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포뮬러 원/경기 일람)]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2F3F7 20%, #FFFFFF 30%, #FFFFFF 70%, #F2F3F7 80%);" [[포뮬러 1|{{{#ff0000 '''포뮬러 1 시즌'''}}}]]}}} || || {{{#!wiki style="margin: 0 -10px" [[포뮬러 1/1956시즌|1956]]}}} || {{{#!wiki style="margin: 0 -5px" {{{+1 →}}}}}} ||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1957}}}'''}}} || {{{#!wiki style="margin: 0 -5px" {{{+1 →}}}}}} || {{{#!wiki style="margin: 0 -10px" [[포뮬러 1/1958시즌|1958]]}}} || [목차] == 1957년 그랑프리 == 1957년 포뮬러 원 시즌은 8번째 FIA 포뮬러 원 시즌이다. 이 시즌은 1월 13일 아르헨티나 그랑프리를 시작으로 9월 8일 이탈리아 그랑프리 까지 총 8경기로 치러졌다. 이 시즌은 던롭, 에이본 러버, 피렐리, 잉글버트가 타이어를 공급했다. 후안 마누엘 판지오가 드라이버 챔피언십 우승을 차지했으며 스털링 모스가 2위, 루이지 무소가 3위를 차지했다. 판지오의 마지막 우승 시즌으로 [[페라리]]를 나와 마제라티로 이적한다. 판지오가 떠난 뒤 페라리에 남은 콜린스와 영입한 호손은 별로 뛰어난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면서 판지오의 이적은 [[신의 한 수]]로 판명. [[뉘르부르크링]]에서의 독일 GP는 판지오의 마지막 우승이자 역사에 남을 위대한 우승으로 평가받는데 2위와 30초 차이 나는 상황에서 핏스탑 중 메카닉의 병신짓(...)으로 리딩 그룹이었던 페라리의 콜린스, 호손과 무려 50초 차이가 나는 상황이 와 버린다. 판지오는 한 랩마다 그 차이를 10초씩 깎아나가고 트랙 최고 기록을 경신하며 따라붙었고, 마지막에서 두 번째 랩에서 콜린스와 호손을 차례로 추월하며 우승을 차지한다. 모스는 이탈리아에서 열린 2개 GP를 모두 우승하며 2위를 차지. 판지오가 기록한 5번의 최다 챔피언십 타이틀 횟수는 [[포뮬러 1/2003시즌|46년 뒤]] [[미하엘 슈마허]]가 넘어서기 전까지 깨지지 않게 되었다. == 시즌 전 이적시장 & 소식 == 일정에 약간의 변동이 있었다. [[제2차 중동전쟁]]으로 인해 일부 그랑프리가 취소되어 이번 시즌도 8개의 라운드로 구성하여 시즌이 치루어진다. 지난 시즌 페라리에서 챔피언을 차지한 [[후안 마누엘 판지오]]는 페라리와의 불화로 인해 라이벌 팀인 [[마세라티]]로 이적하게 되었다. 이에 페라리는 피터 콜린스-에우제니오 카스텔로티 라인업을 유지한 뒤, 몇 년 전에 [[BRM(F1)|영국의]] [[반월(F1)|팀들로]] 이적했던 [[마이크 호손]]을 다시 불러들인다. [[마세라티]]는 판지오를 불러들인 대신, 그의 라이벌이었던 [[스털링 모스]]는 [[반월(F1)|반월]]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반월로 이적한다. 한편, 지난 시즌을 끝으로 프랑스의 컨스트럭터인 에퀴페 고디니가 F1에서 철수하였다. == 1957시즌 라인업 == * : 붉은색은 F2 클래스로 출전한 드라이버. ||<|2> '''{{{#fff #}}}''' ||<|2> '''{{{#fff 팀}}}''' ||<|2><#000> '''{{{#fff 컨스트럭터}}}''' ||<|2> '''{{{#fff 팀 국적}}}''' ||<|2> '''{{{#fff 섀시}}}'''[br]'''{{{#fff (엔진)}}}''' ||<|2> '''{{{#fff 타이어}}}''' ||<-2> '''{{{#fff 드라이버}}}''' ||<|2><#000> '''{{{#fff 출전 라운드}}}''' || || '''{{{#fff 국적}}}''' || '''{{{#fff 이름}}}''' || ||<|7> 1 ||<|7> [[파일:Maserati 2006.png|width=40]][br][[마세라티|오피치네 알피에리 마세라티]] ||<|7> [[마세라티]] ||<|7>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height=24]]]] ||<|7> 250F[br](Maserati 250F1 2.5 L6)[br](Maserati 250F1 2.5 V12) ||<|7><#fff> [[피렐리|[[파일:Pirelli 1948 logo.jpg|height=24]]]]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height=24]] || [[후안 마누엘 판지오]] || 1-2, 4-8 || || [[파일:영국 국기.svg|height=24]] || [[스털링 모스]] || 1 || || [[파일:프랑스 국기.svg|height=24]] || 장 베라 || 1, 4-8 ||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height=24]] || 카를로스 멘디테기 || 1-2, 4-5 ||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height=24]] || 조르지오 스칼라티 || 2, 6-8 || || [[파일:미국 국기.svg|height=24]] || 해리 쉘 || 2, 4-8 || || [[파일:독일 국기.svg|height=24]] || 한스 헤르만 || 2 || ||<|9> 2 ||<|9>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width=40]][br][[스쿠데리아 페라리]] ||<|9> [[스쿠데리아 페라리|페라리]] ||<|9>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height=24]]]] ||<|9> 801[br](Ferrari DS50 2.5 V8) ||<|9><#fff> [[잉글버트|[[파일:A9D51C0E-1CDF-455B-9454-CA6340D5C6F0.jpg|height=30]]]][br][br][[피렐리|[[파일:Pirelli 1948 logo.jpg|height=24]]]] || [[파일:영국 국기.svg|height=24]] || 피터 콜린스 ||<|2> 1-2, 4-6, 8 || || [[파일:영국 국기.svg|height=24]] || [[마이크 호손]] ||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height=24]] || 루이지 무소 || 1, 4-8 || || [[파일:독일 국기.svg|height=24]] || 볼프강 폰 트립스 || 1-2, 8 ||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height=24]] || 에우제니오 카스텔로티 ||<|4> 1 ||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height=24]] || 체사레 페르디사 || ||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height=24]] || 알폰소 데 포르타고 ||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height=24]] || 호세 프로일란 곤잘레스 || || [[파일:프랑스 국기.svg|height=24]] || 모리스 트린티냥 || 2, 4-5 || ||<|6> 3 ||<|6> 스쿠데리아 센트로 Sud ||<|5> [[마세라티]] ||<|6>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height=24]]]] ||<|5> 250F[br](Maserati 250F1 2.5 L6) ||<|6><#fff> [[피렐리|[[파일:Pirelli 1948 logo.jpg|height=24]]]] || [[파일:미국 국기.svg|height=24]] || 해리 쉘 || 1 || || [[파일:스웨덴 국기.svg|height=24]] || 요아킴 보니에 || 1, 7-8 || || [[파일:미국 국기.svg|height=24]] || 머스튼 그레고리 || 2, 6-8 || || [[파일:프랑스 국기.svg|height=24]] || 안드레 시몬 || 2 || || [[파일:독일 국기.svg|height=24]] || 한스 헤르만 || 6 || || [[스쿠데리아 페라리|페라리]] || 500[br](Ferrari 625 2.5 L4)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height=24]] || 알레잔드로 드 토마소 || 1 || || 4 || 루이지 피오티 || [[마세라티]] ||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height=24]]]] || 250F[br](Maserati 250F1 2.5 L6) ||<#fff> [[피렐리|[[파일:Pirelli 1948 logo.jpg|height=24]]]]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height=24]] || 루이지 피오티 || 1-2, 7-8 || ||<|5> 5 ||<|5> [[파일:BritishRacingMotorsLogo.png|width=60]][br][[BRM(F1)|오언 레이싱 기구]] ||<|5> [[BRM(F1)|BRM]] ||<|5> [[영국|[[파일:영국 국기.svg|height=24]]]] ||<|5> P25[br](BRM P25 2.5 L4) ||<|5><#fff> [[Dunlop|[[파일:Dunlop classic logo.jpg|height=30]]]] || [[파일:영국 국기.svg|height=24]] || 론 플록하트 || 2, 4 || || [[파일:영국 국기.svg|height=24]] || 로이 살바도리 || 2 || || [[파일:미국 국기.svg|height=24]] || 허버트 맥케이 프레이저 || 4 || || [[파일:영국 국기.svg|height=24]] || 잭 페어만 ||<|2> 5 || || [[파일:영국 국기.svg|height=24]] || 레스 레스턴 || ||<|2> 6 ||<|2> [[파일:Connaught_Logo.png|width=80]][br]코너트 엔지니어링 ||<|2> 코너트-알타 ||<|2> [[영국|[[파일:영국 국기.svg|height=24]]]] ||<|2> B[br](Alta GP 2.5 L4) ||<|2><#fff> [[Dunlop|[[파일:Dunlop classic logo.jpg|height=30]]]] || [[파일:영국 국기.svg|height=24]] || 스튜어트 루이스 에반스 ||<|2> 2 || || [[파일:영국 국기.svg|height=24]] || 아이버 뷰 || ||<|5> 7 ||<|5> [[파일:쿠퍼 F1 로고.png|width=60]][br][[쿠퍼(자동차)|쿠퍼 카 컴퍼니]] ||<|5> [[쿠퍼(자동차)|쿠퍼]]-클라이막스 ||<|5> [[영국|[[파일:영국 국기.svg|height=24]]]] ||<|4> T43[br](Climax FPF 2.0 L4) ||<#fff><|4> Avon[br][br][[Dunlop|[[파일:Dunlop classic logo.jpg|height=30]]]] || [[파일:호주 국기.svg|height=24]] || [[잭 브라밤]] || 2, 4, 7 || || [[파일:영국 국기.svg|height=24]] || 레스 레스턴 || 2 || || [[파일:영국 국기.svg|height=24]] || 마이크 맥도웰 || 4 || || [[파일:영국 국기.svg|height=24]] || 로이 살바도리 || 5, 7 || || T43[br](Climax FPF 1.5 L4) || [[Dunlop|[[파일:Dunlop classic logo.jpg|height=30]]]] || [[파일:영국 국기.svg|height=24]] || 로이 살바도리 || 6 || ||<|4> 8 ||<|4> [[파일:반월 F1 로고.png|width=60]][br][[반월 팀|반더벨 프로덕츠]] ||<|4> [[반월 팀|반월]] ||<|4> [[영국|[[파일:영국 국기.svg|height=24]]]] ||<|4> VW 5[br](Vanwall 254 2.5 L4) ||<#fff><|4> [[피렐리|[[파일:Pirelli 1948 logo.jpg|height=24]]]] || [[파일:영국 국기.svg|height=24]] || [[스털링 모스]] ||<|2> 2, 5-8 || || [[파일:영국 국기.svg|height=24]] || 토니 브룩스 || || [[파일:영국 국기.svg|height=24]] || 스튜어트 루이스 에반스 || 4-8 || || [[파일:영국 국기.svg|height=24]] || 로이 살바도리 || 4 || || 9 || H.H. 굴드 || [[마세라티]]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height=24]]]] || 250F[br](Maserati 250F1 2.5 L6) ||<#fff> [[Dunlop|[[파일:Dunlop classic logo.jpg|height=30]]]] || [[파일:영국 국기.svg|height=24]] || 호레이스 굴드 || 2, 4-8 || || 10 || 요아킴 보니에 || [[마세라티]] || [[스웨덴|[[파일:스웨덴 국기.svg|height=24]]]] || 250F[br](Maserati 250F1 2.5 L6) ||<#fff> [[피렐리|[[파일:Pirelli 1948 logo.jpg|height=24]]]] || [[파일:스웨덴 국기.svg|height=24]] || 요아킴 보니에 || 5 || || 11 || 길비 엔지니어링 || [[마세라티]]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height=24]]]] || 250F[br](Maserati 250F1 2.5 L6) ||<#fff> [[Dunlop|[[파일:Dunlop classic logo.jpg|height=30]]]] || [[파일:영국 국기.svg|height=24]] || 아이버 뷰 || 5 || ||<|2> 12 ||<|2> R.R.C. 워커 레이싱 팀 ||<|2> [[쿠퍼(자동차)|쿠퍼]]-클라이막스 ||<|2> [[영국|[[파일:영국 국기.svg|height=24]]]] || T43[br](Climax FPF 2.0 L4) ||<#fff> [[Dunlop|[[파일:Dunlop classic logo.jpg|height=30]]]] || [[파일:호주 국기.svg|height=24]] || [[잭 브라밤]] || 5 || || T43[br](Climax FPF 1.5 L4) || [[Dunlop|[[파일:Dunlop classic logo.jpg|height=30]]]] || [[파일:호주 국기.svg|height=24]] || [[잭 브라밤]] || 6 || || 13 || 밥 제라드 || [[쿠퍼(자동차)|쿠퍼]]-브리스톨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height=24]]]] || T44[br](Bristol BS2 2.2 L6) ||<#fff> [[Dunlop|[[파일:Dunlop classic logo.jpg|height=30]]]] || [[파일:영국 국기.svg|height=24]] || 밥 제라드 || 5 || || 14 || 브루스 할포드 || [[마세라티]]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height=24]]]] || 250F[br](Maserati 250F1 2.5 L6) ||<#fff> [[Dunlop|[[파일:Dunlop classic logo.jpg|height=30]]]] || [[파일:영국 국기.svg|height=24]] || 브루스 할포드 || 6-8 || ||<|2> 15 ||<|2> [[파일:포르쉐 엠블럼.png|width=50]][br][[포르쉐|Dr Ing F.포르쉐 KG]] ||<|2> [[포르쉐]] ||<|2> [[독일|[[파일:독일 국기.svg|height=24]]]] ||<|2> RS550[br](Porsche 547/3 1.5 F4) ||<|2> ?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height=24]] || 움베르토 마그리올리 ||<|2> 6 || || [[파일:독일 국기.svg|height=24]] || 에드가 바스 || ||<|2> 16 ||<|2> 릿지웨이 매니지먼트 ||<|2> [[쿠퍼(자동차)|쿠퍼]]-클라이막스 ||<|2> [[영국|[[파일:영국 국기.svg|height=24]]]] ||<|2> T43[br]T41[br](Climax FPF 1.5 L4)[br](Climax FWB 1.5 L4) ||<|2> [[Dunlop|[[파일:Dunlop classic logo.jpg|height=30]]]] || [[파일:영국 국기.svg|height=24]] || 토니 브룩스 ||<|2> 6 || || [[파일:호주 국기.svg|height=24]] || 폴 잉글랜드 || || 17 || [[파일:에큐리에 마르스베르겐 로고.jpg|width=50]][br]에큐리에 마르스베르겐 || [[포르쉐]] || [[네덜란드|[[파일:네덜란드 국기.svg|height=24]]]] || RS550[br](Porsche 547/3 1.5 F4) || [[Dunlop|[[파일:Dunlop classic logo.jpg|height=30]]]]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height=24]] || 카렐 고딘 드 보퍼트 || 6 || || 18 || J.B. 네일러 || [[쿠퍼(자동차)|쿠퍼]]-클라이막스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height=24]]]] || T43[br](Climax FPF 1.5 L4) || [[Dunlop|[[파일:Dunlop classic logo.jpg|height=30]]]] || [[파일:영국 국기.svg|height=24]] || 브라이언 네일러 || 6 || || 19 || 딕 깁슨 || [[쿠퍼(자동차)|쿠퍼]]-클라이막스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height=24]]]] || T43[br](Climax FPF 1.5 L4) || [[Dunlop|[[파일:Dunlop classic logo.jpg|height=30]]]] || [[파일:영국 국기.svg|height=24]] || 딕 깁슨 || 6 || || 20 || 프란세스코 고디아 세일스 || [[마세라티]] || [[스페인|[[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height=24]]]] || 250F[br](Maserati 250F1 2.5 L6) ||<#fff> [[피렐리|[[파일:Pirelli 1948 logo.jpg|height=24]]]] ||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height=24]] || 파코 고디아 || 6-8 || ||<|2> 21 ||<|2> 오토리노 볼론테리오 ||<|2> [[마세라티]] ||<|2> [[스위스|[[파일:스위스 국기.svg|height=24]]]] ||<|2> 250F[br](Maserati 250F1 2.5 L6) ||<|2><#fff> [[피렐리|[[파일:Pirelli 1948 logo.jpg|height=24]]]] || [[파일:스위스 국기.svg|height=24]] || 오토리노 볼론테리오 ||<|2> 8 || || [[파일:프랑스 국기.svg|height=24]] || 안드레 시몬 || == 1957시즌 캘린더 == || '''{{{#ffffff #}}}''' || '''{{{#ffffff 경기 일정}}}''' || '''{{{#ffffff 그랑프리(도시)}}}''' || '''{{{#ffffff 서킷}}}''' || '''{{{#ffffff 드라이버 우승}}}''' || '''{{{#ffffff 컨스트럭터 우승}}}''' || '''{{{#ffffff 비고}}}''' || || 1 || 1/13 || 아르헨티나[br](부에노스 아이레스) || [[오스카르 알프레도 갈베스 자동차 경주장|부에노스 아이레스 서킷]] || [[후안 마누엘 판지오]] || [[마세라티]] || || || 2 || 5/19 || 모나코(몬테카를로) || [[모나코 서킷]] || [[후안 마누엘 판지오]] || [[마세라티]] || || || 3 || 5/30 || 인디애나폴리스 500[br](인디애나폴리스) || [[인디애나폴리스 모터 스피드웨이|인디애나폴리스[br]모터 스피드웨이]] || 샘 행크스 || 에펄리-오펜하우저 || || || 4 || 7/7 || 프랑스(그랑-쿠론) || [[루앙-레제사르트]] || [[후안 마누엘 판지오]] || [[마세라티]] || || || 5 || 7/20 || 영국(에인트리) || [[에인트리 모터 레이싱 서킷]] || [[토니 브룩스]] [br] [[스털링 모스]] || [[반월]] || || || 6 || 8/4 || 독일(뉘르부르크) || [[뉘르부르크링]] || [[후안 마누엘 판지오]] || [[마세라티]] || || || 7 || 8/18 || 페스카라(페스카라) || [[페스카라 서킷]] || [[스털링 모스]] || [[반월]] || || || 8 || 9/8 || 이탈리아(몬차) || [[국립 몬차 자동차 경주장]] || [[스털링 모스]] || [[반월]] || || == 시즌 상세 == === 1R: 1957 [[아르헨티나]] [[오스카르 알프레도 갈베스 자동차 경주장|그랑프리]] (아르헨티나 GP) === 이번 경기에 한해서 [[스털링 모스]]는 마세라티 소속으로 출전한다. ==== 퀄리파잉 ==== ||<-5> '''{{{#ffffff 퀄리파잉}}}''' || || '''{{{#ffffff 순위}}}''' ||<-2> '''{{{#ffffff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 '''{{{#ffffff 기록}}}''' || '''{{{#ffffff 출발 그리드}}}''' || || '''{{{#dfb020 P1}}}'''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Maserati 2006.png|height=25]]}}} || [[스털링 모스]] ([[마세라티]]) || 1:42.6 || 1번째 || || '''{{{#d0d0d0 P2}}}'''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Maserati 2006.png|height=25]]}}} || [[후안 마누엘 판지오]] ([[마세라티]]) || + 1.1s || 2번째 || || '''{{{#895E1A P3}}}'''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Maserati 2006.png|height=25]]}}} || 장 베라 ([[마세라티]]) || + 1.4s || 3번째 || || '''P4'''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height=25]]}}} || 에우제니오 카스텔로티 ([[스쿠데리아 페라리|페라리]]) || + 1.6s || 4번째 || || '''P5'''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height=25]]}}} || 피터 콜린스 ([[스쿠데리아 페라리|페라리]]) || + 2.0s || 5번째 || 스털링 모스가 개막전 퀄리파잉에서 폴 포지션을 차지하였다. ==== 레이스 ==== ||<-5> '''{{{#ffffff 레이스}}}''' || || '''{{{#ffffff 순위}}}''' ||<-2> '''{{{#ffffff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 '''{{{#ffffff 기록}}}''' || '''{{{#ffffff 점수(pts)}}}''' || || '''우승'''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Maserati 2006.png|height=25]]}}} || [[후안 마누엘 판지오]] ([[마세라티]]) || 3:00:55.9 || 8 || || '''2위'''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Maserati 2006.png|height=25]]}}} || 장 베라 ([[마세라티]]) || + 18.3s || 6 || || '''3위'''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Maserati 2006.png|height=25]]}}} || 카를로스 멘디테기 ([[마세라티]]) || + 1 Lap || 4 || || '''4위'''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Nothing.png|height=25]]}}} || 해리 쉘 ([[마세라티]]) || + 2 Laps || 3 || ||<|2> '''5위'''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3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height=25]]}}} || 알폰소 데 포르타고 ([[스쿠데리아 페라리|페라리]]) ||<|2> + 2 Laps || 1[*H 시트 공유로 포인트 나누어 부여.] || || 호세 프로일란 곤잘레스 ([[스쿠데리아 페라리|페라리]]) || 1[*H 시트 공유로 포인트 나누어 부여.] || || '''{{{#ffffff 패스티스트 랩}}}'''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Maserati 2006.png|height=25]]}}} || [[스털링 모스]] ([[마세라티]]) || 1:44.7[*F 패스티스트 랩 달성으로 인한 1포인트 부여] || || [youtube(Q0zUMsD7Ya0)]|| || '''1957 아르헨티나 GP 하이라이트''' || 스타트 직후 판지오와 베라가 좋은 스타트와 함께 선두권을 차지하며 일찌감치 모스를 비롯한 후미권과 격차를 벌리기 시작하였다. 모스는 설상가상 스로틀에 문제가 발생하여 무려 10랩을 손해보고 말았다. 페라리읟 ㅡ라이버들은 모두 심각한 클러치 문제를 겪었고, 이 중에서 지난 시즌 챔피언십 3위를 달성한 피터 콜린스와 루이지 무소는 클러치가 아예 타버려 리타이어하였고, [[마이크 호손]]도 얼마 못가 리타이어하였다. 페라리 팀이 거의 전멸한 결과는 마세라티 드라이버들의 독식이었다. 홈그랑프리 개막전을 맞이한 판지오가 우승을, 장 베라가 18.3초 뒤진 2위, 그리고 판지오와 함께 홈그랑프리를 맞이한 멘디테기가 3위로 들어오며 마세라티 드라이버들이 포디움을 모두 차지하는 쾌거를 이루며 좋은 시즌 스타트를 맞이할 수 있었다. ||<-6> '''{{{#fff 레이스 종료 후 챔피언십 순위}}}''' || || '''1'''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Maserati 2006.png|height=25]]}}} || [[후안 마누엘 판지오]]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height=24]] || [[마세라티]] || '''8''' || || '''2'''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Maserati 2006.png|height=25]]}}} || 장 베라 || [[파일:프랑스 국기.svg|height=24]] || [[마세라티]] || '''6''' || || '''3'''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Maserati 2006.png|height=25]]}}} || 카를로스 멘디테기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height=24]] || [[마세라티]] || '''4''' || || '''4'''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Nothing.png|height=25]]}}} || 해리 쉘 || [[파일:미국 국기.svg|height=24]] || [[마세라티]] || '''3''' || || '''5'''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height=25]]}}} || 알폰소 데 포르타고 ||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height=24]] || [[스쿠데리아 페라리|페라리]] || '''1''' || === 2R: 1957 [[모나코 그랑프리]] (모나코 GP) === 레이스 위크 전, 페라리의 에우제니오 카스텔로티가 모데나 오토드롬에서 진행된 페라리의 새로운 그랑프리 레이스카를 테스트 하던 도중 '''시케인의 높은 연석을 올라타다 차에서 던저지는 사고로 사망'''하였다. 향년 26세. 당시 속도는 약 137km/h로 적지 않은 속도였기에 안전벨트도 없던 당시 레이스카에서 안전하기란 쉽지 않았다. 부검 결과, 그는 다중 골절로 사고가 난 자리에서 즉사하였다고 한다. 한편, [[반월(F1)|반월]] 팀의 차가 드디어 준비가 되었고, 마세라티 소속으로 개막전을 뛰었던 스털링 모스는 이번 경기부터 반월 소속으로 출전할 예정이다. 그는 토니 브룩스와 함께 모나코 그랑프리에 반월 소속으로 엔트리를 올렸다. ==== 퀄리파잉 ==== ||<-5> '''{{{#ffffff 퀄리파잉}}}''' || || '''{{{#ffffff 순위}}}''' ||<-2> '''{{{#ffffff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 '''{{{#ffffff 기록}}}''' || '''{{{#ffffff 출발 그리드}}}''' || || '''{{{#dfb020 P1}}}'''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Maserati 2006.png|height=25]]}}} || [[후안 마누엘 판지오]] ([[마세라티]]) || 1:42.7 || 1번째 || || '''{{{#d0d0d0 P2}}}'''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height=25]]}}} || 피터 콜린스 ([[스쿠데리아 페라리|페라리]]) || + 0.6s || 2번째 || || '''{{{#895E1A P3}}}'''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4B5B5D 30%, #2F3637 45%, #000)" [[파일:반월 흰색 로고.png|height=20]]}}} || [[스털링 모스]] ([[반월(F1)|반월]]) || + 0.9s || 3번째 || || '''P4'''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4B5B5D 30%, #2F3637 45%, #000)" [[파일:반월 흰색 로고.png|height=20]]}}} || 토니 브룩스 ([[반월(F1)|반월]]) || + 1.7s || 4번째 || || '''P5'''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height=25]]}}} || [[마이크 호손]] ([[스쿠데리아 페라리|페라리]]) || + 1.9s || 5번째 || 판지오가 시즌 첫 폴 포지션을 차지하며 모나코 GP 우승에 유리한 고지를 점령하였다. ==== 레이스 ==== ||<-5> '''{{{#ffffff 레이스}}}''' || || '''{{{#ffffff 순위}}}''' ||<-2> '''{{{#ffffff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 '''{{{#ffffff 기록}}}''' || '''{{{#ffffff 점수(pts)}}}''' || || '''우승'''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Maserati 2006.png|height=25]]}}} || [[후안 마누엘 판지오]] ([[마세라티]]) || 3:10:12.8 || 8+'''{{{#7f017f 1}}}'''[*F 패스티스트 랩 달성으로 인한 1포인트 부여] || || '''2위'''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4B5B5D 30%, #2F3637 45%, #000)" [[파일:반월 흰색 로고.png|height=20]]}}} || 토니 브룩스 ([[반월(F1)|반월]]) || + 25.2s || 6 || || '''3위'''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Nothing.png|height=25]]}}} || 머스튼 그레고리 ([[마세라티]]) || + 2 Laps || 4 || || '''4위'''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4B5B5D 30%, #2F3637 45%, #000)" [[파일:코너트 로고.png|height=25]]}}} || 스튜어트 루이스 에반스 (코너트) || + 3 Laps || 3 || || '''5위'''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height=25]]}}} || 모리스 트린티냥 ([[스쿠데리아 페라리|페라리]]) || + 5 Laps || 2 || || '''{{{#ffffff 패스티스트 랩}}}'''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Maserati 2006.png|height=25]]}}} || [[후안 마누엘 판지오]] ([[마세라티]]) || 1:45.6 || || [youtube(vOTu_oq4RUo)]|| || '''1957 모나코 GP 하이라이트''' || 스타트 직후의 헤어핀에서 모스가 좋은 스타트로 판지오를 압박하며 기회를 엿보다가 레이스 리더 자리를 빼앗는 데에 성공한다. 하지만 4랩 째에, 판지오가 다시 리더 자리를 탈환하는 데에 성공하였고 그대로 크루징하면서 무난하게 모나코 GP를 우승하였다. 4랩 째에 모스가 터널을 나온 직후 시케인을 지나는 과정에서 살짝 충돌하였기 때문. 모스가 충돌을 일으킨 직후 트랙에는 데브리가 흩어졌고, 이를 피하려던 피터 콜린스는 항구 쪽의 벽에 충돌하고 만다. 판지오와 브룩스가 이를 피하기 위해 급히 속력을 줄이며 탈출하였고, 이 과정에서 일으켜진 정체 때 토니 브룩스는 [[마이크 호손]]의 리어를 들이받고 휠을 잃어 동반 리타이어한다. ~~[[포뮬러 1/1956시즌#s-6.2.2|2년째]] 이어지는 아이템전~~ 이러한 혼란 속에서 판지오가 우승을, 토니 브룩스가 2위로 들어오며 데뷔 첫 포디움에 올랐다. 머스튼 그레고리도 3위로 들어오며 데뷔 첫 포디움을 맛봤다. ||<-6> '''{{{#fff 레이스 종료 후 챔피언십 순위}}}''' || || '''1'''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Maserati 2006.png|height=25]]}}} || [[후안 마누엘 판지오]]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height=24]] || [[마세라티]] || '''17''' || || '''2'''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Maserati 2006.png|height=25]]}}} || 장 베라 || [[파일:프랑스 국기.svg|height=24]] || [[마세라티]] || '''6''' || || '''3'''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4B5B5D 30%, #2F3637 45%, #000)" [[파일:반월 흰색 로고.png|height=20]]}}} || 토니 브룩스 || [[파일:영국 국기.svg|height=24]] || [[반월(F1)|반월]] || '''6''' || || '''4'''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Maserati 2006.png|height=25]]}}} || 카를로스 멘디테기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height=24]] || [[마세라티]] || '''4''' || || '''5'''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Nothing.png|height=25]]}}} || 머스튼 그레고리 || [[파일:미국 국기.svg|height=24]] || [[마세라티]] || '''4''' || === 3R: 1957 [[인디애나폴리스 500]] (인디 500) === || [[파일:케이스 엔드류스 사망사고.jpg|height=250]] || 연습 주행 도중, 키이스 앤드류스(Keith Andrews)가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앤드류스는 4번코너를 136마일(약 219km/h)의 속도로 진입하고 있었다. 하지만 컨트롤을 잃고 스핀을 하며 뒤쪽으로 벽을 들이받는 사고가 일어난다. 이 과정에서 차량의 뒷쪽이 완전히 반파되었고, 앤드류스는 사고 직후 사망하고 말았다. 안타깝게도 현장에는 그의 아내와 두 딸이 지켜보고 있었다고 한다. ==== 퀄리파잉 ==== ||<-5> '''{{{#ffffff 퀄리파잉}}}''' || || '''{{{#ffffff 순위}}}''' ||<-2> '''{{{#ffffff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 '''{{{#ffffff 기록}}}''' || '''{{{#ffffff 출발 그리드}}}''' || || '''{{{#dfb020 P1}}}'''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1c0081 40%, #1E0048 45%, #000)" [[파일:Nothing.png|height=25]]}}} || 팻 오코너 (커티스 크래프트) || 4:10.09 || 1번째 || || '''{{{#d0d0d0 P2}}}'''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A31E00 40%, #631301 45%, #000)" [[파일:Nothing.png|height=25]]}}} || 애디 사치 (커즈마) || + 0.13s || 2번째 || || '''{{{#895E1A P3}}}'''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1c0081 40%, #1E0048 45%, #000)" [[파일:Nothing.png|height=25]]}}} || 트로이 루트만 (왓슨) || + 2.06s || 3번째 || || '''P4'''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fff 40%, #fff 45%, #000)" [[파일:Nothing.png|height=25]]}}} || 프레드 아가바시안 (커티스 크래프트) || + 2.44s || 4번째 || || '''P5'''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fff 40%, #fff 45%, #000)" [[파일:Nothing.png|height=25]]}}} || 조니 보이드 (커티스 크래프트) || + 3.25s || 5번째 || ==== 레이스 ==== ||<-5> '''{{{#ffffff 레이스}}}''' || || '''{{{#ffffff 순위}}}''' ||<-2> '''{{{#ffffff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 '''{{{#ffffff 기록}}}''' || '''{{{#ffffff 점수(pts)}}}''' || || '''우승'''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EBFF00 30%, #D6E800 45%, #000)" [[파일:Nothing.png|height=25]]}}} || 샘 행크스 (에펄리) || 3:41:14.25 || 8 || || '''2위'''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ff0000 40%, #ff0000 45%, #000)" [[파일:Nothing.png|height=25]]}}} || 짐 라스만 (에펄리) || + 21.46s || 6+'''{{{#7f017f 1}}}'''[*F 패스티스트 랩 달성으로 인한 1포인트 부여] || || '''3위'''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fff 30%, #fff 45%, #000)" [[파일:Nothing.png|height=25]]}}} || 지미 브라이언 (커즈마) || + 2:13.97 || 4 || || '''4위'''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ff0000 30%, #ff0000 45%, #000)" [[파일:Nothing.png|height=25]]}}} || 폴 루소 (커티스 크래프트) || + 2:56.86 || 3 || || '''5위'''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FFAB00 40%, #C88704 45%, #000)" [[파일:Nothing.png|height=25]]}}} || 앤디 린든 (커티스 크래프트) || + 3:14.27 || 2 || || '''{{{#ffffff 패스티스트 랩}}}'''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ff0000 40%, #ff0000 45%, #000)" [[파일:Nothing.png|height=25]]}}} || 짐 라스만 (에펄리) || 1:02.75 (Lap 127) || 제 41회 인디 500의 우승은 샘 행크스가 차지하였다. ||<-6> '''{{{#fff 레이스 종료 후 챔피언십 순위}}}''' || || '''1'''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Maserati 2006.png|height=25]]}}} || [[후안 마누엘 판지오]]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height=24]] || [[마세라티]] || '''17''' || || '''2'''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EBFF00 30%, #D6E800 45%, #000)" [[파일:Nothing.png|height=25]]}}} || 샘 행크스 || [[파일:미국 국기.svg|height=24]] || 에펄리 || '''8''' || || '''3'''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ff0000 40%, #ff0000 45%, #000)" [[파일:Nothing.png|height=25]]}}} || 짐 라스만 || [[파일:미국 국기.svg|height=24]] || 에펄리 || '''7''' || || '''4'''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Maserati 2006.png|height=25]]}}} || 장 베라 || [[파일:프랑스 국기.svg|height=24]] || [[마세라티]] || '''6''' || || '''5'''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4B5B5D 30%, #2F3637 45%, #000)" [[파일:반월 흰색 로고.png|height=20]]}}} || 토니 브룩스 || [[파일:영국 국기.svg|height=24]] || [[반월(F1)|반월]] || '''6''' || === 4R: 1957 [[프랑스]] [[루앙-레제사르트|그랑프리]] (프랑스 GP) === 이번 시즌 프랑스 GP는 [[랭스-괴]] 서킷이 아닌 [[루앙-레제사르트]] 서킷에서 펼쳐진다. ==== 퀄리파잉 ==== ||<-5> '''{{{#ffffff 퀄리파잉}}}''' || || '''{{{#ffffff 순위}}}''' ||<-2> '''{{{#ffffff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 '''{{{#ffffff 기록}}}''' || '''{{{#ffffff 출발 그리드}}}''' || || '''{{{#dfb020 P1}}}'''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Maserati 2006.png|height=25]]}}} || [[후안 마누엘 판지오]] ([[마세라티]]) || 2:21.5 || 1번째 || || '''{{{#d0d0d0 P2}}}'''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Maserati 2006.png|height=25]]}}} || 장 베라 ([[마세라티]]) || + 1.1s || 2번째 || || '''{{{#895E1A P3}}}'''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height=25]]}}} || 루이지 무소 ([[스쿠데리아 페라리|페라리]]) || + 1.2s || 3번째 || || '''P4'''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Maserati 2006.png|height=25]]}}} || 해리 쉘 ([[마세라티]]) || + 1.7s || 4번째 || || '''P5'''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height=25]]}}} || 피터 콜린스 ([[스쿠데리아 페라리|페라리]]) || + 1.8s || 5번째 || 판지오의 연속 폴 포지션 기록은 프랑스 GP에서도 이어졌다. 챔피언십 포인트를 꾸준히 쌓아올리는 그가 이번 레이스에서도 우승을 이어나갈 확률이 매우 높아졌다. ==== 레이스 ==== ||<-5> '''{{{#ffffff 레이스}}}''' || || '''{{{#ffffff 순위}}}''' ||<-2> '''{{{#ffffff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 '''{{{#ffffff 기록}}}''' || '''{{{#ffffff 점수(pts)}}}''' || || '''우승'''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Maserati 2006.png|height=25]]}}} || [[후안 마누엘 판지오]] ([[마세라티]]) || 3:07:46.4 || 8 || || '''2위'''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height=25]]}}} || 루이지 무소 ([[스쿠데리아 페라리|페라리]]) || + 50.8s || 6+'''{{{#7f017f 1}}}'''[*F 패스티스트 랩 달성으로 인한 1포인트 부여] || || '''3위'''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height=25]]}}} || 피터 콜린스 ([[스쿠데리아 페라리|페라리]]) || + 2:06.0 || 4 || || '''4위'''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height=25]]}}} || [[마이크 호손]] ([[스쿠데리아 페라리|페라리]]) || + 1 Lap || 3 || || '''5위'''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Maserati 2006.png|height=25]]}}} || 해리 쉘 ([[마세라티]]) || + 7 Laps || 2 || || '''{{{#ffffff 패스티스트 랩}}}'''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height=25]]}}} || 루이지 무소 ([[스쿠데리아 페라리|페라리]]) || 2:22.4 || || [youtube(DnXNRH5_iAI)]|| || '''1957 프랑스 GP 하이라이트''' || 스타트 직후 3위였던 루이지 무소가 좋은 스타트와 함께 1위를 빼앗으며 레이스를 리드하였다. 다소 내려앉은 판지오는 다시 격차를 줄여나갔고, 4랩 째에 무소를 추월하며 레이스 리더 자리를 되찾은 뒤 남은 70여랩을 크루징함으로써 1957 프랑스 GP의 우승을 차지하였다. 무소는 안정된 페이스로 51여초 뒤진 2위를 차지하였고, 3위는 피터 콜린스가 차지하였다. 판지오는 이번 경기에서도 우승을 차지함으로써 3위인 루이지 무소[* 2위인 샘 행크스는 인디 500 출전 선수이므로 제외.]와 벌써 18점 차이를 만들었기에 이번 시즌 월드 챔피언에 오르는 것이 매우 유력해지게 되었다. ||<-6> '''{{{#fff 레이스 종료 후 챔피언십 순위}}}''' || || '''1'''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Maserati 2006.png|height=25]]}}} || [[후안 마누엘 판지오]]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height=24]] || [[마세라티]] || '''25''' || || '''2'''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EBFF00 30%, #D6E800 45%, #000)" [[파일:Nothing.png|height=25]]}}} || 샘 행크스 || [[파일:미국 국기.svg|height=24]] || 에펄리 || '''8''' || || '''3'''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height=25]]}}} || 루이지 무소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height=24]] || [[스쿠데리아 페라리|페라리]] || '''7''' || || '''4'''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ff0000 40%, #ff0000 45%, #000)" [[파일:Nothing.png|height=25]]}}} || 짐 라스만 || [[파일:미국 국기.svg|height=24]] || 에펄리 || '''7''' || || '''5'''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Maserati 2006.png|height=25]]}}} || 장 베라 || [[파일:프랑스 국기.svg|height=24]] || [[마세라티]] || '''6''' || === 5R: 1957 [[영국]] [[에인트리 모터 레이싱 서킷|그랑프리]] (영국 GP) === [[반월(F1)|반월]] 팀은 홈 그랑프리를 맞이하여 대대적인 준비와 함께 이번 5R인 영국 GP에 돌아왔다. 특히 팀의 풀 타임 드라이버인 [[스털링 모스]]와 토니 브룩스는 직전 4R 프랑스 GP에 결장하면서까지 영국 GP에서의 우승에 대한 열망을 보여왔다. ==== 퀄리파잉 ==== ||<-5> '''{{{#ffffff 퀄리파잉}}}''' || || '''{{{#ffffff 순위}}}''' ||<-2> '''{{{#ffffff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 '''{{{#ffffff 기록}}}''' || '''{{{#ffffff 출발 그리드}}}''' || || '''{{{#dfb020 P1}}}'''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4B5B5D 30%, #2F3637 45%, #000)" [[파일:반월 흰색 로고.png|height=20]]}}} || [[스털링 모스]] ([[반월(F1)|반월]]) || 2:00.2 || 1번째 || || '''{{{#d0d0d0 P2}}}'''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Maserati 2006.png|height=25]]}}} || 장 베라 ([[마세라티]]) || + 0.2s || 2번째 || || '''{{{#895E1A P3}}}'''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4B5B5D 30%, #2F3637 45%, #000)" [[파일:반월 흰색 로고.png|height=20]]}}} || 토니 브룩스 ([[반월(F1)|반월]]) || + 0.2s || 3번째 || || '''P4'''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Maserati 2006.png|height=25]]}}} || [[후안 마누엘 판지오]] ([[마세라티]]) || + 0.4s || 4번째 || || '''P5'''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height=25]]}}} || [[마이크 호손]] ([[스쿠데리아 페라리|페라리]]) || + 1.0s || 5번째 || 대대적인 준비와 함께 돌아온 반월 팀의 스털링 모스가 이번 시즌 첫 폴 포지션을 차지하였다. 아울러, 이는 '''반월의 F1 팀 데뷔 첫 폴 포지션'''이다. 챔피언십 리더인 판지오는 불과 0.4초 뒤진 4위를 기록하였다. ==== 레이스 ==== ||<-5> '''{{{#ffffff 레이스}}}''' || || '''{{{#ffffff 순위}}}''' ||<-2> '''{{{#ffffff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 '''{{{#ffffff 기록}}}''' || '''{{{#ffffff 점수(pts)}}}''' || ||<|2> '''우승'''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4B5B5D 30%, #2F3637 45%, #000)" [[파일:반월 흰색 로고.png|height=20]]}}} || 토니 브룩스 ([[반월(F1)|반월]]) ||<|2> 3:06:37.8 || 4[*H 시트 공유로 포인트 나누어 부여.] || || [[스털링 모스]] ([[반월(F1)|반월]]) || 4+'''{{{#7f017f 1}}}'''[*F 패스티스트 랩 달성으로 인한 1포인트 부여][*H 시트 공유로 포인트 나누어 부여.] || || '''2위'''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height=25]]}}} || 루이지 무소 ([[스쿠데리아 페라리|페라리]]) || + 25.6s || 6 || || '''3위'''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height=25]]}}} || [[마이크 호손]] ([[스쿠데리아 페라리|페라리]]) || + 42.8s || 4 || ||<|2> '''4위'''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3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height=25]]}}} || 모리스 트린티냥 ([[스쿠데리아 페라리|페라리]]) ||<|2> + 2 Laps || 3[*A 콜린스가 3랩만 달렸기에 콜린스에게는 포인트가 부여되지 않았고, 트린티냥에게 3점의 모든 점수가 부여되었다.] || || 피터 콜린스 ([[스쿠데리아 페라리|페라리]]) || 0[*A 콜린스가 3랩만 달렸기에 콜린스에게는 포인트가 부여되지 않았고, 트린티냥에게 3점의 모든 점수가 부여되었다.] || || '''5위'''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4B5B5D 30%, #2F3637 45%, #000)" [[파일:쿠퍼 F1 로고.png|height=25]]}}} || 로이 살바도리 ([[쿠퍼(자동차)|쿠퍼]]) || + 5 Laps || 2 || || '''{{{#ffffff 패스티스트 랩}}}'''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4B5B5D 30%, #2F3637 45%, #000)" [[파일:반월 흰색 로고.png|height=20]]}}} || [[스털링 모스]] ([[반월(F1)|반월]]) || 1:59.2 || || [youtube(gyK2b7AUH6E)]|| || '''1957 영국 GP 하이라이트''' || '''영국 팀의 첫 우승, 조국의 [[스털링 모스|에이스]]와 함께 이룬 업적''' 토니 브룩스와 스털링 모스가 반월 팀과 함께 역사적인 홈 그랑프리 우승을 차지하였다. 초반 스타트는 스털링 모스의 훌륭한 스타트와 함께 22랩까지 무난하게 리드를 이어가는 중이었다. 23랩 째에 장 베라에게 리드를 빼앗기며 페이스가 떨어진 모스는 25랩 째에 피트 인 한다. 한 바퀴를 기다린 이후 토니 브룩스를 불러들여 그는 브룩스와 드라이버 스왑을 이루었고, 브룩스는 모스의 차량에 탑승하여 1바퀴 뒤진 백마커로 레이스를 이어가게 된다. 알고 보니, 51랩 째에 브룩스가 탄 모스의 차량에 엔진에 심각한 문제가 생겼고, 브룩스는 차를 세워야만 했다. 반월의 유일한 희망이 된 모스는 질주를 이어갔다. 빠른 페이스를 자랑한 모스는 베라를 압박해 나갔고, 베라가 69랩 째에 클러치 문제로 리타이어하며 모스는 다시 리드를 되찾는다. 결과는 스털링 모스와 토니 브룩스가 합작한 공동우승이었다. 조용히 달려온 루이지 무소가 2위를, 그리고 홈 그랑프리를 맞이한 마이크 호손이 3위로 포디움에 올랐다. 챔피언십 리더인 판지오는 49랩 째에 엔진 문제로 리타이어하며 챔피언 확정을 한 경기 더 미루었다. ||<-6> '''{{{#fff 레이스 종료 후 챔피언십 순위}}}''' || || '''1'''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Maserati 2006.png|height=25]]}}} || [[후안 마누엘 판지오]]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height=24]] || [[마세라티]] || '''25''' || || '''2'''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height=25]]}}} || 루이지 무소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height=24]] || [[스쿠데리아 페라리|페라리]] || '''13''' || || '''3'''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4B5B5D 30%, #2F3637 45%, #000)" [[파일:반월 흰색 로고.png|height=20]]}}} || 토니 브룩스 || [[파일:영국 국기.svg|height=24]] || [[반월(F1)|반월]] || '''10''' || || '''4'''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EBFF00 30%, #D6E800 45%, #000)" [[파일:Nothing.png|height=25]]}}} || 샘 행크스 || [[파일:미국 국기.svg|height=24]] || 에펄리 || '''8''' || || '''5'''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ff0000 40%, #ff0000 45%, #000)" [[파일:Nothing.png|height=25]]}}} || 짐 라스만 || [[파일:미국 국기.svg|height=24]] || 에펄리 || '''7''' || === 6R: 1957 [[독일]] [[뉘르부르크링|그랑프리]] (독일 GP) === 판지오는 이번 경기에서 우승을 기록할 시 남은 경기 결과와 상관없이 이번 시즌 챔피언을 확정짓는다. ==== 퀄리파잉 ==== ||<-5> '''{{{#ffffff 퀄리파잉}}}''' || || '''{{{#ffffff 순위}}}''' ||<-2> '''{{{#ffffff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 '''{{{#ffffff 기록}}}''' || '''{{{#ffffff 출발 그리드}}}''' || || '''{{{#dfb020 P1}}}'''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Maserati 2006.png|height=25]]}}} || [[후안 마누엘 판지오]] ([[마세라티]]) || 9:25.6 || 1번째 || || '''{{{#d0d0d0 P2}}}'''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height=25]]}}} || [[마이크 호손]] ([[스쿠데리아 페라리|페라리]]) || + 2.8s || 2번째 || || '''{{{#895E1A P3}}}'''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Maserati 2006.png|height=25]]}}} || 장 베라 ([[마세라티]]) || + 4.9s || 3번째 || || '''P4'''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height=25]]}}} || 피터 콜린스 ([[스쿠데리아 페라리|페라리]]) || + 9.1s || 4번째 || || '''P5'''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4B5B5D 30%, #2F3637 45%, #000)" [[파일:반월 흰색 로고.png|height=20]]}}} || 토니 브룩스 ([[반월(F1)|반월]]) || + 10.5s || 5번째 || 판지오가 뉘르부르크링에서 폴 포지션을 차지하였다. ==== 레이스 ==== ||<-5> '''{{{#ffffff 레이스}}}''' || || '''{{{#ffffff 순위}}}''' ||<-2> '''{{{#ffffff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 '''{{{#ffffff 기록}}}''' || '''{{{#ffffff 점수(pts)}}}''' || || '''우승'''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Maserati 2006.png|height=25]]}}} || [[후안 마누엘 판지오]] ([[마세라티]]) || 3:30:38.3 || 8+'''{{{#7f017f 1}}}'''[*F 패스티스트 랩 달성으로 인한 1포인트 부여] || || '''2위'''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height=25]]}}} || [[마이크 호손]] ([[스쿠데리아 페라리|페라리]]) || + 3.6s || 6 || || '''3위'''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height=25]]}}} || 피터 콜린스 ([[스쿠데리아 페라리|페라리]]) || + 35.6s || 4 || || '''4위'''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height=25]]}}} || 루이지 무소 ([[스쿠데리아 페라리|페라리]]) || + 3:37.6 || 3 || || '''5위'''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4B5B5D 30%, #2F3637 45%, #000)" [[파일:반월 흰색 로고.png|height=20]]}}} || [[스털링 모스]] ([[반월(F1)|반월]]) || + 4:37.2 || 2 || || '''{{{#ffffff 패스티스트 랩}}}'''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Maserati 2006.png|height=25]]}}} || [[후안 마누엘 판지오]] ([[마세라티]]) || 9:17.4 || || [youtube(F8GewTBczsQ)]|| || '''1957 독일 GP 하이라이트''' || '''Pax Fangiona, 최고의 경기력과 함께 정상에 오르는 것을 확정짓다''' 페라리의 드라이버들이 피트 스톱 없이 모든 랩인 22랩을 달릴 것이라는 것을 전해들은 판지오는 그들과는 달리 피트 스톱을 가져가는 전략을 사용하기로 결정한다. 페라리 팀이 하드한 타이어와 연료를 가득 실어 레이스를 스타트한 것과 달리, 판지오는 소프트한 타이어와 절반의 연료만을 실어 레이스에 임하였다. 폴 포지션이었던 판지오는 스타트 직후 호손에게 자리를 내주며 고전하였지만, 3랩 째에 다시 리드를 되찾으며 11랩까지 리드를 유지하였다. 이후 콜린스에게 리더 자리를 빼앗기자마자 13랩 째에 그는 계획대로 피트인한다. 이 시점에서 30초 앞에는 페라리의 마이크 호손과 피터 콜린스가 위치해있었고, 피트 작업 후 여유있게 그들을 잡으면 문제가 없었다. '''그런데 그에게 재앙이 닥친다.''' 마세라티 팀의 미케닉이 판지오의 왼쪽 뒷바퀴를 교체하던 중, 휠 너트를 차량 밑으로 잃어버리는 대참사를 저질러버린 것이다. 그것을 찾는 데에만 거의 30초 가까이 시간이 소요되었고, 판지오가 피트에서 나왔을 때는 2위 콜린스와는 예상보다 길어진 무려 48초 차이가 나고 말았다. '''그러나 판지오는 자신의 레이스 커리어 중 가장 위대한 우승을 향한 퍼포먼스를 보여준다.''' 그는 피트작업을 마친 직후의 10랩 동안 9랩 연속으로 랩 레코드를 갈아치우며[* 종전 랩 레코드는 1956 독일 GP에서 페라리를 탄 자신이 기록하였다.] 맹추격하였고, 이후 호손과의 격차를 15.5초, 다음 랩은 8.5초를 줄여나갔다. 레이스 완주까지 2바퀴 남은 21랩 초반에는 콜린스를 추월하여 2위까지 올라섰고, 급기야 21랩 후반에는 호손을 추월하며 레이스 선두로 올라섰다. 호손은 그대로 포기하지 않고 마지막까지 다시 몰아붙이며 판지오를 압박하였다. 하지만 판지오는 그의 추월 시도를 완벽히 틀어막았고, 그대로 22랩을 완주하며 우승을 차지, '''5번째 월드 챔피언 타이틀을 확정'''짓는다. 호손이 2위, 콜린스가 3위로 들어오며 포디움을 확정하였다. 판지오는 인터뷰에서 "내 인생에서 이렇게 빨리 달린 적이 없으며 다시는 못 할 것 같은 최고의 레이스였다"라고 평하였다. 한편, 이 경기는 판지오의 마지막 F1 우승이었다. 그는 1957시즌을 끝으로 F1 풀타임 레이스를 그만두었으며 1958년 프랑스 GP에서 개인 참가를 끝으로 F1에서 은퇴한다. ||<-6> '''{{{#fff 레이스 종료 후 챔피언십 순위}}}''' || || '''1'''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Maserati 2006.png|height=25]]}}} || [[후안 마누엘 판지오]]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height=24]] || [[마세라티]] || '''34''' || || '''2'''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height=25]]}}} || 루이지 무소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height=24]] || [[스쿠데리아 페라리|페라리]] || '''16''' || || '''3'''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height=25]]}}} || [[마이크 호손]] || [[파일:영국 국기.svg|height=24]] || [[스쿠데리아 페라리|페라리]] || '''13''' || || '''4'''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4B5B5D 30%, #2F3637 45%, #000)" [[파일:반월 흰색 로고.png|height=20]]}}} || 토니 브룩스 || [[파일:영국 국기.svg|height=24]] || [[반월(F1)|반월]] || '''10''' || || '''5'''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EBFF00 30%, #D6E800 45%, #000)" [[파일:Nothing.png|height=25]]}}} || 샘 행크스 || [[파일:미국 국기.svg|height=24]] || 에펄리 || '''8''' || === 7R: 1957 [[페스카라]] [[페스카라 서킷|그랑프리]] (페스카라 GP) === 페스카라 서킷은 현재(2022시즌)까지의 F1 역사상 가장 길었던 서킷으로 알려져 있다.(1랩에 25.73km) 아울러, 페스카라 GP는 F1 월드 챔피언십 역사상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이번 1957시즌에 개최되었다. 워낙 길고 위험요소가 다분한 ~~이 당시에 위험하다고 판단되었으면 지옥 그 자체~~ 서킷이라 판단되어 페라리 팀은 루이지 무소만을 제외하고 '''그랑프리에서 철수'''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페스카라 GP에 참여하는 팀은 마세라티와 반월, 그리고 쿠퍼 팀과 여러 소규모 팀 및 개인 참가로 이루어져 16명의 드라이버만이 출전하였다. 이렇게 어수선한 그랑프리 속에서도 20만 명의 관중들이 페스카라 GP를 보기 위해 입장하였다. 당시 이탈리아에선 시가지에서 레이스 하는 것을 금지하였지만, 정부는 이번에 한하여 그랑프리를 개최할 수 있도록 허락하였다. 대신, 페스카라 서킷의 seafront 스트레이트의 후반부에 시케인을 설치하여 속력을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 ==== 퀄리파잉 ==== ||<-5> '''{{{#ffffff 퀄리파잉}}}''' || || '''{{{#ffffff 순위}}}''' ||<-2> '''{{{#ffffff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 '''{{{#ffffff 기록}}}''' || '''{{{#ffffff 출발 그리드}}}''' || || '''{{{#dfb020 P1}}}'''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Maserati 2006.png|height=25]]}}} || [[후안 마누엘 판지오]] ([[마세라티]]) || 9:44.6 || 1번째 || || '''{{{#d0d0d0 P2}}}'''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4B5B5D 30%, #2F3637 45%, #000)" [[파일:반월 흰색 로고.png|height=20]]}}} || [[스털링 모스]] ([[반월(F1)|반월]]) || + 10.1s || 2번째 || || '''{{{#895E1A P3}}}'''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height=25]]}}} || 루이지 무소 ([[스쿠데리아 페라리|페라리]]) || + 15.4s || 3번째 || || '''P4'''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Maserati 2006.png|height=25]]}}} || 장 베라 ([[마세라티]]) || + 18.5s || 4번째 || || '''P5'''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Maserati 2006.png|height=25]]}}} || 해리 쉘 ([[마세라티]]) || + 20.0s || 5번째 || 후안 마누엘 판지오가 역사상 처음이자 마지막 페스카라 GP에서 폴 포지션 기록하였다. ==== 레이스 ==== ||<-5> '''{{{#ffffff 레이스}}}''' || || '''{{{#ffffff 순위}}}''' ||<-2> '''{{{#ffffff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 '''{{{#ffffff 기록}}}''' || '''{{{#ffffff 점수(pts)}}}''' || || '''우승'''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4B5B5D 30%, #2F3637 45%, #000)" [[파일:반월 흰색 로고.png|height=20]]}}} || [[스털링 모스]] ([[반월(F1)|반월]]) || 2:59:22.7 || 8+'''{{{#7f017f 1}}}'''[*F 패스티스트 랩 달성으로 인한 1포인트 부여] || || '''2위'''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Maserati 2006.png|height=25]]}}} || [[후안 마누엘 판지오]] ([[마세라티]]) || + 3:13.9 || 6 || || '''3위'''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Maserati 2006.png|height=25]]}}} || 해리 쉘 ([[마세라티]]) || + 6:46.8 || 4 || || '''4위'''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Nothing.png|height=25]]}}} || 머스튼 그레고리 ([[마세라티]]) || + 8:16.5 || 3 || || '''5위'''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4B5B5D 30%, #2F3637 45%, #000)" [[파일:반월 흰색 로고.png|height=20]]}}} || 스튜어트 루이스 에반스 ([[반월(F1)|반월]]) || + 1 Lap || 2 || || '''{{{#ffffff 패스티스트 랩}}}'''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4B5B5D 30%, #2F3637 45%, #000)" [[파일:반월 흰색 로고.png|height=20]]}}} || [[스털링 모스]] ([[반월(F1)|반월]]) || 9:44.6 || || [youtube(26ux3ohj9lQ)]|| || '''1957 페스카라 GP 하이라이트''' || 레이스 시작 2시간 전, 판지오는 오른쪽 어깨에 통증을 호소하였으나 그대로 레이스에 출전하는 것을 강행하였다. 레이스는 매우 더운 날씨에서 시작되었고, 이 때문에 레이스 전반적으로 2위였던 스털링 모스에게 고전하며 리드를 빼앗기며 준우승을 차지하였다. 모스는 F1 역사상 처음이자 마지막 페스카라 GP의 우승을 차지한 선수가 되었다. 해리 쉘은 3위로 들어오며 F1 데뷔 7년만에 첫 포디움에 올랐다. ||<-6> '''{{{#fff 레이스 종료 후 챔피언십 순위}}}''' || || '''1'''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Maserati 2006.png|height=25]]}}} || [[후안 마누엘 판지오]]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height=24]] || [[마세라티]] || '''40''' || || '''2'''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4B5B5D 30%, #2F3637 45%, #000)" [[파일:반월 흰색 로고.png|height=20]]}}} || [[스털링 모스]] || [[파일:영국 국기.svg|height=24]] || [[반월(F1)|반월]] || '''17''' || || '''3'''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height=25]]}}} || 루이지 무소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height=24]] || [[스쿠데리아 페라리|페라리]] || '''16''' || || '''4'''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height=25]]}}} || [[마이크 호손]] || [[파일:영국 국기.svg|height=24]] || [[스쿠데리아 페라리|페라리]] || '''13''' || || '''5'''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4B5B5D 30%, #2F3637 45%, #000)" [[파일:반월 흰색 로고.png|height=20]]}}} || 토니 브룩스 || [[파일:영국 국기.svg|height=24]] || [[반월(F1)|반월]] || '''10''' || === 8R: 1957 [[이탈리아]] [[국립 몬차 자동차 경주장|그랑프리]] (이탈리아 GP) === 시즌 최종전이다. 이 경기는 후안 마누엘 판지오의 F1 풀타임 시즌 마지막 경기이기도 하다. 아울러, 몬차 서킷의 레이아웃이 다시 변경되었다. 지난 시즌까지 오벌 코스를 사용했던 것에서 벗어나 1954년까지 사용한 그랑프리 레이아웃을 다시 사용한다. ==== 퀄리파잉 ==== ||<-5> '''{{{#ffffff 퀄리파잉}}}''' || || '''{{{#ffffff 순위}}}''' ||<-2> '''{{{#ffffff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 '''{{{#ffffff 기록}}}''' || '''{{{#ffffff 출발 그리드}}}''' || || '''{{{#dfb020 P1}}}'''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4B5B5D 30%, #2F3637 45%, #000)" [[파일:반월 흰색 로고.png|height=20]]}}} || 스튜어트 루이스 에반스 ([[반월(F1)|반월]]) || 1:42.4 || 1번째 || || '''{{{#d0d0d0 P2}}}'''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4B5B5D 30%, #2F3637 45%, #000)" [[파일:반월 흰색 로고.png|height=20]]}}} || [[스털링 모스]] ([[반월(F1)|반월]]) || + 0.3s || 2번째 || || '''{{{#895E1A P3}}}'''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4B5B5D 30%, #2F3637 45%, #000)" [[파일:반월 흰색 로고.png|height=20]]}}} || 토니 브룩스 ([[반월(F1)|반월]]) || + 0.5s || 3번째 || || '''P4'''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Maserati 2006.png|height=25]]}}} || [[후안 마누엘 판지오]] ([[마세라티]]) || + 0.7s || 4번째 || || '''P5'''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Maserati 2006.png|height=25]]}}} || 장 베라 ([[마세라티]]) || + 1.5s || 5번째 || 스튜어트 루이스 에반스가 가장 빠른 기록과 함께 F1 데뷔 첫 폴 포지션을 차지하였다. 아울러, 반월 팀은 3명의 드라이버가 모두 프런트 로우를 독점하며 F1 팀 데뷔 이래 가장 좋은 시즌을 마무리지을 수 있는 기회를 잡았다. ==== 레이스 ==== ||<-5> '''{{{#ffffff 레이스}}}''' || || '''{{{#ffffff 순위}}}''' ||<-2> '''{{{#ffffff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 '''{{{#ffffff 기록}}}''' || '''{{{#ffffff 점수(pts)}}}''' || || '''우승'''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4B5B5D 30%, #2F3637 45%, #000)" [[파일:반월 흰색 로고.png|height=20]]}}} || [[스털링 모스]] ([[반월(F1)|반월]]) || 2:35:03.9 || 8 || || '''2위'''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Maserati 2006.png|height=25]]}}} || [[후안 마누엘 판지오]] ([[마세라티]]) || + 41.2s || 6 || || '''3위'''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height=25]]}}} || 볼프강 폰 트립스 ([[스쿠데리아 페라리|페라리]]) || + 2 Laps || 4 || || '''4위'''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Nothing.png|height=25]]}}} || 머스튼 그레고리 ([[마세라티]]) || + 3 Laps || 3 || ||<|2> '''5위'''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3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Maserati 2006.png|height=25]]}}} || 조르지오 스칼라티 ([[마세라티]]) ||<|2> + 3 Laps || 1[*H 시트 공유로 포인트 나누어 부여.] || || 해리 쉘 ([[마세라티]]) || 1[*H 시트 공유로 포인트 나누어 부여.] || || '''{{{#ffffff 패스티스트 랩}}}'''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4B5B5D 30%, #2F3637 45%, #000)" [[파일:반월 흰색 로고.png|height=20]]}}} || 토니 브룩스 ([[반월(F1)|반월]]) || 1:43.7[*F 패스티스트 랩 달성으로 인한 1포인트 부여] || || [youtube(hxavXV7fK2w)]|| || '''1957 이탈리아 GP 하이라이트''' || 시즌 최종전의 우승자는 스털링 모스였다. 마지막 풀타임 시즌을 뛴 후안 마누엘 판지오는 준우승을 차지하였고, 볼프강 폰 트립스가 F1 데뷔 첫 포디움을 달성하며 레이스는 마무리되었다. ||<-6> '''{{{#fff 레이스 종료 후 챔피언십 순위}}}''' || || '''1'''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Maserati 2006.png|height=25]]}}} || [[후안 마누엘 판지오]]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height=24]] || [[마세라티]] || '''40''' || || '''2'''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4B5B5D 30%, #2F3637 45%, #000)" [[파일:반월 흰색 로고.png|height=20]]}}} || [[스털링 모스]] || [[파일:영국 국기.svg|height=24]] || [[반월(F1)|반월]] || '''25''' || || '''3'''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height=25]]}}} || 루이지 무소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height=24]] || [[스쿠데리아 페라리|페라리]] || '''16''' || || '''4'''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c30000 30%, #961414 45%, #000)"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height=25]]}}} || [[마이크 호손]] || [[파일:영국 국기.svg|height=24]] || [[스쿠데리아 페라리|페라리]] || '''13''' || || '''5'''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left, #4B5B5D 30%, #2F3637 45%, #000)" [[파일:반월 흰색 로고.png|height=20]]}}} || 토니 브룩스 || [[파일:영국 국기.svg|height=24]] || [[반월(F1)|반월]] || '''11''' || == 챔피언십 포인트 순위 == || [[파일:Juan Manuel Fangio 1957 champion.jpg|width=100%]] || || '''1957 포뮬러 1 월드 챔피언 - 후안 마누엘 판지오''' || ||<-7> '''[[포뮬러 원 월드 드라이버 챔피언|{{{+2 {{{#ffffff WORLD CHAMPIONSHIP}}}}}}]]''' || || '''1'''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height=24]] || '''[[후안 마누엘 판지오|{{{#000 후안 마누엘 판지오}}}]]''' || '''[[마세라티|{{{#000 마세라티}}}]]''' || '''40''' || '''CHAMPION - V5''' || || 2 || [[파일:영국 국기.svg|height=24]] || [[스털링 모스]] || [[반월]] || '''25''' || || || 3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height=24]] || 루이지 무소 || [[스쿠데리아 페라리|페라리]] || '''16''' || || || 4 || [[파일:영국 국기.svg|height=24]] || [[마이크 호손]] || [[스쿠데리아 페라리|페라리]] || '''13''' || || || 5 || [[파일:영국 국기.svg|height=24]] || 토니 브룩스 || [[반월]] || '''11''' || || || 6 || [[파일:미국 국기.svg|height=24]] || 마스튼 그레고리 || [[마세라티]] || '''10''' || || || = || [[파일:미국 국기.svg|height=24]] || 해리 쉘 || [[마세라티]] || '''10''' || || || 8 || [[파일:미국 국기.svg|height=24]] || 샘 행크스 || 에펄리 || '''6''' || || || = || [[파일:영국 국기.svg|height=24]] || 피터 콜린스 || [[스쿠데리아 페라리|페라리]] || '''6''' || || || 10 || [[파일:미국 국기.svg|height=24]] || 짐 라스만 || 에펄리 || '''7''' || || || 11 || [[파일:프랑스 국기.svg|height=24]] || 장 베라 || [[마세라티]] || '''6''' || || || 12 || [[파일:영국 국기.svg|height=24]] || 스튜어트 루이스 에반스 || [[반월]] || '''5''' || || || = || [[파일:프랑스 국기.svg|height=24]] || 마우리스 트린티그넌트 || [[스쿠데리아 페라리|페라리]] || '''5''' || || || 14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height=24]] || 카를로스 멘디테기 || [[마세라티]] || '''4''' || || || = || [[파일:미국 국기.svg|height=24]] || 지미 브라이언 || 커즈마 || '''4''' || || || = || [[파일:독일 국기.svg|height=24]] || 볼프강 폰 트립스 || [[스쿠데리아 페라리|페라리]] || '''4''' || || || 17 || [[파일:미국 국기.svg|height=24]] || 폴 루소 || 커티스 크래프트 || '''3''' || || || 18 || [[파일:미국 국기.svg|height=24]] || 앤디 린든 || 커티스 크래프트 || '''2''' || || || = || [[파일:영국 국기.svg|height=24]] || 로이 살바도리 || [[쿠퍼(자동차)|쿠퍼]] || '''2''' || || || 20 || [[파일:스페인 국기.svg|height=24]] || 알폰소 데 포르타고 || [[스쿠데리아 페라리|페라리]] || '''1''' || || || =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height=24]] || 호세 프로일란 곤잘레스 || [[스쿠데리아 페라리|페라리]] || '''1''' || || || =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height=24]] || 조르지오 스칼라티 || [[마세라티]] || '''1''' || || ||<-7><#000> '''{{{#fff 포인트 미획득 드라이버}}} || ||<-7>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 [[파일:호주 국기.svg|height=24]] || [[잭 브라밤]] || [[쿠퍼(자동차)|쿠퍼]] || '''0''' || || || - || [[파일:미국 국기.svg|height=24]] || 조니 보이드 || 커티스 크래프트 || '''0''' || || || - || [[파일:영국 국기.svg|height=24]] || 밥 제라드 || [[쿠퍼(자동차)|쿠퍼]] || '''0''' || || || -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height=24]] || 체사레 페르디사 || [[스쿠데리아 페라리|페라리]] || '''0''' || || || - || [[파일:스웨덴 국기.svg|height=24]] || 조 보니어 || [[마세라티]] || '''0''' || || || - || [[파일:미국 국기.svg|height=24]] || 마셜 티그 || 커티스 크래프트 || '''0''' || || || - || [[파일:영국 국기.svg|height=24]] || 마이크 맥도웰 || [[쿠퍼(자동차)|쿠퍼]] || '''0''' || || || - || [[파일:영국 국기.svg|height=24]] || 아이버 뷰 || 코너트,[br][[마세라티]] || '''0''' || 2R - 코너트[br]5R - 마세라티 || || - || [[파일:미국 국기.svg|height=24]] || 팻 오코너 || 커티스 크래프트 || '''0''' || || || - || [[파일:스페인 국기.svg|height=24]] || 파코 고디아 || [[마세라티]] || '''0''' || || || -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height=24]] || 알레한드로 데 토마소 || [[스쿠데리아 페라리|페라리]] || '''0''' || || || - || [[파일:미국 국기.svg|height=24]] || 밥 베이스 || 필립스 || '''0''' || || || -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height=24]] || 루이지 피오티 || [[마세라티]] || '''0''' || || || - || [[파일:영국 국기.svg|height=24]] || 호레이스 굴드 || [[마세라티]] || '''0''' || || || - || [[파일:미국 국기.svg|height=24]] || 진 하틀리 || 레소브스키 || '''0''' || || || - || [[파일:영국 국기.svg|height=24]] || 브루스 할포드 || [[마세라티]] || '''0''' || || || - || [[파일:미국 국기.svg|height=24]] || 잭 터너 || 커티스 크래프트 || '''0''' || || || - || [[파일:스위스 국기.svg|height=24]] || 오토리노 볼론테리오 || [[마세라티]] || '''0''' || || || - || [[파일:프랑스 국기.svg|height=24]] || 안드레 시몬 || [[마세라티]] || '''0''' || || || - || [[파일:미국 국기.svg|height=24]] || 조니 톰슨 || 커즈마 || '''0''' || || || - || [[파일:미국 국기.svg|height=24]] || 밥 크리스티에 || 커티스 크래프트 || '''0''' || || || - || [[파일:미국 국기.svg|height=24]] || 처크 웨이언트 || 커티스 크래프트 || '''0''' || || || - || [[파일:미국 국기.svg|height=24]] || 토니 베튼하우센 || 커티스 크래프트 || '''0''' || || || - || [[파일:미국 국기.svg|height=24]] || 조니 파슨스 || 커티스 크래프트 || '''0''' || || || - || [[파일:미국 국기.svg|height=24]] || 돈 프리랜드 || 커티스 크래프트 || '''0''' || || || - || [[파일:영국 국기.svg|height=24]] || 론 플로카트 || BRM || '''0''' || || || - || [[파일:독일 국기.svg|height=24]] || 한스 헤르만 || [[마세라티]] || '''0''' || || || - || [[파일:영국 국기.svg|height=24]] || 레스 레스턴 || [[쿠퍼(자동차)|쿠퍼]],[br]BRM || '''0''' || 2R - 쿠퍼[br]5R - BRM || || -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height=24]] || † 에우제니오 카스텔로티 || [[마세라티]] || '''0''' || [* 모데나 오토드롬에서 열린 페라리 그랑프리 레이스카 테스팅 도중의 사고로 사망.] || || - || [[파일:미국 국기.svg|height=24]] || 지미 리스 || 커티스 크래프트 || '''0''' || || || - || [[파일:미국 국기.svg|height=24]] || 돈 에드먼즈 || 커티스 크래프트 || '''0''' || || || - || [[파일:미국 국기.svg|height=24]] || 조니 톨란 || 커즈마 || '''0''' || || || - || [[파일:미국 국기.svg|height=24]] || 알 헤르만 || 던 || '''0''' || || || - || [[파일:미국 국기.svg|height=24]] || 프레드 아가바시안 || 커티스 크래프트 || '''0''' || || || - || [[파일:미국 국기.svg|height=24]] || 에디 삭스 || 커즈마 || '''0''' || || || - || [[파일:미국 국기.svg|height=24]] || 마이크 매길 || 커티스 크래프트 || '''0''' || || || - || [[파일:미국 국기.svg|height=24]] || 에디 존슨 || 커티스 크래프트 || '''0''' || || || - || [[파일:미국 국기.svg|height=24]] || 빌 치즈보그 || 커티스 크래프트 || '''0''' || || || - || [[파일:미국 국기.svg|height=24]] || 알 켈러 || 커티스 크래프트 || '''0''' || || || - || [[파일:미국 국기.svg|height=24]] || 지미 데이월트 || 커티스 크래프트 || '''0''' || || || - || [[파일:미국 국기.svg|height=24]] || 에드 엘리시안 || 커티스 크래프트 || '''0''' || || || - || [[파일:미국 국기.svg|height=24]] || 로저 워드 || 레소브스키 || '''0''' || || || - || [[파일:미국 국기.svg|height=24]] || 트로이 루트만 || 왓슨 || '''0''' || || || - || [[파일:미국 국기.svg|height=24]] || 에디 루소 || 커티스 크래프트 || '''0''' || || || - || [[파일:미국 국기.svg|height=24]] || 엘머 조지 || 커티스 크래프트 || '''0''' || || || - || [[파일:미국 국기.svg|height=24]] || 허버트 맥케이 프레이저 || BRM || '''0''' || || || - || [[파일:영국 국기.svg|height=24]] || 잭 페어만 || BRM || '''0''' || || ||<-6> † : 시즌 중 사고로 사망한 드라이버 ||}}} || ||<-4> {{{#fff 포뮬러 2 차량 출전 선수}}}[* 포뮬러 2 차량으로 레이스에 참가하여 규정에 의거하여 포인트를 부여받지 못하였다.] || ||<-7>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 [[파일:독일 국기.svg|height=24]] || 에드가 바스 || [[포르쉐]] || || - || [[파일:영국 국기.svg|height=24]] || 브라이언 네일러 || [[쿠퍼(자동차)|쿠퍼]] || || -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height=24]] || 카렐 고딘 드 보퍼트 || [[포르쉐]] || || - || [[파일:영국 국기.svg|height=24]] || 토니 마시 || [[쿠퍼(자동차)|쿠퍼]] || || -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height=24]] || 움베르토 마그리올리 || [[포르쉐]] || || - || [[파일:호주 국기.svg|height=24]] || 폴 잉글랜드 || [[쿠퍼(자동차)|쿠퍼]] || || - || [[파일:영국 국기.svg|height=24]] || 딕 깁슨 || [[쿠퍼(자동차)|쿠퍼]] ||}}} || == 총평 == 디펜딩 챔피언이었던 판지오가 페라리와의 불화로 마세라티에 갑작스레 복귀하였음에도 압도적인 실력과 함께 5번째 타이틀을 들어올렸다. 전반기는 그야말로 판지오의 독주 체제라 해도 무방하였지만, 반월 팀이 매섭게 치고 올라오며 페라리와 마세라티를 위협할 수 있는 다크호스로 급부상하였다. 이와 함께 스털링 모스는 시즌 최후반부에는 2연승을 달성하는 쾌거를 이루며 판지오 다음으로 압도적인 레이스를 많이 보인 드라이버였다. 인디 500을 제외하면 이 둘이 우승을 거의 모두 차지했을 정도로 압도적인 양대산맥이었으며, 6R 독일 GP에선 판지오의 역대급 역전쇼가 이번 시즌의 백미라고 할 수 있었다. 시즌 종료 후, 판지오는 '''다음 시즌부터 F1에서 뛰지 않기로 하며 사실상 은퇴'''를 선언한다. 판지오와 함께 '''[[마세라티]] 팀도 재정난으로 인해 F1을 떠나는 것'''을 선언하며 다음 시즌 F1은 그야말로 춘추 전국 시대가 될 것을 예고하였다. 아울러, 이번 시즌은 드라이버 스왑 시 포인트가 공동으로 분배되어 진행되는 마지막 시즌이었다. [[분류:포뮬러 1/시즌]][[분류:1957년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