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고사성어|{{{#white 고사성어}}}]]''' || || {{{+5 '''[[庖]]'''}}} || {{{+5 '''[[丁]]'''}}} || {{{+5 '''[[解]]'''}}} || {{{+5 '''[[牛]]'''}}} || || 부엌 포 || 고무래 정 || 풀 해 || 소 우 || 중국어 : páo dīng jiě niú 일본어 : ほうていかいぎゅう [목차] == 개요 == '기술이나 솜씨가 매우 뛰어남'을 뜻하는 [[고사성어]]. 어느 분야에서 달인의 경지에 이르러 신기에 가까운 솜씨를 자랑할 때, 이를 일러 '포정해우'라는 말을 자주 쓴다. '포정(庖丁)'은 [[소]]를 잡아 뼈와 살을 발라내는 요리인을 말하고, '해우(解牛)'는 소를 잡아 뼈와 살을 발라내는 것을 말한다. 일종의 발골, 정형작업인 셈. 고사의 유래는《[[장자]](莊子)》의 〈양생주편(養生主篇)〉]이다. == 일화 == ||포정이 문혜군(文惠君)을 위해 소를 잡은 일이 있었다. 그가 소에 손을 대고 [[어깨]]를 기울이고, 발로 짓누르고, 무릎을 구부려 칼을 움직이는 동작이 모두 음률에 맞았다. 문혜군은 그 모습을 보고 감탄하여 "어찌하면 [[기술]]이 이런 경지에 이를 수가 있느냐?"라고 물었다. 포정은 칼을 놓고 다음과 같이 말했다. "제가 반기는 것은 '도(道)'입니다. 손끝의 재주 따위보다야 우월합니다. 제가 처음 소를 잡을 때는 소만 보여 손을 댈 수 없었으나, 3년이 지나자 어느새 소의 온 모습은 눈에 띄지 않게 되었습니다. 요즘 저는 '''정신(神)으로 소를 대하지 눈으로 보지는 않습니다'''. 눈의 작용이 멎으니 정신의 '''자연스런 작용'''만 남습니다. 그러면 천리(天理)를 따라 쇠가죽과 [[고기]], [[살]]과 [[뼈]]사이의 커다란 틈새와 빈 곳에 칼을 놀리고 움직여 소의 몸이 생긴 그대로 따라갑니다. 그 기술의 미묘함은 아직 한 번도 칼질을 실수하여 살이나 뼈를 다친 적이 없습니다. 솜씨 좋은 소잡이가 1년 만에 칼을 바꾸는 것은 살을 가르기 때문입니다. 평범한 보통 소잡이는 달마다 칼을 바꾸는데, 이는 무리하게 뼈를 가르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제 칼은 19년이나 되어 수천 마리의 소를 잡았지만 칼날은 방금 숫돌에 간 것과 같습니다. 저 뼈마디에는 틈새가 있고 칼날에는 두께가 없습니다. 두께 없는 것을 틈새에 넣으니, 널찍하여 칼날을 움직이는 데도 여유가 있습니다. 그러니까 19년이 되었어도 칼날이 방금 숫돌에 간 것과 같습니다. 하지만 근육과 뼈가 엉긴 곳에 이를 때마다 저는 그 일의 어려움을 알고 두려워하여 경계하며 천천히 손을 움직여서 칼의 움직임을 아주 미묘하게 합니다. 살이 뼈에서 털썩하고 떨어지는 소리가 마치 흙덩이가 땅에 떨어지는 것 같습니다. 칼을 든 채 일어나서 둘레를 살펴보며 머뭇거리다가 흐뭇해져 칼을 씻어 챙겨 넣습니다." 문혜군은 포정의 말을 듣고 양생(養生)의 도를 터득했다며 감탄했다고 한다.|| == 의의 == 결국 이 이야기에서 [[장자]]가 말하고 싶었던 것은 '최고의 [[백정]]은 눈으로 보지않고 마음으로 본다'. 즉, '망'을 통하여 자신의 관점과 사물의 관점을 하나로 융합한다. 이를 통해 인위와 조작이 섞이지 않은 '''자연스러움'''이야말로 최상의 도임을 말하고 싶었던 것이다. == 여담 == 포정이 문혜군을 위해서 소를 잡을 때 뼈와 살이 다치지 않도록 긍경(肯綮)[* ‘긍(肯)’은 뼈에 붙은 살이고 ‘경(綮)’은 뼈와 살이 이어진다는 뜻으로, 사물의 핵심이나 일의 관건이 되는 부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장자(莊子)≫ <양생주편(養生主篇)>에서, 포정(疱丁)이 소를 잡아 살을 도려낼 때 긍경(肯綮)을 건드리지 않고 교묘히 도려냈다고 한 데서 유래한다. - "[[표준국어대사전]]" 풀이]을 잘 찾아 살을 잘 발라냈다는 데서 연유해, 사물의 급소를 잘 찌르고 요점을 잘 찾아내는 것을 '긍경에 닿다'라고 표현한다. 실제로 해부학적 지식이 있다면 동물을 해체, 정육할 때 상당한 이점이 있다. 초심자는 관절의 위치를 파악하기도 힘들어 힘으로 뼈를 잘라내지만, 관절의 형태를 정확히 알면 어디에 칼집을 넣어야 인대가 끊어지는지 알 수 있고, 근육의 이는 곳과 닿는 곳을 알면 고기에서 뼈를 발라내기 수월해진다. 춘추시대에 체계적인 동물 해부학이 있었을 리 만무하기 때문에, 경력자의 경험치라는 것은 그야말로 알파이자 오메가였을 것이다. 해당 이야기에 나오는 문혜군은 기원전 3세기 경 인물로, 이 당시 중국은 초기적인 고온환원법을 이용해 [[주철]]을 만드는 방법을 막 익혔을 때이다.[[https://www.ferro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7801|#]] [[제철소]]에서 나온 [[강판]]으로 만든 현대 [[식칼]]과 달리, 제대로 [[열처리]]가 되지 않은 고대 도축칼은 잘못 다루면 날 이빨이 나가는 수준이 아니라 도신 자체가 부러지는 경우도 종종 있었을 것이다. [[김용(1924)|김용]](金庸)작품집 중 [[서검은구록]][* [[김용(1924)|김용]]의 첫 번째 무협소설로 국내에는 '소설 청향비'라는 제목으로 도서출판 [[고려원]](高麗苑)에서 유일하게 번역하였다.]에서 주인공 진가락(陳家洛)이 포정해우로 무공의 이치를 한 단계 높이 터득하는 장면이 나온다. [[협객풍운전]]에서 왕용과의 이벤트에서 포정해우의 일화가 언급되며 왕용의 포정해우도법을 익히게 된다. [[식객(만화)|식객]]의 [[식객(만화)/기타 등장인물 #s-2.15.1|71화 '두당' 편]]에서도 이 일화가 언급되며, 10년 동안 사용되었음에도 날이 빠지지 않은 귀기 서린 발골용 칼과 그 주인의 정체를 밝혀내는 내용이 진행된다. 일본어로 [[식칼]]을 의미하는 단어인 [[포정|호쵸]](包丁, ほうちょう)는 포정에서 이름이 연유한 표현이다. [[분류:고사성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