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포천시)] [include(틀:포천시의 읍면동)]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Pochen-map.png|width=360]] || [목차] == 동 == === [[선단동]] === 관할 [[법정동]]은 동교동·선단동·설운동·자작동이다. 舊 포천읍의 남쪽에 해당한다. 인구는 '''14,622명'''.[*A 2023년 6월 주민등록인구통계] 동교동에 [[차의과학대학교]], 선단동에 [[대진대학교]]와 [[스타벅스 포천DT점]]이, 설운동에 [[이마트 포천점]], 자작동에 [[제6군단]] 사령부와 [[포천비행장]]이 있다. 학교는 선단초 하나 뿐이다. === [[포천동]] === 관할 법정동은 신읍동·어룡동이다. 舊 포천읍의 북쪽에 해당한다. 인구는 '''19,357명'''.[*A] 포천시의 행정 중심지로 포천 모아엘가 리더스파크(517세대), [[포천시외버스터미널]], [[포천시청]], 포천우체국, 포천문화원, [[의정부지방법원]] 포천시법원, [[경기도의료원 포천병원]]이 있다. 학교는 포천초, 포천고가 있다. == 읍 == === [[소흘읍]] === 읍소재지는 송우리, 관할 법정리는 9개이다.[* 고모리·무림리·무봉리·송우리·이가팔리·이곡리·이동교리·직동리·초가팔리] 남동쪽으로는 [[남양주시]] [[진접읍]]과 경계선을 맞댄다. 인구는 '''43,569명'''[*A]으로 포천시 읍면동 중 인구가 가장 많다. 소흘읍은 인구가 4만명 대로 구 포천읍에 해당하는 선단동과 포천동을 합친 것보다 인구가 많아서 [[포천세무서]] 등 시청소재지에 있을 법한 관공서가 소흘읍에 있는 경우도 있다. [[홈플러스 포천송우점]], [[CGV 포천]], 포천우리병원, [[국립수목원]], [[세종포천고속도로]] [[소흘IC]]가 있다. 학교는 송우초, 신봉초, 이곡초, 추산초, 축석초, 태봉초, [[갈월중학교|갈월중]], [[대경중학교(경기)|대경중]], [[동남중학교|동남중]], [[송우중학교|송우중]], [[동남고등학교|동남고]], [[송우고등학교|송우고]]와 대안학교인 유정글로벌학교가 있다. 우뚝솟을 흘([[屹]])을 사용함에도 흘이 아닌 홀로 오인되는 경우가 있다. 당장 본 문서 최상단 행정구역도에도 소홀읍으로 기재되어 있다. == 면 == === [[가산면(포천)|가산면]] === 면소재지는 마산리, 관할 법정리는 7개이다.[* 가산리·감암리·금현리·마산리·방축리·우금리·정교리] 인구는 '''7,302명'''.[*A] 포천시에서 중소기업 공장들이 가장 많으며 약간 난개발스러우나 김포같은 중소기업 난개발 끝판왕에 묻혔다. 학교는 가산초, 정교초, 경북중이 있다. === [[관인면]] === 면소재지는 탄동리, 관할 법정리는 6개이다.[* 냉정리·사정리·삼율리·중리·탄동리·초과리] 인구는 '''2,573명'''.[*A] [[조선]] 시대에는 철원군, [[구한말]] 이후 연천군에 속했다가 [[1983년]] 포천군에 편입되었다.[* 동시에 원래 포천군 관할이었던 [[청산면(연천)|청산면]](대부분)은 연천군에 편입되었다(삼정리, 갈월리, 금동리, 덕둔리는 신북면에 편입되어 잔류). 한편 부곡리는 1989년 다시 연천군 연천읍으로 돌아갔다.] 철원군 [[동송읍]]으로 가는 길목이다. [[한탄강]]이 면의 동쪽으로 경계를 이룬다. 연천군 시절에는 연천군의 [[월경지|실질월경지]]였기 때문에[* 창수면과 연천군 청산면(당시에는 포천군)을 거쳐야 [[전곡읍]], [[연천읍]]내로 갈 수 있다.], 결국 포천으로 넘어왔다. 포천시의 최북단 지역으로, 포천시내는 물론 북부권 거점인 영북면(운천)보다도 오히려 '''철원군 [[동송읍]], [[갈말읍]]이 훨씬 더 가깝다.''' 최근에 접경 지역인 관인면 탄동리와 동송읍 상노리의 관할구역이 변경된 이력이 있다.[* 동송읍 상노리는 대놓고 관인면소재지까지 도보로 이동 가능한 위치에 있다 보니, 일상생활에서도 매번 경기도와 강원도 경계를 넘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관인면 시가지가 동송읍 시가지와 갈말읍 시가지 사이에 끼어 있으며, 관인면 시가지 자체도 포천시~철원군 경계선에 달라붙어 형성되어 있다. 철원 용암대지에 위치하는 지역이지만 행정구역상 철원군이 아니라는 이유로 여기서 생산된 쌀은 '철원 오대쌀'이라는 브랜드를 못 쓰고 '철원평야 오대쌀'로 우회 등록해서 나온다. 실제로 동송읍 일대의 철원평야가 관인면 일대로 쭉 이어지며, 관인면의 생활권은 포천시내나 운천보다 동송읍과 더 밀접하다. 즉 관인면 사람들이 생각하는 [[읍내]]는 동송읍이나 운천 쪽. 관인면에서 동송읍까지 자동차로 가면 10분 정도밖에 걸리지 않는다. 사실 소흘읍이나 [[양주시]] [[고읍동]] 같은 경우에서 볼 수 있듯이 철원군과 포천시의 관문인 지역으로서 발전할 가능성이 높은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현재는 인구 유출로 해마다 인구가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편의시설은 [[CU]] [[편의점]]이 하나 있으며, 면사무소, [[우체국]], [[농협]], 농협주유소, [[농협 하나로마트]], [[노래방]], [[포천 레이스웨이]] 등이 있다. 학교는 관인초, 중리초, 관인중, [[관인고등학교|관인고]]가 있다. 시골이자 외곽 지역의 특성상 대중교통 여건이 그리 좋지 않다. [[시외버스 3001, 3002|3001번]]과 [[시외버스 3003, 3005|3003번]]이 경유하는 [[관인시외버스터미널]]이 있는데, 문제는 정작 밀접한 생활권을 형성하는 동송읍~관인면 간에는 시외버스밖에 다니지 않기 때문에 좀 오래 기다려야 한다. 자가용으로 이동해도 포천시내까지 가는데 꽤 오랜 시간이 걸린다. 연천군 [[연천읍]], [[신서면]]과 마주하고 있지만, 산으로 막혀있어 왕래가 불가능하여 창수면과 [[청산면(연천)|청산면]], [[전곡읍]]을 경유해서 가야 한다. === [[군내면(포천)|군내면]] === 면소재지는 구읍리, 관할 법정리는 8개이다.[* 구읍리·명산리·상성북리·용정리·유교리·좌의리·직두리·하성북리] 인구는 '''8,308명'''.[*A]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군내(郡内)라는 이름은 전통적으로 [[군(행정구역)|군(郡)]]의 중심지였던 곳에 쓰인다. [[시(행정구역)|시(市)]]의 중심지를 현대에도 [[시내]]라는 일반명사로 부르는 것과 일맥상통하다.] 면소재지인 구읍리 일대가 과거 포천군의 중심지였으나, [[일제강점기]]에 현재의 신읍동으로 중심부가 이전되었다. [[시(행정구역)/대한민국|시]] 승격 이후 용정산업단지와 행복주택 정도를 제외하면 개발이 좀처럼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여느 면처럼 관내에서도 인구 유출이 꾸준히 일어나던 지역이었지만 신읍동과 접하는 서부 외곽 지역 일대에 포천 아이파크 1~2차(959세대)가 들어서면서 6천여 명이었던 인구가 8천 명대로 급격히 증가했다. 포천[[향교]], [[반월성]]이 있고, [[포천경찰서]], [[포천소방서]], [[경기도포천교육지원청]], 포천종합사회복지관, 포천노인복지관, 반월아트홀, [[포천종합운동장]], 청성역사공원이 있다. 이로 인해 신읍동과 군내면 하성북리/구읍리 일대 생활권이 연결되어 있다.[* 구읍리랑 신읍동은 포천천을 끼고 바로 옆에 이웃해 있는 동네이다. 아직도 포천시를 담당하는 관공서 여럿이 군내면 구읍리에 위치하니 현재에도 중심지의 일부로 봐도 무방하다.] 학교는 청성초, 포천일고가 있다. [[세종포천고속도로]] [[포천IC]]가 자리잡고 있다. === [[내촌면(포천)|내촌면]] === 면소재지는 내리, 관할 법정리는 6개이다.[* 내리·마명리·소학리·신팔리·옴현리·진목리] 인구는 '''4,414명'''.[*A] 포천시의 다른 [[읍(행정구역)|읍]]/[[면(행정구역)|면]]/[[동(행정구역)|동]]과 달리 [[임진강]](포천천, 영평천 등) 유역이 아닌 [[한강]]([[왕숙천]])[* 북쪽 극히 일부(신팔리 서파마을 일대)는 [[조종천]] 유역이기도 하다.] 유역이다. 그뿐만 아니라 '''남양주시'''(진접읍), [[가평군]](상면 봉수리)과 경계를 맞대고 있어, [[의정부시]] 생활권인 소흘읍(송우리), 선단동, 포천동 등과 달리 남양주시 생활권이라고 보는 것이 더 적절할 듯하다. 거기다 이 동네는 포천시청 방면으로 가는 시내버스 노선이 '''없다.'''[* 그나마 소흘읍으로 가는 [[포천 버스 33|33번 버스]](소학리 기점, KD 노선인 11번도 여기서 출발한다)가 있지만 이것도 배차간격이 그렇게 좋지는 못한 편. [[경기고속]]이나 [[강원고속]] 시외버스를 타는 것이 낫다.] [[KD 운송그룹]]의 차고지가 이곳에 있고, 신팔리에서 [[37번 국도]]를 통해 [[가평군]] [[청평면]], 북면과 연결된다. 그 외 신팔리에서 일동 방면으로 가면 가평군 상면 봉수리와 접한다(참고로 화현, 일동, 이동면은 봉수리 위에 있다). [[베어스타운]]이라는 리조트가 있다.[* 예지실업이라는 기업에서 운영하다가 2012년에 매물로 나온 뒤 [[이랜드그룹]]이 가져갔다. 인수 후보로 함께 언급되던 기업들은 롯데, 한화, 부영, 대명. 통칭 '곰마을'.] 학교는 내촌초, 내촌중이 있다. === [[신북면(포천)|신북면]] === 면소재지는 기지리, 관할 법정리는 12개이다.[* 가채리·갈월리·계류리·고일리·금동리·기지리·덕둔리·만세교리·삼성당리·삼정리·신평리·심곡리] 인구는 '''11,966명'''.[*A] 포천시 읍면치고는 생각보다 군부대가 없고, 대신 중소기업 공장들이 꽤 있지만 가산면처럼 마구잡이는 아니다. 가채리는 포천시내의 연장선상에 있다. 갈월리에 나남수목원, 계류리에 포천민자발전, 기지리에 [[포천아트밸리]], 삼정리에 허브아일랜드, 신평리에 [[경복대학교]] 포천캠퍼스가 있다. 학교는 삼정초, 신북초, 왕방초[* 학교 부지는 대부분 신읍동에 속한다.], 외북초, 삼성중, [[포천중학교|포천중]], 포천여중이 있다. === [[영북면]] === 면소재지는 운천리, 관할 법정리는 7개이다.[* 대회산리·문암리·산정리·소회산리·야미리·운천리·자일리] 인구는 '''7,889명'''.[*A] 포천의 북부 관문을 담당하며, 면 치고는 꽤 규모가 있는 시가지가 형성되어 있다. [[43번 국도]]를 통해 [[철원군]] [[갈말읍]]으로 가는 길목이다. [[1970년대]]에는 포천면(현 포천동, 선단동)보다 인구가 많았다고 하나, 현재는 인구가 꾸준히 줄어 일동면, 신북면에도 밀리는 추세. 흔히 이 곳을 '운천'이라고 부른다. [[주한미군]] 기지인 '캠프 카이저'가 있을 때는 미군 장병들을 대상으로 한 기지촌 상업이 제법 활발했으나 [[1970년]] 미군부대가 철수한 뒤에는 점점 침체되었다. 대회산리에 [[비둘기낭 폭포]], 산정리에 [[산정호수]], [[산정온천]], [[평강랜드]]가 있다. 비둘기낭 폭포 근처에는 최근 2018년에 개장된 한탄강 주상절리를 볼 수 있는 흔들다리도 있다. [[현무암]]이 [[한탄강]]에 의해 침식된 흔적을 볼 수 있다. 학교는 영북초, 영북중, [[영북고등학교|영북고]]가 있다. === [[영중면]] === 면소재지는 양문리, 관할 법정리는 6개이다.[* 거사리·금주리·성동리·양문리·영송리·영평리] 인구는 '''4,661명'''.[*A] [[37번 국도]]변의 영평리가 [[1914년]]까지 영평군의 중심지였지만, 현재 면소재지는 43번 국도변의 양문리에 있다. 옛 고을의 이름을 살려 영평면으로 개칭해도 될 것 같지만, 여전히 영중면이란 명칭으로 유지되고 있다. 일동, 이동, 영북, 철원 등 동북부 지역으로 향할 때 주로 이 곳을 경유하게 된다. 금주리에 백로주유원지 휴양림이 있다. 학교는 금주초, 포담초, 영중중이 있다. === [[이동면(포천)|이동면]] === 면소재지는 장암리, 관할 법정리는 4개이다.[* 노곡리·도평리·연곡리·장암리] 인구는 '''5,825명'''.[*A] 이동[[막걸리]], [[소갈비|이동갈비]]로 유명하다. 장암리에는 [[승진훈련장]]이 있으며 군부대들이 꽤 많아서 이들이 밀집된 도평리에도 시가지가 형성되어 있다. 최근에는 [[캠핑장]]들이 굉장히 많이 들어서 있다. 학교는 노곡초, 도평초, 이동초, 이동중이 있다. === [[일동면]] === 면소재지는 기산리, 관할 법정리는 6개이다.[* 기산리·길명리·사직리·수입리·유동리·화대리] 인구는 '''9,249명.''' [*A] 과거에 1만 4천 명 가량의 인구를 기록한 적도 있지만, 현재는 1만 명도 되지 않는다. [[387번 지방도]]와 [[청계산]]을 경계로 [[가평군]] 조종면과 접한다. 기산리 일대에 형성된 시가지는 영북면과 마찬가지로 포천의 면 단위 행정구역의 시가지 중에서는 비교적 큰 편. 일동[[온천]]이 있다. [[동서울터미널]]에서 와수리나 사창리로 가는 버스가 [[일동시외버스터미널]]을 경유하며, 일동시외버스터미널에서 내리면 롯데리아가 있다. 토요일의 경우 근처 [[군부대]]에서 외출나온 군인+군인, 군인+여친, 군인+친구 무리를 볼 수 있다. 학교는 운담초, 일동초, 일동중, 일동고가 있다. === [[창수면]] === 면소재지는 주원리, 관할 법정리는 7개이다.[* 가양리·고소성리·신흥리·오가리·운산리·주원리·추동리] 인구는 '''2,067명'''.[*A] [[국방과학연구소]] 시험장이 있다. [[연천군]] 청산면과 접하며, [[전곡읍]]과도 가깝다. 학교는 창수초 하나 뿐이다. === [[화현면]] === 면소재지는 화현리, 관할 법정리는 3개이다.[* 명덕리·지현리·화현리] 인구는 '''2,595명'''.[*A] 원래 내촌면이었으나 1983년 승격 분리되었다. 경기 5악 중 하나인 [[운악산]]이 있다. [[국군포천병원]]이 있다. 학교는 지현초, 화현초가 있다. [[분류:포천시]][[분류:포천시의 행정구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