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포르투갈/외교)] [include(틀:포르투갈의 대외관계)] [include(틀:포르투갈 관련 문서)] [목차] == 개요 == [[포르투갈]]의 옛 식민지들은 [[포르투갈어]]를 계속 사용하며 [[포르투갈어 사용국 공동체]]에 가입해있다. 포르투갈의 옛 식민지들은 포르투갈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예외적으로 적도 기니는 포르투갈어를 공용어에서 제외하면서 갈등이 생겨났고 포르투갈이 적도 기니에 대한 지원을 중단했다. 포르투갈은 프랑스와 비슷하게 탈식민지화 현상이 대두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쟁까지 벌여가며 해외 식민지들을 포기할 생각이 없었다. 프랑스와 달리 전쟁은 거의 이겼지만[* 최중요 식민지인 앙골라와 모잠비크에서 거의 대승을 거두었다. 프랑스가 제일 중요하게 여긴 식민지 알제리와 베트남에서 사실상 패배한 것을 감안하면 최중요 식민지에서 소련과 미국의 견제를 받고도 압승한 것은 포르투갈 군 입장에서는 꽤 큰 성과다.] 국민들의 반발과 이를 위시한 [[카네이션 혁명]]으로 해외 식민지를 포기하였다. 포르투갈어권 아프리카 국가들의 경우 여전히 포르투갈과 경제적으로 밀접한 관계에 있다. 이 국가들은 포르투갈에 대한 수입의존도가 상당히 높으며 그중 상투메 프린시페가 주요수입국중 비중이 63%가 포르투갈이 차지할 정도이다. 그다음 카보베르데가 39%, 기니비사우가 31%, 앙골라가 17%, 모잠비크가 4.5% 순이다. 유독 모잠비크가 상대적으로 적은 것은 바로 옆에 붙어있는 국가가 아프리카 경제대국인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있기 때문이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스페인과 포르투갈, 프랑스가 아프리카에서 천연가스를 많이 수입하고 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5/0003209238?sid=104|#]] == [[아시아]] == === [[동티모르]]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포르투갈-동티모르 관계)] === [[마카오]]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포르투갈-마카오 관계)] === [[인도]]와의 관계 === 포르투갈은 [[대항해시대]] 이후 인도에 여러 거점 식민지를 차지하였으며, 이 중 [[고아(인도)|고아]], [[다만(인도)|다만]], [[디우]], [[다드라나가르하벨리]] 등 식민지를 20세기 중반까지 보유했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포르투갈-인도 관계)] == [[아메리카]] == === [[브라질]]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브라질-포르투갈 관계)] == [[아프리카]] == === [[기니비사우]]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포르투갈-기니비사우 관계)] === [[모잠비크]]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포르투갈-모잠비크 관계)] === [[상투메 프린시페]]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포르투갈-상투메 프린시페 관계)] === [[앙골라]]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포르투갈-앙골라 관계)] === [[적도 기니]]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포르투갈-적도 기니 관계)] 적도기니는 스페인의 식민지가 되기 이전까지 포르투갈의 지배를 받았다. === [[카보베르데]]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포르투갈-카보베르데 관계)] == 지역별 관계 == * [[포르투갈-동티모르 관계]] * [[브라질-포르투갈 관계]] * [[포르투갈-기니비사우 관계]] * [[포르투갈-모잠비크 관계]] * [[포르투갈-상투메 프린시페 관계]] * [[포르투갈-앙골라 관계]] * [[포르투갈-적도 기니 관계]] * [[포르투갈-카보베르데 관계]] == 관련 문서 == * [[포르투갈/외교]] * [[포르투갈어 사용국 공동체]] * [[대국관계일람/유럽 국가/남유럽 국가]] [[분류:포르투갈의 외교]][[분류:포르투갈의 대국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분류:구 식민지-지배국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