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코리아 스타크래프트 리그)] ||<-2><:> '''{{{#white 포트리스(The Fortress)}}}'''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teamliquid.net/(4)The_Fortress_1.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teamliquid.net/435_Fortress%20SE.jpg|width=100%]]}}} || || '''1.1 버전''' || '''2.0 SE 버전'''[* 일부 멀티 자원량을 제외한 지형 등의 수정이 없기 때문에 1.1과 맵 이미지는 동일하다.] || ||<-2><#FF2400><:> '''맵 정보''' || ||<:> '''타 입''' || 전술형 힘싸움맵 || ||<:> '''사이즈''' || 128 × 128 || ||<:> '''인원수''' || 4인용 || ||<:> '''타일셋''' || Jungle (정글) || ||<:> '''러시거리''' || 가로, 세로 27초 / 대각선 35초[* 본진 입구↔입구 일꾼 이동시간.] || ||<:> '''맵 제작자''' || [[김응서]] || ||<#FF2400><:><-2> '''이 맵이 사용된 대회 목록''' || ||<:><-2>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1.1 버전 사용][br][[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SE 버전 사용][br][[코리아 스타크래프트 리그|코리아 스타크래프트 리그 시즌1]] ||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5라운드에 [[테프전/스타크래프트|테프전]] 밸런스가 붕괴된 [[로드러너(스타크래프트)|로드러너]]를 대신하여 교체된 신맵이다. 하지만 포트리스 테프전역시 테란이 심각하게 좋았다. 물론 저그전 역시 마찬가지이다. 참고로 4라운드 전에 공식맵 후보였는데, 당시에는 "본진 미네랄이 5덩이"라고 까였다.[* 참고로, 본진 미네랄은 10덩이였다. 채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5개에 2겹으로 만들어둔 것. 특수에디터로 제작한 부분이기 때문에 많은 이들이 모르는 경우가 허다하다. 참고로, [[한니발#s-5|이 방식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4라운드에 채택되지 않자 맵제작자가 맵도리에 자기 맵을 올려놓았다.[* 근데 어찌 채택되지 않아서 화풀이하는 경향이 보였다.] 결국 5라운드에야 추가되었다. 참고로, 왼쪽이 5라운드에 추가되었을 당시의 1.1 버전이다.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이전인 1.0 버전과 차이점은 본진 미네랄이 9덩이로 수정, 중립 멀티의 입구가 단일문에서 이중문으로 변경, 입구에 중립에그로 심시티가 용이하게 하였다는 것 등이 차이점이다. 맵의 특징은 중립 섬멀티가 존재한단 건데, 여기선 '''일꾼만 통과'''가 가능하다. 통과하는 곳에는 닫혀 있는 2개의 문이 있는데, 미네랄을 클릭하여 통과하는 구조이다.[* 참고로, 이는 후의 멀티버스에서도 사용되는 구조다.] 단, 이런 섬멀티는 자원이 적어서 빨리 소모된다. 다른 특징은 본진만큼 앞마당이 넓고, 센터는 정가운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건설 불가능 타일로 되어있다. 입구 막기가 묘하게 힘들어서 [[저프전/스타크래프트|저프전]] 밸런스는 [[저그]] 쪽으로 다소 기울어졌다. 스타팅 포인트 지역이 넓어서 [[3센티 드랍]]을 쓰기도 좋다. 실제로 [[홍진호]]가 이 전략을 사용해서 승리했다. 이 전략에 당해 패배한 [[우정호]]는 또 이 맵에서 저그에게 이 전략을 당했지만, 그때는 승리를 했고, 후에 [[홍진호|신]]을 이기는 것은 인간으로써 불가능하다고 표현했다. 거꾸로 이러한 점은 [[테프전/스타크래프트|테프전]]에서 [[프로토스]]가 리콜을 하기 쉽다는 점도 되기에 프로토스는 어떻게든 초반만 버텨내면 후반부에 무한대의 리콜쇼를 시전할 수 있다. 리콜쇼는 [[진영화]]가 [[김도우(프로게이머)|김도우]]의 프로리그 첫 1패를 내줬을 때 보여준 바 있다. 초반을 버티기 힘들기 때문에 프로토스의 성적이 다소 좋지 않은 편. (09-10 시즌) 5라운드 첫날인 [[2010년]] [[5월 30일]]에 첫 선을 보였는데, [[온게임넷]]에서는 3세트에 배치되었다. 이때 출격한 [[한상봉]]은 [[공군 ACE]]의 [[박정석]]을 상대로 [[5드론]](!)을 시전했다. 당시 반응은 공군 상대로 캐[[날빌]]이라니! vs 역시 승부사. 또한 이영호의 [[에이스 결정전]] 5연패를 찍게 한 결정적인 맵이기도 하다. [[조병세(프로게이머)|조병세]]에게 ~~혈전~~ 올멀티 관광을 당했었다.[* 정확히는 센터 올멀티 관광이다. 조병세가 자원력이 초반부터 이영호에게 압도적으로 유리했고, [[테테전/스타크래프트|테테전]] 본좌인 조병세가 센터를 먹으면서 이영호를 본진과 12시에 가둬 버렸다.] 얇은 성곽 지형 때문에 테테전에서 탱크싸움에 시야가 필수적으로 필요한 맵이다. 플레이에 따라 장기전이 나올 수 있는 맵이라고 조병세는 표현했다. 그러나 [[이영호]]는 10-11 시즌에 이 맵에서 또다시 만난 조병세에게 [[복수]]에 [[성공]]했다. 그것도 핵으로... [[2010년]] [[12월 15일]] [[통신사 라이벌/e스포츠|통신사 더비]] [[https://youtu.be/QmBBt1Waxcc|최종전]]에서 [[이영호]]가 [[도재욱]]을 상대로 그야말로 [[양아치 테란]]의 진수를 보여주며 희대의 개관광을 선사한 맵이기도 하다. 이영호의 주력은 센터를 밟지도 않았으며 오로지 다수 [[수송선(스타크래프트 시리즈)|드랍십]]만으로 도재욱의 본진과 앞마당을 흔들어 게임을 끝냈다. 오죽하면 후반에는 테란은 커맨드가 4개인데 토스는 넥서스 1개도 제대로 못 돌리는 상태였을 정도. 사실 이 직전 [[최연성]]이 [[싸이월드]]에서 kt에게 [[트래시 토크]][* 당시 [[SK텔레콤 T1/스타크래프트|SK텔레콤 T1]]은 1위, [[kt 롤스터/스타크래프트|kt 롤스터]]는 10위였는데 [[https://data.ygosu.com/editor/attach/20101208/Y2ozhDACwoNyfbi8JV.JPG|그 순위표의 '''SK와 KT에 동그라미로 강조를 해서''' 미니홈피 메인에 띄우고 밑에 '''"ㅋㅋㅋㅋㅋ"'''를 도배해 뒀다.]] [[최연성]]은 선수 시절부터 코치가 된 이후로도 실력은 뛰어났지만 상당히 도발적인 언행을 많이 하기로도 유명했다. 본인은 흥행을 위한 거라고는 하는데...]를 시전해 두 팀간의 신경전이 최고조에 달한 상태였고, 때문에 더더욱 처절한 관광을 선보인 듯 하다. 당시 [[유대현]]의 '''"제발 [[GG]] 치지 말아라, 더 괴롭혀야 된다!"'''는 멘트가 이영호와 KT의 심정을 대변했다 볼 수 있다. 결국 경기 승리 후 [[강도경]]이 '''[[도토리(싸이월드)|도토리]] 100개''' 세리머니로 [[역관광]]에 성공.[* 후일 [[도재욱]]이 개인방송에서 이때의 뒷이야기를 풀었는데, [[최연성]]이 [[강도경]]의 도토리 세리머니에 너무 화가 난 상태라 눈치 보여서 도저히 자신이 화를 낼 수가 없었다고 한다. 그리고 유명한 [[https://www.ygosu.com/community/real_article/st/711989|탕수육 썰]]도 이때 있었던 일. [[https://youtu.be/TKEOF9Gkl88?t=1290|21분 30초부터]]] 이후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시즌 3라운드와 4라운드에는 센터 멀티와 구석 멀티의 자원량이 바뀐 SE 버전이 쓰였고, [[포스트시즌]]에도 쓰였다. 이후 개인 리그에서는 [[코리아 스타크래프트 리그|KSL 시즌1]]에 7년 만에 공식맵으로 사용되었다. 이후 [[ASL S11]]에서 쓰려고 했지만 반응이 좋지 않아 결국 [[투혼(스타크래프트)|투혼]]으로 대체되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포트리스, version=52)] [각주] [[분류:스타크래프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