 효과1=양쪽 필드의 앞면 표시의 공격력 1500 이상의 몬스터는 공격 선언을 실행할 수 없다. 자신의 스텐바이 페이즈마다 100 라이프 포인트를 지불한다. 지불하지 않으면\, 이 카드를 파괴한다.)] [[비트 다운]] 계열 덱의 천적 중 하나. [[레벨 제한 B구역]]이나, [[그레비티 바인드]]와 같이 락 카드로 매우 우수한 성능을 지녔다. 라이프 지불도 고작 100포인트에 불과해서 코스트가 없다고 봐도 과언은 아니다. 아니, 오히려 저 라이프를 지불하지 않으면 파괴된다는 점 덕분에 필요 없다 싶으면 원하는 타이밍에 파괴할 수 있다. 거기에다 앞의 둘과는 달리 [[습지초원]] 덱처럼 레벨은 낮은데 필드 효과로 공격력을 부풀릴 수 있는 덱이나, 레벨이 없는 [[엑시즈 소환|엑시즈 몬스터]]나 [[링크 소환|링크 몬스터]]도 공격력만 충족하면 막아버릴 수 있어서 적용 대상은 이쪽이 더 넓다. [[암흑의 문]]과 [[고철의 허수아비]], [[위협하는 포효]], [[배틀 페이더]] 등과 같이 공격을 봉쇄하는 카드만 추가로 발동해 두기만 해도 락이 단단해진다. 버티기 락이 필수인 [[종언의 카운트 다운]] 덱이나, [[카드 엑스클루더]], [[스텔스 버드]], [[메뚜기 군세]]같이 약한 데다가 최대한 필드 위에 오래 버텨야 효과를 발휘하는 카드를 보호해 주는 데도 쓸 수 있다. [[왕호 왕후]]가 필드 위에 있다면 공격력이 1401에서 1499 사이가 아닌 이상 몬스터는 아예 공격을 할 수도 없고, 그 수치의 공격력을 가진 몬스터도 많지 않아 사실상 필드에 내놓을 수 있는 몬스터가 없어진다. 혹은 원턴킬 소재가 모이지 않았을 때 깔아두면서 봉쇄를 하다가 모이는 순간 자체 효과로 깨고 나와서 [[원턴킬]]을 이루는 데도 쓸 수 있다. 공격력이 1400 이하라 이 카드의 효과를 회피하는 [[일렉]]과도 발군의 상성을 자랑한다. 거기에다 [[No.49 비조 포츈츈|no.49]] 또는 일렉의 효과는 강력한 것이 많아 상대를 일방적으로 괴롭혀줄 수 있다. [[비크로이드#서브마린로이드|서브마린로이드]]와의 조합도 고려해 볼 수 있다. 공격력 800이라 락에 걸리지 않기 때문에 직공 때리고 수비 표시로 돌아가는데 수비력이 1800이나 되기 때문에 1500 이하의 공격력으로는 뚫지 못한다. 여느 지속 마법 카드들처럼 [[싸이크론]]과 같은 마/함 제거 능력을 가진 카드들이나, 마법 카드의 효과를 무효로 하는 카드들, 마법 카드에 내성을 가진 카드들이 약점이다. 때문에 이 카드를 지켜 줄 수단을 마련해 주는 것이 필수. [[호루스의 흑염룡]] LV6의 경우는 모든 마법의 효과를 받지 않으므로 오히려 이 카드를 중점으로 한 덱에 어태커로 투입해 줄 수 있다. 다만 제거 카드가 증가한 현시점에서는 과거처럼 장기적으로 유지되리란 기대는 접는 게 좋다. 3턴 이내에 제거될 가능성이 높다면 [[빛의 봉인검]]으로도 충분하다고 할 수 있다. 제거될 우려가 없는 [[배틀 페이더]]처럼 [[패 트랩]] 카드를 쓰든, 몬스터를 제거하거나 무력화시키는 [[방어막(유희왕)|방어막]] 계열의 카드를 쓰는 편이 기습 면에서 뛰어나다. 지속적으로 공격을 틀어막는 카드로서는 일류일지 몰라도 그 개념 자체가 시대를 타기 마련이므로 환경에 맞춰 넣도록 하자. 하위 호환 카드로 [[고라 터틀]]이 있다. 그쪽은 유지 코스트가 필요 없는 대신 공격력 1900 이상의 공격 선언을 봉쇄하고, 공격력이 1100이라서 [[왕호 왕후]]가 필드에 있다면 아예 필드에 나오지도 못한다. 신기하게도 비전투 계열 덱을 극혐하는 코나미가 [[레벨 제한 B구역]]과 [[그레비티 바인드]]를 제한 먹이던 시절에 이 카드만큼은 제재를 받은 적이 없다. 앞의 두 카드와 다르게 능동적으로 자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음에도 미스터리. 한동안 메타 게임에서는 거의 보이지 않았던 카드였으나, 티어급 [[덱 파괴]] 덱인 [[루닉]]이 등장하면서 인기와 가격이 치솟았다. 본래는 하드카운터인 [[크샤트리라]]의 펜리르 특소-공격 선언을 막기 위해 찾아낸 대처법이었으나, 곧이어 이 카드와 스군어센([[스킬 드레인]]/[[군웅할거(유희왕)|군웅]]/[[어전시합(유희왕)|어전]]/[[센서 만별]]) 등의 지속물을 깔고 덱 파괴에 치중하는 안티메타 비전투 루닉이 주력 전술로 굳어지게 되었다. 다만 저 지속 함정들과는 달리 플레이어 명령형이 아니라 몬스터에게 거는 효과이기에 [[디 어라이벌 사이버스@이그니스터]]와 같은 효과를 받지 않는 몬스터에게 뚫린다는 점에 주의. [[초중무사]]나 [[스케어클로 크샤트리라]] 등 수비 표시로 공격을 할 수 있는 몬스터들 중에서 공격력이 1500 이하일 경우 이 카드가 존재해도 수비력이 아닌 공격력을 기준으로 삼기에 제약 없이 공격을 할 수 있단 점도 주의. [[유희왕 5D's]]에서는 [[가드 로보]]가 [[후도 유세이]]와의 듀얼 중 사용. [[레벨 제한 B구역]]의 효과를 받지 않는 저레벨 몬스터가 강화되는 순간 공격을 막으려 했다. 이후 [[후도 유세이/덱#패닉 웨이브|패닉 웨이브]]의 효과로 무효화되었다. [[분류:유희왕/OCG/지속 마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