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 문서는 국회의원 선거구에 대해서 다루고 있습니다. 행정구역, rd1=북구(포항))] [include(틀:관련 문서, top1=포항시/정치, top2=포항시/정치/북구)] [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경상북도)] ||<-4>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5]]]] {{{#fff [[대한민국|{{{#fff 대한민국}}}]]의 [[대한민국 국회|{{{#fff 국회}}}]][[선거구|{{{#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height=70]]]]}}}|| {{{#!wiki style="margin: -5px 0" '''{{{+2 {{{#fff 포항시 북구}}}}}}'''[br]{{{-1 {{{#fff [[북구(포항)|{{{#fff 북구[br]浦項市 北區[br]Pohang Buk}}}]]}}}}}}}}}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국회선거구 포항시 북구.svg|width=100%]]}}} || ||<-2> '''선거인 수''' ||<-2> 272,548명 (2020) || ||<-2> '''상위 행정구역''' ||<-2> [[경상북도]] [[포항시]] || ||<-2> '''관할 구역'''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북구(포항)|{{{#373a3c,#ddd 북구}}}]] 전역''' 두호동, 양학동, 용흥동, 우창동, 장량동, 죽도동, 중앙동, 환여동, 흥해읍, 신광면, 청하면, 송라면, 기계면, 죽장면, 기북면}}} || ||<-2> '''신설년도''' ||<-2> [[제15대 국회의원 선거|1996년]] || ||<-2> '''국회의원''' || [include(틀:국민의힘)] || [[김정재]] || [목차] [clearfix] == 개요 == 1995년 1월 1일 [[포항시]] [[북구(포항)|북구]]가 설치됨에 따라 이듬해 제15대 총선부터 선거구가 신설되었다. [[포항역]] 생활권+흥해읍 생활권+[[죽도시장]] 생활권에 속한다. 참고로 여기는 '''[[이명박]] 전 대통령의 고향'''이 있는 곳이다. 그리고 [[POSCO]]의 아버지로 불리는 [[박태준]] 회장의 지역구였기도 하고 [[이병석]] 전 국회부의장의 지역구였다. 현 국회의원은 [[국민의힘]] [[김정재]] 의원이다. 여긴 비교적 원도심 지역[* 용흥동, 죽도동]과 농촌[* 흥해읍 + 면지역]이 포함되어 있기에 포항 남구에 비해서도 보수 성향이 강한 편이다. 다만 중-고등학교가 많이 있고 젊은 인구가 많이 사는 장량(장성 + 양덕)이나 우창동은 상대적으로 보수 성향이 옅은 편이다. [[포항역]] 주변 지역도 신도시가 개발되면서 이에 따라 [[포항공과대학교|포항공대]]나 [[포스코]] 등에서 근무하는 교수, 연구원, 생산직 노동자 등과 같은 외지인들이 유입된만큼 상대적으로 보수색이 옅은 편이다. 여담으로 영화 [[검사외전]]에서 주요 인물인 우종길이 이 선거구에 출마한 걸로 나온다. 당선을 위해 구룡포에서 유세를 하는데, 정작 구룡포는 우종길이 출마한 북구가 아니라 남구 선거구에 속해있다. == 역대 국회의원 목록 및 선거 결과 == || '''총선''' || '''당선인''' || '''당적''' || '''임기''' || || 제13대 || [[이진우(1934)|이진우]] || [include(틀:민주정의당)] ||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 || 제14대 || [[허화평]] ||<|3> [include(틀:무소속)] ||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 ||<|2> 제15대 || --[[허화평]]-- || 1996년 5월 30일 ~ 1997년 4월 17일[* 12·12 군사 반란 및 5·18 민주화 운동 진압 관련으로 징역형을 선고받아 의원직을 상실] || || [[박태준]] || 1997년 7월 29일 ~ 2000년 5월 29일 || || 제16대 ||<|4> [[이병석]] ||<|3> [include(틀: 한나라당)] ||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 || 제17대 ||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 || 제18대 ||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 || 제19대 ||<|2>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 || 제20대 ||<|2> [[김정재]] ||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 || 제21대 || [include(틀:미래통합당)] || 2020년 5월 30일 ~ || === 포항시 (13대 ~14대) === ====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포항시'''}}}}}}[br]{{{#ffffff 포항시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진우(1934)|이진우]](李珍雨)''' || '''59,433''' || '''1위''' || || [include(틀:민주정의당)] || '''43.46%''' || '''당선''' || ||<|2> {{{#ffffff {{{+5 '''2'''}}}}}} || [[최수환(정치인)|최수환]](崔守桓) || 21,105 || 3위 || || [include(틀:통일민주당)] || 15.43% || 낙선 || ||<|2> {{{#000000 {{{+5 ~~'''3'''~~}}}}}} || ~~최영만(崔榮萬)~~ || - || - || || [include(틀:평화민주당)] || - || 사퇴 || ||<|2> {{{#ffffff {{{+5 '''4'''}}}}}} || [[이성수(1928)|이성수]](李聖秀) || 46,245 || 2위 || || [include(틀:신민주공화당)] || 33.82% || 낙선 || ||<|2> {{{#ffffff {{{+5 '''5'''}}}}}} || 이진탁(李鎭卓) || 1,360 || 7위 || || [include(틀:신한민주당)] || 0.99% || 낙선 || ||<|2> {{{#ffffff {{{+5 '''6'''}}}}}} || 김병구(金丙久) || 5,843 || 5위 || || [include(틀:한겨레민주당)] || 4.27% || 낙선 || ||<|2> {{{#ffffff {{{+5 '''7'''}}}}}} || 이성석(李聖錫) || 2,738 || 6위 || || [include(틀:무소속)] || 2.00%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68,833 ||<|3> '''투표율'''[br]81.90% || || '''투표 수''' || 138,259 || || '''무효표 수''' || 1,535 ||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포항시'''}}}}}}[br]{{{#ffffff 포항시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진우(1934)|이진우]](李珍雨) || 59,764 || 2위 || || [include(틀:민주자유당)] || 39.90% || 낙선 || ||<|2> {{{#ffffff {{{+5 '''2'''}}}}}} || [[박기환(정치인)|박기환]](朴基煥) || 17,442 || 3위 || || [include(틀:민주당(1991년))] || 11.64% || 낙선 || ||<|2> {{{#ffffff {{{+5 '''3'''}}}}}} || 박성현(朴成賢) || 3,171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2.11% || 낙선 || ||<|2> {{{#ffffff {{{+5 '''4'''}}}}}} || '''[[허화평]](許和平)''' || '''69,395''' || '''1위''' || || [include(틀:무소속)] || '''46.33%''' || '''당선''' || ||<|3> '''계''' || '''선거인 수''' || 193,433 ||<|3> '''투표율'''[br]78.20% || || '''투표 수''' || 112,544 || || '''무효표 수''' || 1,477 || === 포항시 북구 (15대~ ) ===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포항시 북구'''}}}}}}[br]{{{#ffffff 포항시 북구 일원[*포항북구 두호동, 양학동, 용흥동, 우창동, 장량동, 죽도동, 중앙동, 환여동, 흥해읍, 신광면, 청하면, 송라면, 기계면, 죽장면, 기북면]}}}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윤해수(尹海水) || 37,121 || 2위 || || [include(틀:신한국당)] || 34.03% || 낙선 || ||<|2> {{{#ffffff {{{+5 '''2'''}}}}}} || 방무성(方茂成) || 9,866 || 3위 || || [include(틀:통합민주당(1995년))] || 9.04% || 낙선 || ||<|2> {{{#ffffff {{{+5 '''3'''}}}}}} || 최종태(崔鍾泰) || 5,177 || 4위 || || [include(틀:자유민주연합)] || 4.75% || 낙선 || ||<|2> {{{#ffffff {{{+5 '''4'''}}}}}} || 최영태(崔永泰) || 1,834 || 8위 || || [include(틀:무당파국민연합)] || 1.68% || 낙선 || ||<|2> {{{#ffffff {{{+5 '''5'''}}}}}} || 권동수(權東守) || 2,344 || 6위 || || [include(틀:무소속)] || 2.15% || 낙선 || ||<|2> {{{#ffffff {{{+5 '''6'''}}}}}} || 권영준(權寧俊) || 2,156 || 7위 || || [include(틀:무소속)] || 1.98% || 낙선 || ||<|2> {{{#ffffff {{{+5 '''7'''}}}}}} || 신의웅(申義雄) || 2,349 || 5위 || || [include(틀:무소속)] || 2.15% || 낙선 || ||<|2> {{{#ffffff {{{+5 '''8'''}}}}}} || '''[[허화평]](許和平)''' || '''48,251''' || '''1위''' || || [include(틀:무소속)] || '''44.23%''' || '''당선''' || ||<|3> '''계''' || '''선거인 수''' || 164,962 ||<|3> '''투표율'''[br]68.22% || || '''투표 수''' || 112,544 || || '''무효표 수''' || 3,446 || ==== [[1997년 재보궐선거]] ==== ||<-4> {{{#ffffff {{{+1 '''포항시 북구'''}}}}}}[br]{{{#ffffff 포항시 북구 일원[*포항북구 두호동, 양학동, 용흥동, 우창동, 장량동, 죽도동, 중앙동, 환여동, 흥해읍, 신광면, 청하면, 송라면, 기계면, 죽장면, 기북면]}}}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병석(정치인)|이병석]](李秉錫) || 17,801 || 3위 || || [include(틀:신한국당)] || 17.66% || 낙선 || ||<|2> {{{#ffffff {{{+5 '''2'''}}}}}} || [[이기택]](李基澤) || 35,137 || 2위 || || [include(틀:통합민주당(1995년))] || 34.85% || 낙선 || ||<|2> {{{#ffffff {{{+5 '''3'''}}}}}} || '''[[박태준]](朴泰俊)''' || '''47,884''' || '''1위''' || || [include(틀:무소속)] || '''47.49%''' || '''{{{#000000 당선}}}''' || ||<|3> '''계''' || '''선거인 수''' || 166,075 ||<|3> '''투표율'''[br]63.12% || || 투표수 || 104,819 || || 무효표수 || 3,997 || 1997년 4월 17일에 해당 지역구 국회의원인 허화평이 12·12 군사 반란 및 5·18 민주화 운동 진압 관련으로 징역형을 선고받아 의원직을 상실해 재보궐선거를 실시하였다.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포항시 북구'''}}}}}}[br]{{{#ffffff 포항시 북구 일원[*포항북구 두호동, 양학동, 용흥동, 우창동, 장량동, 죽도동, 중앙동, 환여동, 흥해읍, 신광면, 청하면, 송라면, 기계면, 죽장면, 기북면]}}}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병석]](李秉錫)''' || '''67,251'''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63.54%''' || '''당선''' || ||<|2> {{{#ffffff {{{+5 '''2'''}}}}}} || 신원수(申元壽) || 6,334 || 3위 ||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5.98% || 낙선 || ||<|2> {{{#ffffff {{{+5 '''4'''}}}}}} || [[허화평]](許和平) || 32,261 || 2위 || || [include(틀:민주국민당(2000년))] || 30.48%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73,013 ||<|3> '''투표율'''[br]62.09% || || '''투표 수''' || 107,422 || || '''무효표 수''' || 1,576 || 3년 전 재보궐선거에서 낙선했던 이병석이 이 선거구에 재출마했고, 당선되면서 처음으로 국회에 발을 들였다.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포항시 북구'''}}}}}}[br]{{{#ffffff 포항시 북구 일원[*포항북구 두호동, 양학동, 용흥동, 우창동, 장량동, 죽도동, 중앙동, 환여동, 흥해읍, 신광면, 청하면, 송라면, 기계면, 죽장면, 기북면]}}}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병석(정치인)|이병석]](李秉錫)''' || '''60,580'''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55.29%''' || '''{{{#000000 당선}}}''' || ||<|2> {{{#000000 {{{+5 '''3'''}}}}}} || [[배용재]](裵龍在) || 23,639 || 2위 || || [include(틀:열린우리당)] || 21.58% || 낙선 || ||<|2> {{{#ffffff {{{+5 '''4'''}}}}}} || 김숙향(金淑香) || 7,716 || 4위 || || [include(틀:민주노동당)] || 7.04% || 낙선 || ||<|2> {{{#ffffff {{{+5 '''5'''}}}}}} || [[허화평]](許和平) || 17,628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16.09%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80,925 ||<|3> '''투표율'''[br]61.25% || || '''투표 수''' || 110,813 || || '''무효표 수''' || 1,250 ||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포항시 북구'''}}}}}}[br]{{{#ffffff 포항시 북구 일원[*포항북구 두호동, 양학동, 용흥동, 우창동, 장량동, 죽도동, 중앙동, 환여동, 흥해읍, 신광면, 청하면, 송라면, 기계면, 죽장면, 기북면]}}}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오중기]](吳仲基) || 5,609 || 3위 || || [include(틀:통합민주당(2008년))] || 5.80% || 낙선 || ||<|2> {{{#ffffff {{{+5 '''2'''}}}}}} || '''[[이병석(정치인)|이병석]](李秉錫)''' || '''60,610'''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62.64%''' || '''당선''' || ||<|2> {{{#ffffff {{{+5 '''6'''}}}}}} || 박승우(朴勝禹) || 1,098 || 4위 || || [include(틀:평화통일가정당)] || 1.13% || 낙선 || ||<|2> {{{#ffffff {{{+5 '''7'''}}}}}} || [[허명환]](許明煥) || 29,437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30.42%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91,854 ||<|3> '''투표율'''[br]50.95% || || '''투표 수''' || 97,753 || || '''무효표 수''' || 999 ||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포항시 북구'''}}}}}}[br]{{{#ffffff 포항시 북구 일원[*포항북구 두호동, 양학동, 용흥동, 우창동, 장량동, 죽도동, 중앙동, 환여동, 흥해읍, 신광면, 청하면, 송라면, 기계면, 죽장면, 기북면]}}}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병석(정치인)|이병석]](李秉錫)''' || '''74,824''' || '''1위'''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70.44%''' || {{{#000000 '''당선'''}}} || ||<|2> {{{#ffffff {{{+5 '''4'''}}}}}} || [[유성찬]](劉聖贊) || 19,200 || 2위 || || [include(틀:통합진보당)] || 18.07% || 낙선 || ||<|2> {{{#ffffff {{{+5 '''6'''}}}}}} || 최기복(崔起福) || 12,187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11.47%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209,247 ||<|3> '''투표율'''[br]51.32% || || '''투표 수''' || 107,384 || || '''무효표 수''' || 1,173 ||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4> [[포항시 북구(선거구)|{{{#ffffff {{{+1 '''포항시 북구'''}}}}}}]][br]{{{#ffffff 포항시 북구 일원[*포항북구 두호동, 양학동, 용흥동, 우창동, 장량동, 죽도동, 중앙동, 환여동, 흥해읍, 신광면, 청하면, 송라면, 기계면, 죽장면, 기북면]}}}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정재]](金汀才)''' || '''56,525''' || '''1위''' || || '''[include(틀: 새누리당(2012년))]''' || '''43.39%''' || {{{#000000 '''당선'''}}} || ||<|2> {{{#ffffff {{{+5 '''2'''}}}}}} || [[오중기]](吳仲基) || 16,559 || 3위 || || [include(틀: 더불어민주당(2015~2024))] || 12.71% || 낙선 || ||<|2> {{{#000000 {{{+5 '''4'''}}}}}} || [[박창호]](朴唱鎬) || 6,571 || 4위 || || [include(틀: 정의당(2013~2021))] || 5.04% || 낙선 || ||<|2> {{{#ffffff {{{+5 '''5'''}}}}}} || [[박승호(정치인)|박승호]](朴承浩) || 50,594 || 2위 || || [include(틀: 무소속)] || 38.84%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220,958 ||<|3> '''투표율'''[br]59.70% || || '''투표 수''' || 131,921 || || '''무효표 수''' || 1,627 || 지난 국회까지 이 곳을 기반으로 활동해 온 4선의 이병석은 [[포스코]] 비리에 연루되면서 2016년 1월 25일, 체포영장이 발부되었고, 결국 1주일 뒤인 2016년 2월 1일, 20대 총선 불출마를 선언하였다. 그로 인해 사실상 친박계인 [[김정재]] vs 전 포항시장 [[박승호(정치인)|박승호]] 간의 대결이 확정되었고, 최후의 승자는 김정재가 되었다. 박승호 후보는 관외사전투표에서 771표, 환여동에서 겨우 74표 차이로 이겼을 뿐, 나머지 동 - 읍 - 면에서 패배했다. 특히 노년층 인구가 많은 [[죽도동]]에선 1300표 차이, 중앙동에서 900표 차이, 인구가 가장 많은 [[장량동]]에서 1500표 차이로 패하면서 5% 차이로 밀렸다.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포항시 북구'''}}}}}}[br]{{{#ffffff 포항시 북구 일원[*포항북구 두호동, 양학동, 용흥동, 우창동, 장량동, 죽도동, 중앙동, 환여동, 흥해읍, 신광면, 청하면, 송라면, 기계면, 죽장면, 기북면.]}}}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오중기]](吳仲基) || 47,924 || 2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2015~2024))] || 31.38% || 낙선 || ||<|2> {{{#ffffff {{{+5 '''2'''}}}}}} || '''[[김정재]](金汀才)''' || '''98,905''' || '''1위''' || || [include(틀:미래통합당)] || '''64.78'''% || '''당선''' || ||<|2> {{{#000000 {{{+5 '''6'''}}}}}} || [[박창호]](朴唱鎬) || 4,558 || 3위 || || [include(틀:정의당(2013~2021))] || 2.98% || 낙선 || ||<|2> {{{#ffffff {{{+5 '''7'''}}}}}} || 박건우(朴建宇) || 1,290 || 4위 || || [include(틀:국가혁명배당금당)] || 0.84%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229,712 ||<|3> '''투표율'''[br]67.31% || || '''투표 수''' || 154,613 || || '''무효표 수''' || 1,936 || ||<-10> {{{#FFFFFF '''21대 총선 북구 개표 결과'''}}} || ||<-10> {{{#FFFFFF '''국회의원 선거'''}}}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2015~2024))] || [include(틀:미래통합당)] ||<|2> 격차[br](1위/2위) ||<|2> 투표율[br](선거인/표수) || || '''후보''' || [[오중기|{{{#FFFFFF 오중기}}}]] || [[김정재|{{{#FFFFFF '''김정재'''}}}]] || || '''득표수[br](득표율)''' || '''47,924 [br] (31.38%)''' || {{{#FFFFFF '''98,905 [br] (64.78%)'''}}} || '''- 50,981 [br] (▼33.39)''' || '''154,613 [br] (67.30%)''' || ||<-8> '''{{{#fff 구 포항시}}}''' || || '''득표율''' || {{{#004EA2 '''31.89%'''}}} || {{{#EF426F '''64.42%'''}}} || '''▼32.53''' || '''65.28%''' || || '''중앙동'''[*A 법정동 중앙동 · 여천동 · 상원동 · 남빈동 · 덕수동 · 덕산동 · 신흥동 · 대흥동 · 동빈1가 · 동빈2가 · 학산동 · 대신동 · 항구동] || 24.14% || {{{#EF426F 72.94%}}} || ▼48.81 || 63.17 || || '''양·학동'''[*B 법정동 득'''량'''동 + '''학'''잠동] || 31.16% || {{{#EF426F 65.06%}}} || ▼33.90 || 66.05 || || '''죽도동'''[*C 오중기 후보의 고향] || 22.63% || {{{#EF426F 74.26%}}} || ▼51.63 || {{{#696969 59.83}}} || || '''용흥동''' || 27.65% || {{{#EF426F 68.87%}}} || ▼41.22 || 66.52 || || '''우·창동'''[*D 법정동 '''우'''현동 + '''창'''포동] || 33.06% || {{{#EF426F 62.41%}}} || ▼29.35 || 64.88 || || '''두호동''' || 30.77% || {{{#EF426F 65.59%}}} || ▼34.83 || 70.27 || || '''장·량동'''[*E 법정동 '''장'''성동 + '''양'''덕동] || '''37.91%''' || {{{#FF7E9D 58.26%}}} || '''▼20.35''' || 64.84 || || '''환·여동'''[*F 법정동 '''환'''호동 + '''여'''남동] || 35.55% || {{{#EF426F 61.22%}}} || ▼25.67 || 69.56 || ||<-8> '''{{{#fff 구 영일군}}}''' || || '''득표율''' || {{{#004EA2 '''25.67%'''}}} || {{{#EF426F '''70.82%'''}}} || '''▼45.14''' || '''66.58%''' || || '''흥해읍'''[*G [[이명박]] 전 대통령이 어린 시절을 보낸 곳] || 31.27% || {{{#EF426F 65.37%}}} || ▼34.10 || 64.01 || || '''신광면''' || 18.08% || {{{#EF426F 78.46%}}} || ▼60.38 || 69.24 || || '''청하면''' || 19.68% || {{{#EF426F 76.59%}}} || ▼56.91 || 68.95 || || '''송라면''' || 15.69% || {{{#EF426F 81.50%}}} || ▼65.81 || 73.67 || || '''기계면''' || 15.62% || {{{#EF426F 79.92%}}} || ▼64.30 || 70.46 || || '''죽장면''' || {{{#696969 12.85%}}} || {{{#EF426F '''83.71%'''}}} || {{{#696969 ▼70.86}}} || 72.11 || || '''기북면''' || 18.58% || {{{#EF426F 77.29%}}} || ▼58.71 || '''78.12''' || || '''후보''' || [[오중기|{{{#004EA2 오중기}}}]] || [[김정재|{{{#EF426F '''김정재'''}}}]] ||<-2>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32.74% || {{{#EF426F 59.25%}}} ||<-2> ▼26.51 || || '''관외사전투표''' || 42.59% || {{{#EF426F 51.45%}}} ||<-2> ▼8.85 || || '''재외투표''' || {{{#004EA2 57.14%}}} || 39.49% ||<-2> △17.65 ||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오중기]] 경북도당위원장이 예비후보로 등록하였다. 이변이 없이 단수공천되었다. 포항시 북구 선거구에만 세번째 도전이자 경북에서 5번째 도전. [[미래통합당]]에서는 현역 [[김정재]] 의원이 재출마 의사를 보이는 가운데 18대 총선 때 출마했던 [[허명환]], 강훈 전 [[조선일보]] 논설위원에 더해 가장 논란이 심했던 [[주옥순]] [[엄마부대]] 대표까지 이 지역에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결국 [[김정재]] 후보가 경선에서 승리를 거둠으로써 재선 도전을 하게 되...는가 싶었는데 불법 공천헌금 수수 등 혐의로 선관위 조사를 받게 되면서 최고위원회가 공천을 보류했다. 결국 3월 18일, 최종 공천이 확정되었다. [[정의당]]에서는 [[박창호]] 경북도당위원장이 출마를 결심한 가운데, 임혜진 포항시 지역위원장도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지역구 당선자를 배출할 확률이 극도로 낮은 진보정당 특성상 지역구 출마자들은 경선없이 정해지는게 일반적인데, 몹시 이례적으로 경선을 하게 되었다. 최종적으로 [[박창호]] 경북도당위원장의 출마가 확정되었다. 경북에서만 무려 7번째다. 당초 [[포항시 남구·울릉군]]에 무소속 출마가 유력했던 [[박승호(정치인)|박승호]] 전 시장은 김정재가 컷오프될 경우 이곳으로 방향을 틀 가능성도 있다고 한다. 하지만 김정재 의원의 재출마가 확정되면서 남구·울릉군 무소속 출마를 확정지었다. 모성은 포항지진범시민대책본부 공동대표도 출마한다. [[국가혁명배당금당]]에서 5명의 후보(김상현, 서상열, 손성호, 정순애, 전성율)가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정당별 후보 확정 이후 여론조사에서는 미래통합당 김정재 후보가 압도적인 지지율 차이로 더불어민주당 오중기 후보에게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포항시 지진 특별법 관련으로 지역구에 미움이 사긴 했지만 TK 지역에 워낙 [[문재인 정부]]에 대한 심판 여론이 거셌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국 개표 결과에서도 미래통합당 김정재 후보가 더불어민주당 오중기 후보를 더블스코어 차이로 누르고 재선에 성공했다. 오중기 후보 개인으로서는 다섯번째 낙선이지만 지난 지방선거 때와 마찬가지로 30% 득표율을 넘기면서 TK의 냉담한 시선 속에서도 선거비 보전을 받는데 성공했다. 다만 선거 외적인 문제가 있는데 당선자 김정재가 선거 전 [[패스트트랙]] 정국 때 [[채이배]] 의원을 감금하는데 일조해 [[국회선진화법]] 위반으로 검찰에 기소되었다는 것이다. 만약 재판에서 500만원 이상의 벌금형만 선고되어도 당선 무효가 되는 건 물론이고 아울러 5년 간 피선거권이 박탈된다. 거기다 김정재는 국회선진화법 위반 외에도 추가로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수사에 오른 상태다. 두 건 모두 최근 들어 재판에서 엄격하게 보는 사안이라 일단 [[재보궐선거]]가 치러질 가능성이 매우 높다.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포항시 북구'''}}}}}}[br]{{{#ffffff 포항시 북구 일원[*포항북구 두호동, 양학동, 용흥동, 우창동, 장량동, 죽도동, 중앙동, 환여동, 흥해읍, 신광면, 청하면, 송라면, 기계면, 죽장면, 기북면.]}}}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오중기|{{{#373a3c,#ddd 오중기}}}]](吳仲基) || 0 ||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00.00% || || ||<|2> {{{#FFFFFF {{{+5 '''2'''}}}}}} || || 0 || || || [include(틀:국민의힘)] || 00.00% || || ||<|2> {{{#FFFFFF {{{+5 '''3'''}}}}}} || || 0 || || || [include(틀:녹색정의당)] || 00.00% || || ||<|3> '''계''' || '''선거인 수''' || ||<|3> '''투표율'''[br]00.00% || || '''투표 수''' || || || '''무효표 수''' || || 제1야당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오중기]] 전 [[한국도로공사시설관리]] 대표이사를 2024년 2월 7일 단수 추천했다. 오 후보로서는 이 지역구에서만 세번째 도전이자 TK에서의 6번째 도전이다. [[분류:선거구/대한민국]][[분류:경상북도의 정치]][[분류:북구(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