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유로화 도입 이전 통화)] [Include(틀:남유럽의 통화)] [Include(틀:북아프리카의 통화)] Escudo português ([[포르투갈어]]) [[파일:Banco_de_Portugal_new_logo.svg.png|align=right&width=200]] [목차] == 개요 == [[포르투갈]]과 그 속령([[마데이라 제도]], [[아소르스 제도]])에서 [[유로]]화 전환 전까지 사용하던 통화로, [[에스쿠도]]화의 대표였었다. [[ISO 4217]] 코드는 PTE. 최종 인플레이션은 2.8%, 대 유로비값은 200.482에스쿠도/EUR[* 에스쿠도당 7원 정도.]. 기호는 S에 세로선 2개를 그어놓은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3ACifr%C3%A3o_symbol.svg|시프랑 (Cifrão)]]. 분명히 $와는 다르지만 별도로 [[유니코드]]에 배정되지 않아 그냥 $를 쓰기도 한다.(본 문서에서도 편의상 $라고 쓴다.) USD, CAD 같은 통화도 수기 작성시에는 줄 하나 짜리와 두 개 짜리 기호가 혼용되어 사용되어 오다보니, 전산화 과정에서 모양이 단순한 한 줄 짜리만 반영되고 두 줄 기호는 이의 변종으로 취급된 탓으로 보인다. 이 덕에 [[글꼴]]에 따라 두 줄을 표시하는 경우도 많아 굳이 두 줄 입력이 필요한 경우 이를 표시하는 글꼴을 찾아 사용하는 대안이 있다. 보조단위는 [[센타부]]를 사용하였으며 표기법이 다소 독특한데, $의 앞에는 고액단위가, 뒤에는 보조단위가 들어간다. 예를들어 125$25라면 125에스쿠도 25센타부. 하지만 가치가 지속적으로 낮아지는 바람에 1990년까지만 쓰고 폐기되었다. 전신은 포르투갈 헤알(real)[* 복수형 reais가 시간이 지나며 줄어 생긴 구어체인 헤이스(réis)로도 알려졌다.]인데 [[주앙 1세]](1385–1433) 시기 도입하여 1910년 민주화 혁명으로 나라가 갈아엎어진 1911년까지 쓴 단위다. 교환비는 1,000헤이스 = 1에스쿠도이다. 에스쿠도 만큼 특이한 표기법을 가졌는데, 천 단위에 $ 기호를 넣어 1,000헤이스를 1$000 식으로 표기했다. 헤알 이전에는 [[데나리우스|디녜이루]](dinheiro)라는 단위를 사용했는데(1헤알=840디녜이루), 디녜이루는 오늘날 [[포르투갈어]]에서 [[돈]]을 뜻한다. 에스쿠도 지폐는 2022년 2월 28일까지 유로화 교환이 가능했다. == 지폐 == 본래 포르투갈 에스쿠도의 시리즈 구분은 통합적으로 다루기 보다는 각 액면의 등장순서에 맞춰서 ch.0 (Chapa)과 같은 형태로 표기하기 때문에 분류하는 사람들에 따라서는 다소 견해가 다른 부분이 있을 수 있다. === 1941 ~ 61 === |||| || 앞면 || 뒷면 || || [[파일:attachment/포르투갈 에스쿠도/portugales51.jpg|width=100%]] || 20$ || [[안토니우 루이스 드 메네시스]] || 포르투갈 은행 문장 || || [[파일:attachment/포르투갈 에스쿠도/portugales52.jpg|width=100%]] || 50$ || [[폰테스 페레이라 멜로]] || 레오폴두 알메이라 작 '생각하는 사람' || || [[파일:C69326_f.jpg|width=100%]] || 100$ || [[페드루 누네스]] || 분수대 || || [[파일:500-Escudos.jpg|width=100%]] ||<|3> 500$ || [[다미앙 드 고이스]] || [[코임브라]]의 산타크루즈 교회 강단 || || [[파일:attachment/포르투갈 에스쿠도/portugales58.jpg|width=100%]] || [[주앙 4세]] || 독립 직후 포르투갈 국왕임을 선언하는 [[주앙 4세]] || || [[파일:attachment/포르투갈 에스쿠도/portugales55.jpg|width=100%]] || [[프란시스쿠 드 알메이다]] || [[프란시스쿠 드 알메이다]]와 두 남자 || || [[파일:attachment/포르투갈 에스쿠도/portugales59.jpg|width=100%]] ||<|2> 1,000$ || [[아폰수 1세]] || 아폰수 1세의 무덤 || || [[파일:attachment/포르투갈 에스쿠도/portugales54.jpg|width=100%]] || [[랭커스터의 필리파]] || 리스본 발견 기념비의 필리파 || * 20, 100에스쿠도와 신권 1,000에스쿠도의 경우 기존판형이 따로 존재한다. === 1964 ~ 79 === |||| || 앞면 || 뒷면 || || [[파일:attachment/포르투갈 에스쿠도/portugales401.jpg|width=100%]] || 20$ || [[파도바의 안토니오]] || 리스본 상 안토니오 교회 || || [[파일:attachment/포르투갈 에스쿠도/portugales402.jpg|width=100%]] || 50$ || [[아라곤의 이사벨]] || 1575년 코임브라 || || [[파일:attachment/포르투갈 에스쿠도/portugales403.jpg|width=100%]] || 100$ || [[카밀루 카스텔루 브랑쿠]] || 19세기의 포르투갈 || || [[파일:attachment/포르투갈 에스쿠도/portugales404.jpg|width=100%]] || 500$ || [[주앙 2세]] || 컴퍼스 평면도와 항해자 || || [[파일:attachment/포르투갈 에스쿠도/portugales405.jpg|width=100%]] ||<|2> 1,000$ || [[디니스 1세]] || 리스본 대학교(1290년) || || [[파일:attachment/포르투갈 에스쿠도/portugales406.jpg|width=100%]] || [[마리아 2세]] || 포르투갈 은행 본청사(1846년) || === 1968 ~ 85 === |||| || 앞면 || 뒷면 || || [[파일:attachment/포르투갈 에스쿠도/portugales301.jpg|width=100%]] ||<|2> 20$ || [[가르시아 드 오르타]] || 16세기 [[고아(인도)|고아]]의 시장풍경 || || [[파일:attachment/포르투갈 에스쿠도/portugales302.jpg|width=100%]] || [[가구 코티뉴]] || 코치뉴의 비행기 기종과 그가 발명한 [[육분의]] || || [[파일:attachment/포르투갈 에스쿠도/portugales303.jpg|width=100%]] || 50$ || [[비제우 여공작 마리아]] || 1507년의 신트라 || || [[파일:attachment/포르투갈 에스쿠도/portugales304.jpg|width=100%]] || 100$ || [[마누엘 마리아 바르보자 두 보카제]] || 19세기 초 [[리스본]] 호시오 광장의 모습 || || [[파일:attachment/포르투갈 에스쿠도/portugales305.jpg|width=100%]] || 500$ || [[프란시스쿠 산체스]], 브라가의 옛지도 || 17세기의 브라가 || || [[파일:attachment/포르투갈 에스쿠도/portugales306.jpg|width=100%]] || 1,000$ || [[페드루 5세]] || 페드루 5세 부부 측두상, 첫 철도 개통 기념식 || || [[파일:attachment/포르투갈 에스쿠도/portugales307.jpg|width=100%]] || 5,000$ || [[안토니우 세르지우]] || 거리를 누비는 세르지우 || === 1986 ~ 94 === |||| || 앞면 || 뒷면 || || [[파일:attachment/포르투갈 에스쿠도/portugales201.jpg|width=100%]] || 100$ || [[페르난두 페소아]] || 장미 꽃봉오리 || || [[파일:attachment/포르투갈 에스쿠도/portugales202.jpg|width=100%]] || 500$ || [[무지뉴 다 실베이라]] || 해바라기, 밀 묶음 || || [[파일:attachment/포르투갈 에스쿠도/portugales203.jpg|width=100%]] || 1,000$ || [[테오필루 브라가]] || 그가 묘사한 작품들 || || [[파일:attachment/포르투갈 에스쿠도/portugales206.jpg|width=100%]] || 2,000$ || [[바르톨로메우 디아스]], 디옵터 || 디아스의 범선과 옛 지구의 || || [[파일:attachment/포르투갈 에스쿠도/portugales204.jpg|width=100%]] || 5,000$ || [[안테루 드 켄탈]] || 로프와 체인으로 결속된 손 여섯개 || || [[파일:attachment/포르투갈 에스쿠도/portugales205.jpg|width=100%]] || 10,000$ || [[안토니우 에가스 모니스]], [[전두엽 절제술]]로 쪼개진 [[뇌]] || 노벨상 메달, 나무 싼 뱀 || === 1995(포르투갈의 선원 & 탐험가 시리즈) === 1995년에 등장하여 2001년까지 쓰인 시리즈. ()는 유로화 환산가격. |||| || 앞면 || 뒷면 || || [[파일:attachment/포르투갈 에스쿠도/portugales101.jpg|width=100%]] || 500$[br](€2.49) || [[주앙 드 바후스]] || 포르투갈의 발견을 우화한 그림[* 주로 [[인도]] 항로에 관한 것이다.] || || [[파일:attachment/포르투갈 에스쿠도/portugales102.jpg|width=100%]] || 1,000$[br](€4.99) || [[페드루 알바레스 카브랄]] || 브라질의 동물들 || || [[파일:attachment/포르투갈 에스쿠도/portugales103.jpg|width=100%]] || 2,000$[br](€9.98) || [[바르톨로메우 디아스]] || 아프리카 남단까지의 지도 || || [[파일:attachment/포르투갈 에스쿠도/portugales104.jpg|width=100%]] || 5,000$[br](€24.94) || [[바스쿠 다 가마]] || 바스코 다 가마 일행의 인도여정 || || [[파일:attachment/포르투갈 에스쿠도/portugales105.jpg|width=100%]] || 10,000$[br](€49.88) || [[엔히크 왕자]] || [[캐러벨]] || * 교환비를 보면 계산 가능한데, 500$ 2장보다 1,000$ 1장이 1센트 비싸고, 1천$ 5장이 5천$ 1장보다 1센트 비싸다. 그리고 1만$짜리 1장보다 1천$ 10장 혹은 2천$ 5장이 2센트 더 비싸다. (...) == 주화 == [[파일:71zmsircTbL._AC_UF894,1000_QL80_FMwebp_.webp]] 1 ~ 10$ - 국장 20$ - 항해 [[나침반]] 50$ - 형상화된 선박 100$ - [[페드루 누네스]] 200$ - [[가르시아 드 오르타]] 최종적으로 1, 5, 10, 20, 50, 100, 200에스쿠도 7종. 주화 역시 장당 교환값으로 계산했고, 1센트보다 바닥인 경우 그냥 버림 처리를 했다고 한다. == 이야기거리 == * 유로화로 변경되기 전에는 콘투(Conto)라는 표현을 자주 써왔었는데, 포어로 100만을 의미한다. 이는 100만 헤이즈 = 1,000에스쿠도 = 약 5유로로서 비교적 거래가 손쉬운 점에서 착안, 250, 500과 같은 복잡한 표현보다 반콘투, 쿼터콘투, 둘콘투와 같은 은어를 썼었다. * 포르투갈 에스쿠도와 예하 에스쿠도는 거의 별개의 통화로서 취급되었지만, 지점을 내놓듯하여 상호교류를 하기도 했다. 그 대표적인 유산이 [[마카오 파타카|마카오]]의 대서양은행(Banco Nacional Ultramarino)이다. == 둘러보기 == [include(틀:포르투갈 관련 문서)] [[분류:포르투갈의 역사]][[분류:유로화 도입 이전 통화]][[분류:2002년 폐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