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경상북도의 버스 터미널]][[분류:포항시의 교통]]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남구 상도동에 위치한 시외버스 터미널, rd1=포항터미널)] [include(틀:경상북도의 버스 터미널)] [include(틀:포항시의 교통)] ||<-2> {{{+2 '''포항고속버스터미널'''}}} || ||<-2> [[파일:external/news.ipohang.org/0028700546_041.jpg|width=100%]] || ||<-2> [include(틀:지도, 장소=포항고속버스터미널, width=100%)] || ||<-2> '''주소''' || ||<-2>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포항)|남구]] 중앙로 166[* 해도동 33-7]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포항)|남구]] 중앙로 166 (해도동)에 위치한 [[고속버스]] 터미널이다. 오거리 남쪽에 있으며, [[남구(포항)|남구]] [[상대동(포항)|상도동]]에 있는 [[포항터미널|시외터미널]]과는 2.5km 정도 떨어져 있다.[* [[포항 버스 302|302번]]을 타면 [[포항터미널|시외터미널]]과 고속터미널을 오갈 수 있다. 하지만 시내버스 개편으로 [[포항 버스 107|107번]]이 폐지되어 [[포항역]] - 고속터미널 - 시외터미널 3곳을 모두 찍는 시내버스 노선은 없어졌다.] 이곳에서 1.1km 정도 걸으면 [[죽도시장]]이 나온다. 정 걷기 싫으면 [[포항 버스 308|308번]], [[포항 버스 302|302번]]을 타면 죽도시장까지 한번에 간다. [[2010년]] [[8월 30일]]에 신설된 [[포항시]]청입구 삼거리 근처의 대이동[[우체국]] 앞에 있는 대잠동 무인 간이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 정류장을 중간 승하차장으로 두고 있으며, [[포항IC]]로 진출입하면 바로 나온다.[* 2009년에 [[포항IC]]와 [[포항터미널]], 포항고속버스터미널을 바로 잇는 직통도로가 개통되어 과거 용흥동의 좁은 주택가를 거쳐야 해서 교통체증이 일어났던 왕복 2차로 도로를 더 이상 거치지 않게 되어 정류장을 신설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시외터미널 중 대구행 일부 차량의 경우 [[7번 국도]] - 북경주IC - [[20번 국도]] - [[건천IC]] 쪽으로 가기도 했다.] [[동양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이 이 터미널에 들어온다. [[천일고속]]이 매표 업무와 배차를 담당하며, 이 곳 소속 기사들이 [[천일고속]] 사내에서 가장 영향력이 막강하다고 한다.[* [[고속버스 대전복합-포항|대전 ↔ 포항]] 노선을 운행하는 기사들이 20~22년차고 [[고속버스 서울경부-포항|서울 ↔ 포항]] 노선을 운행하는 기사들 역시 20~25년차라고 하며 특히 대전 - 포항 노선의 경우 현재는 [[천일고속]]이 단독 운행중이다. [[경주고속버스터미널|경주]], 포항, [[울산고속버스터미널|울산]]이 최고참 기사들로만 이루어져 있는데 경북 동부권과 경북 동부 지역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울산-경주-포항 이 3지역은 교류가 많은 나머지 해오름 동맹을 맺은 지역이다.) [[경주고속버스터미널|경주]], [[울산고속버스터미널|울산]]도 20년차부터 진입이 가능하고 그 중에서도 포항 노선에는 20년차 이상 기사들 중에서도 무사고 15년 이상의 기사들로만 엄선한다고 한다. [[동양고속]] 역시 [[한진고속]]을 인수했을 때 당시의 포항 노선 전담 고참 기사들을 그대로 배치했으며, 이들의 경력 또한 무사고 10년 이상+입사 20년차 이상(견장 무궁화 2장)이라고 하며 [[한일고속]]도 같은 수준이라고 한다. 이렇게 된 이유는 [[KTX]] 개통 전에 답이 없었던 [[포항시]]의 철도교통망 때문에(서울에서 포항까지 새마을호를 타면 5시간 40분 정도 걸렸으며 동대구역도 2시간은 걸렸다.) 버스 이용률을 늘리기 위한 목적이 있었고, [[새만금포항고속도로]] [[도동JC|도동]] - [[포항IC|포항]] 구간 개통 이전에는 [[경부고속도로]]로 진입하기 위해 [[경주IC|경주]]나 [[건천IC|건천]] 또는 [[영천IC|영천]]까지 국도로만 운행했기 때문인데 그래서 한동안 '''특A급''' 최신 차량이 들어가다 알 수 없는 이유로 지금은 차급이 확 떨어진 상태다. 참고로 그 당시의 [[20번 국도]]와 [[28번 국도]]는 포항에 아예 들어오지 않고 각각 경주 건천/경주 강동에서 종착했으며 [[7번 국도]]는 지금과는 전혀 다른 막장 수준이였다.(경주 방면으로 가려면 그 전국 교통사고율 '''1위'''이었던 악명높은 '''외팔교'''를 건너야했으며 화물차도 지금과 달리 매우 많이 다녔다.)][* 그 외에도 부산 소속 기사들도 사내에서 강한 영향력을 자랑한다.][* 이로 인해 예전 [[새만금포항고속도로]]/[[28번 국도]] 강동~흥해간 도로 개통/[[20번 국도]] [[건포산업로]] 개통/[[7번 국도]] [[유강터널]] 개통 이전에는 [[포항공항]]과 김포공항을 잇는 비행기의 영향력이 강했다.] [[천일고속]]이 직영으로 운영하던 시절에는 건물의 외관이나 내부 자체가 시골 읍내 느낌이 날 정도로 심하게 노후화된 상태였다. 특히 화장실은 그 유명한 리모델링 이전의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과 쌍벽을 이룰 정도의 쓰레기같은 화장실로 악명높았다. 그러던 것이 [[2007년]] 11월 말 리모델링을 통해 매우 깔끔해졌다. 2014년쯤에 [[포항역]] 신 역사가 완공되면 [[남구(포항)|남구]] [[상대동(포항)|상도동]]에 있는 [[포항터미널|시외터미널]]과 같이 [[북구(포항)|북구]] [[흥해읍]]으로 이전할 계획이 있다고 한다고 했으나, 2013년 8월에 발표한 철도시설공단의 신 [[포항역]] 조감도에서 이들이 빠져 축소, 발표한 일로 현재는 이전이 거의 백지화된 상태다. [[포항터미널|시외터미널]] 문서에서 자세한 내용을 알아볼 수 있다. == 주의 == * 임시로 편성된 시간으로는 [[포항시청|시청(경유지)]]를(을) 경유하지 않는다. * [[낙동강구미휴게소|낙동강]] 발권 및 [[고속버스 프리패스|프리패스]] 사용 불가의 시기는 다음과 같다. * [[프리미엄 버스|프리미엄]], [[설날]] 및 [[추석]]의 특송 기간 == 노선 == ||<-3> '''{{{#ffffff 수도권}}}''' || || '''{{{#ffffff 행선지}}}''' || '''{{{#ffffff 운행횟수}}}''' || '''{{{#ffffff 운수회사}}}''' || ||<#002147> '''{{{#ffffff 낙동강구미휴게소[br]서울}}}''' || 일 28회 (참고 : KTX는 일 14회) || [[동양고속]][br][[천일고속]][br][[한일고속]]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포항발 서울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002147> '''[[포항시|{{{#ffffff 포항시청}}}]]''' ||<-2> 발권불가 || ||<#002147> '''[[낙동강구미휴게소|{{{#ffffff 낙동강구미휴게소}}}]]''' || 1:20 || ₩ 7,200[br]₩ 11,000({{{#0000ff 우등}}}) || ||<#002147> '''[[서울고속버스터미널|{{{#ffffff 서울(경부)}}}]]''' || 3:40 || ₩ 21,000[br]₩ 31,200({{{#0000ff 우등}}})[br]₩ 34,400({{{#ff0000 프리미엄(월~목)}}})[br]₩ 40,500({{{#ff0000 프리미엄(금~일, 공휴일)}}})[br]₩ 34,300({{{#0000ff 심야우등}}})[br]₩ 37,800({{{#ff0000 심야프리미엄(월~목)}}})[br]₩ 44,500({{{#ff0000 심야프리미엄(금~일, 공휴일)}}}) || ||<#002147> '''{{{#ffffff 운행시각표}}}''' ||<-2><(>{{{#0000ff 05:00, 05:40, 06:20}}}, {{{#ff0000 07:00}}}, {{{#0000ff 07:40}}}, 08:20, {{{#ff0000 09:00}}}, {{{#0000ff 09:40, 10:20}}}, {{{#ff0000 11:00}}}, {{{#0000ff 11:50}}}, {{{#ff0000 12:30}}}, {{{#0000ff 13:10, 13:40, 14:20}}}, {{{#ff0000 15:00}}}, 15:40, {{{#0000ff 16:10, 16:50}}}, {{{#ff0000 17:30}}}, {{{#0000ff 18:00, 19:10}}}, {{{#ff0000 20:00}}}, 20:50, {{{#0000ff 21:40}}}, (심야){{{#ff0000 22:30}}}, {{{#0000ff 00:20, 01:00}}}|| ||<-3><(>[[고속버스 서울경부-포항]] 참조. 07:40 ~ 19:10 [[낙동강구미휴게소]]를 경유한다. 일반 및 우등은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 [[프리미엄 버스|프리미엄]] : 평일의 월~목으로는 15% 할인 요금으로, [[마일리지]] 적립 불가능하며, 나머지의 요일은 2% 적립된다. 만약 시간대가 맞지 않다 싶으면 [[포항역]]으로 가서 [[KTX]]를 이용해도 된다.[* 단, [[서울특별시]]에 있는 철도역 중 포항역에서 KTX로 환승 없이 갈 수 있는 역은 [[서울역]]뿐이다. [[용산역]], [[청량리역]], [[영등포역]], [[수서역]]으로 가려면 더 이동해야 한다.] || }}} || ||
<-3> '''{{{#ffffff 충청권}}}''' || || '''{{{#ffffff 행선지}}}''' || '''{{{#ffffff 운행횟수}}}''' || '''{{{#ffffff 운수회사}}}''' || ||<#ba66a4> '''{{{#ffffff 대전}}}''' || 일 3회 || [[천일고속]]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포항발 대전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ba66a4> '''[[포항시|{{{#ffffff 포항시청}}}]]''' ||<-2> 발권불가 || ||<#ba66a4> '''[[대전복합터미널|{{{#ffffff 대전}}}]]''' || 2:40 || ₩ 22,600({{{#0000ff 우등}}}) || ||<#ba66a4> '''{{{#ffffff 운행시각표}}}''' ||<-2><(>{{{#0000ff 08:20, 13:00, 18:00}}}|| ||<-3><(>[[고속버스 대전복합-포항]] 참조. 동해선 [[KTX]]의 존재와 동양고속의 노선 철수로 운행 횟수가 11회에서 3회로 대거 감회되고 막차도 이르다. 따라서 막차 시간 이후에는 [[포항역]]으로 가야 한다. 2023년 6월 1일부터 1년 동안 운행이 중단된다.|| }}} || ||
<-3> '''{{{#ffffff 호남권}}}''' || || '''{{{#ffffff 행선지}}}''' || '''{{{#ffffff 운행횟수}}}''' || '''{{{#ffffff 운수회사}}}''' || ||<#039b43> '''{{{#ffffff 광주}}}''' || 일 4회(월~목, 토)[br]일 5회(금, 일) || [[동양고속]]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포항발 광주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039b43> '''[[포항시|{{{#ffffff 포항시청}}}]]''' ||<-2> 발권불가 || ||<#039b43> '''[[유스퀘어|{{{#ffffff 광주(유스퀘어)}}}]]''' || 3:50 || ₩ 29,500({{{#0000ff 우등}}}) || ||<#039b43> '''{{{#ffffff 운행시각표(월~목, 토)}}}''' ||<-2><(>{{{#0000ff 08:10, 11:10, 14:10, 17:10}}}|| ||<#039b43> '''{{{#ffffff 운행시각표(금, 일)}}}''' ||<-2><(>{{{#0000ff 07:30, 10:10, 13:10, 15:40, 18:40}}}|| ||<-3><(>[[고속버스 포항-광주]] 참조. || }}} || 이름은 거창한데 터미널 규모는 작은 편이고, 노선은 단 3개다. [[유스퀘어|광주]], [[대전복합터미널|대전]], [[서울고속버스터미널|서울경부]][*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행이 전부다. 2019년 4월 10일부터는 서울행이 중간에 정차하는 [[상주영천고속도로]] [[낙동강구미휴게소|낙동강(구미)]] [[환승휴게소]] 이용도 가능하다. 원래는 [[마산고속버스터미널|마산]]행도 있었으나, [[시외버스]]와의 경쟁에 밀려 [[2012년]] 4월에 폐지됐고 사실상 [[시외버스]]로 바꾼 후 [[금아여행]]에 매각했다.[* [[내서고속버스터미널|내서]]에도 무정차했다. 그리고 이 때 [[동양고속]]의 하이클래스 1대 및 에어로 HSX 1대도 [[금아여행]]에 매각되어 여생을 보냈다.] [[동양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이 모두 운행하며, [[동양고속]]은 [[2006년]] [[4월 8일]] 부로 [[한진고속]]을 인수한 후 [[포항시]]에 입성했다. 특히 [[동양고속]]은 [[부산종합버스터미널|부산]]행, [[마산고속버스터미널|마]][[창원종합버스터미널|창]]행 노선과 함께 [[고속버스 서울경부-포항|서울 ↔ 포항]] 노선에 최신 차량을 우선 투입했었으나, [[상주영천고속도로]]의 개통 후 진주보다도 서울과의 거리가 가까워졌으며, 거리가 먼 순으로 신차투입 우선순위가 매겨지는 회사 방침에 의해 [[고속버스 서울경부-진주|서울 ↔ 진주]] 출신 구형차가 들어가고 있다.. [[고속버스 서울경부-포항|서울 ↔ 포항]] 노선은 일반고속이 1일 3회, 우등 등급 이상의 노선이 시간마다 배차되어 있으며 일반고속은 세 업체가 각 1대씩 투입하고 있다. [[한일고속]]은 임시차가 아닌 이상 2014년식 뉴 그랜버드 선샤인과 유로6 선샤인을, [[천일고속]]은 2018, 2019년식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노블 유로6, 2018년식 뉴 그랜버드 이노베이션 선샤인 유로6를 고정 투입 중이다.[* 본래 [[천일고속]]도 포항이 [[순천종합버스터미널|순천]], [[여수종합버스터미널|여수]]와 마찬가지로 신차 투입 1순위 지역이였고 2012년까지 항상 최상위 차량으로 편성됐으며 교체 주기가 채 3년을 넘기지 않았다. 그러다 2013년에 현재 운행 중인 차량으로 교체한 후 기사들이 신차 인도를 거부하여 현재의 상태가 되었다. 본래 포항으로 배정되기로 한 차량이 현재 [[고속버스 서울경부-부산|서울 ↔ 부산]], [[고속버스 동서울-부산|동서울 ↔ 부산]]을 운행하는 2014년식 뉴 프리미엄 노블 우등과 [[여수종합버스터미널|여수]], [[순천종합버스터미널|순천]]선에 뛰다가 [[전주고속버스터미널|전주]]선으로 격하된 2014년식 뉴 그랜버드 선샤인 우등고속이다. [[천일고속]]이 2011년식 유니버스 노블 순정 일반고속을 2대 출고했을 때 투입됐던 곳이 바로 포항이다. 다른 한 대는 [[부산종합버스터미널|부산]]. 이후 프리미엄 고속버스 투입에 따른 여수.순천행 우등이 감편되자 해당지역차량들이 경부선으로 이동했으며 기존의 13년식 차량들은 경주, 울산 및 예비차로 이동하고 14년식의 USB 포트 설치차량들이 투입되었다. 그러다 2018년 9월 신차 2대가 포항 노선에 투입되면서 5년만에 포항 노선에 신차가 투입되었다. 이후 2019년 12월에 추가적으로 신차 4대가 투입되며 기존에 운행하던 13년식 뉴프리 노블과 15년식 유로6 뉴프리 노블 우등은 [[고속버스 서울경부-점촌|서울 ↔ 점촌]] 노선으로 이동했다.] 1일 4회 운행하는 [[유스퀘어|광주]]행은 아예 '''일반고속이 없다'''. 하지만 [[고속버스 포항-광주|포항 ↔ 광주]] 노선은 주말에 예비차가 기본으로 투입될 정도로 터져 나가는 관계로 월~목, 토요일에는 1일 4회, '''금요일과 일요일에''' 1일 5회 다닌다. [[KTX]] 개통으로 생존의 위협을 느꼈는지, 결국 2015년 12월 1일 자로 [[고속버스 서울경부-포항|서울 ↔ 포항]] 노선에 우등고속 한정으로 요금 인하를 단행했다. 우등고속 기준 31,800원에서 28,000원으로, 심야우등은 34,900원에서 30,800원으로 할인되었다. 일반고속은 [[상주영천고속도로|상주영천선]] 개통 후 요금이 인하됐고, 우등고속은 애초에 할인한 게 있어서 [[상주영천고속도로|상주영천선]] 개통 후에도 요금이 동결됐다. 거기에 [[마산고속버스터미널|마산]], [[진주고속버스터미널|진주]], [[유스퀘어|광주]]행처럼 [[KTX]]의 영향으로 포항행까지 110km/h로 증속했었지만 2017년 7월달 부터 다시 105km/h로 하향했다고 한다.[* 하지만 [[천일고속]]은 여전히 100~103km/h 정도로 저속운행했다가 지금은 그래도 105km/h까지 내주고 2018년 추석 때 들어온 새차들은 108km/h까지 주행한다. [[한일고속]]은 [[동양고속]]처럼 107~110km/h로 주행한다.] [[상주영천고속도로]]가 개통하는 2017년 6월 28일 이후 거리는 33Km, 운행시간은 약 20분 가량 단축되어 3시간 40분대가 되었다. 고속열차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4시간 이내에 강남까지 진입할 수 있고, 강남 지역이 최종 목적지인 경우에는 [[KTX]] 대비 시간적으로 큰 차이가 나지 않게 되었다. 이 정도면 [[포항역]]([[흥해읍|흥해]]) ↔ [[남구(포항)|남구]] 지역의 나쁜 접근성[* 하지만 [[북구(포항)|북구]]에서도 신 [[포항역]]까지 100% 접근성이 좋은 건 아니다. 특히 우창동(특히 창포동 쪽. 우현동은 [[포항 버스 308|308번]]이 다니기에 덜하다.), 환여동, 장량동, 두호동 일대는 심각하다고 한다. 자차로는 가까우나, 버스로는 불편하기 때문이다. 단지 [[남구(포항)|남구]]에 비해 좀더 가까울 뿐. 물론 [[남구(포항)|남구]]에 있는 [[포항공과대학교|포공]]이나 [[포스코]] 제철소 쪽에서 신 [[포항역]]은 포항에서 경주 가는 만큼의 거리감이 있을 정도로 멀다고 한다.]과 [[KTX]]의 절반에 불과한 고속버스 요금을 감안하면, 버스도 경쟁력이 있어 승객들의 선택권이 넓어졌다 할 것이다. 2017년 6월 30일부터 [[고속버스 서울경부-포항|서울 ↔ 포항]] 노선에 [[프리미엄 고속버스]]의 운행을 시작했다. 횟수는 1일 3회.[* 오전 9시, 오후 3시, 저녁 6시. 오전 9시는 [[동양고속]]이 고정으로 운행하며 오후 3시와 저녁 6시는 [[천일고속]]과 [[한일고속]]이 번갈아가며 운행하였다. 하루는 3시에 [[천일고속]]이 운행했다면 다음날 3시에는 [[한일고속]]이 운행하는 방식으로. 서울발은 오전 8시와 11시 차량이 천일과 한일이 번갈아가며 운행하고 저녁 6시 차량은 동양고속이 고정으로 운행한다.] 2018년 7월 20일부터는 7회로 증회되었다.[* 동양고속 3대, 한일고속과 천일고속이 각 2대씩 서울발 3대(동양, 한일, 천일 각 1대씩 운행한다.), 포항발 4대(동양 2대, 한일, 천일 각 1대씩 운행한다.)로 운행한다.] 2020년 6월 1일부터 [[고속버스 서울경부-포항|서울 ↔ 포항]] 프리미엄이 또 증회되어 이제 포항에서도 서울행 심야프리미엄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동양고속 2대 천일고속 한일고속 각 1대씩 증회되었다. 천일과 한일은 타 노선 출신 차량을 투입한다.] 2020년 10월에 동양고속이 [[고속버스 대전복합-포항|대전 ↔ 포항]] 노선에서 철수하고, 해당 노선이 감편되었다. 결국 대전-포항은 완전히 몰락하여 그 외 시간에는 [[KTX]]를 타고 [[대전역]]으로 가거나 남구 상대동 터미널로 가서 [[시외버스 동대구-포항(직통)]]을 이용한 뒤 [[고속버스 대전복합-동대구]]나 무궁화호, ITX-새마을, KTX, SRT를 이용해야 한다. 게다가 2023년 6월 1일부터는 노선의 운영이 중단되어 기차를 타야 한다. == [[포항시청|중간 정류소]] == [[2010년]] [[8월 30일]]부터 [[새만금포항고속도로]] [[포항IC]] 진입 직전에 '''포항시청''' 근처 대잠동의 대이동[* 행정동이며, 산하 법정동은 대잠동과 이동이 있다.][[우체국]] 앞에 설치된 간이 정류장에서 승하차가 가능해졌다. 대이동[[우체국]] 간이 정류장 내 벤치에 있는 한네트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 무인 발권기에서 발권할 수 있지만 '''현장 발권만 가능'''(화면에서는 예약발권 표시가 없고, 현장발권 거래만 표시)하며, 대잠동 무인 매표소에서 발권한 승차권으로 포항고속버스터미널에서 탑승하거나 포항고속버스터미널에서 발권한 승차권으로 대잠동 간이 정류장에서 탑승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당연히 카드만으로 결제할 수 있다. 한네트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 발권에 따른 추가 발권 수수료는 없으며,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에서 최대 4명까지 발권할 수 있다. 그리고 [[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조합|코버스]]의 안내에 따르면 포항고속버스터미널 매표소에서 직접 구매했거나, 인터넷으로 예매하여 발권했거나, 예약한 후 곧바로 카드 결제 승인을 받아 홈 티켓으로 발권한 승차권은 포항고속버스터미널에서만 승차할 수 있고 [[포항시]]청 간이 정류장에서는 승차할 수 없다고 한다. '''그런데 이 무인발권기 겸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에서 발권해도''' 출발지는 '''"포항시청"'''이 아닌 '''"포항"'''으로 표시됐었다. 현재는 포항시청으로 선택이 가능하며, [[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조합|코버스]] 터미널 코드는 828번이다. 포항시청 정류장에서 승차하는 경우에도 요금은 포항고속버스터미널에서 승차하는 것과 동일하다. == 연계 시내버스 == ||<-2> {{{+1 {{{#373a3c,#c3c6c8 '''고속버스터미널(294011·312002)'''}}}}}} || || {{{#ffffff 급행}}}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c3d3d; font-size: .95em" [[포항 버스 9000|{{{#ffffff 9000}}}]]}}} || || {{{#ffffff 간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374d9; font-size: .95em" [[포항 버스 209|{{{#ffffff 209}}}]]}}}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374d9; font-size: .95em" [[포항 버스 219|{{{#ffffff 219}}}]]}}}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374d9; font-size: .95em" [[포항 버스 302|{{{#ffffff 302}}}]]}}}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374d9; font-size: .95em" [[포항 버스 305|{{{#ffffff 305}}}]]}}}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374d9; font-size: .95em" [[포항 버스 308|{{{#ffffff 308}}}]]}}}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374d9; font-size: .95em" [[포항 버스 800|{{{#ffffff 800}}}]]}}} || || {{{#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6af30; font-size: .95em" [[코리아와이드 포항마을버스/동해·구룡포 권역|{{{#ffffff 동해1}}}]]}}}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6af30; font-size: .95em" [[포항 버스 동해3|{{{#ffffff 동해3}}}]]}}} || * [[포항역]]에서 [[포항 버스 305|305번]] 및 [[포항 버스 9000|9000번]]과 연계되며[* 9000번은 [[포항경주공항]]과도 연계된다.], [[포항터미널|포항시외버스터미널]]에서 [[포항 버스 302|302번]]과 연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