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유희왕]]의 지속 함정 카드들. 일러스트에선 성질 더러운 [[벌거벗은 임금님(유희왕)|벌거벗은 임금님]]이 깽판을 친다. --이러니 [[대혁명]]이 일어나고 [[대갚음(유희왕)|대갚음]] 당하지-- 영어판 명칭은 전부 '''Tyrant's T~'''로 [[폭군]]을 뜻하는 tyrant에 맞춰 뒷글자도 T로 시작하게 두운을 맞췄다. == 폭군의 위압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73710708_1.jpg]]||[[파일:TyrantsTemper-STBL-EN-SR-1E.jpg|width=390]]|| || 내수판 || 해외판 || || 한글판 명칭 ||'''폭군의 위압'''|| || 일어판 명칭 ||'''[ruby(暴君, ruby=ぼうくん)]の[ruby(威圧, ruby=いあつ)]'''|| || 영어판 명칭 ||'''Tyrant's Temper'''|| |||| 지속 함정 || ||||자신 필드 위에 존재하는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발동한다. 이 카드가 필드 위에 존재하는 한,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원래 주인이 자신이 되는 몬스터는, 이 카드 이외의 함정 카드의 효과를 받지 않는다.|| 코스트가 약간 무겁지만 여러 상황에서 재밌게 쓸 수 있는 카드. 자신의 모든 몬스터가 함정 내성을 갖게 만들어준다. [[스킬 드레인]]과 같이 쓰면 상대 몬스터의 효과를 일방적으로 무효화하면서 상대의 함정으로 인한 피해도 안 받을 수 있다. 일러스트는 벌거벗은 임금님이 [[선봉 대장]]을 위압하는 모습. 가까스로 살아 돌아온 선봉 대장을 전투에서 졌단 이유로 갈구는 듯하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폭풍의 스타스트라이크]] || STBL-KR079 ||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폭풍의 스타스트라이크|STARSTRIKE BLAST]] || STBL-JP079 ||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폭풍의 스타스트라이크|Starstrike Blast]] || STBL-EN079 || [[슈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폭군의 폭언 == ||[[파일:暴君の暴言.jpg]]||[[파일:TyrantsTirade-STOR-EN-C-UE.png|width=395]]|| || 내수판 || 해외판 || || 한글판 명칭 ||'''폭군의 폭언'''|| || 일어판 명칭 ||'''[ruby(暴君, ruby=ぼうくん)]の[ruby(暴言, ruby=ぼうげん)]'''|| || 영어판 명칭 ||'''Tyrant's Tirade'''|| |||| 지속 함정 || ||||자신 필드 위에 존재하는 몬스터 2장을 릴리스하고 발동한다. 이 카드가 필드 위에 존재하는 한, 서로 패 및 필드 위에서 발동하는 효과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몬스터 코스트가 1장 더 늘었으며, 이번엔 패 / 필드의 몬스터의 효과 발동을 막는다. 다만 묘지에서 발동하는 효과엔 무방비하다. 아쉽게도 폭군의 위압과는 병행할 수 없다. 왜냐면 이 카드는 몬스터가 아닌 플레이어의 행동을 제한하는 카드이기 때문이다. [[함떡 덱]] 스타일 [[루닉]]에서 [[루닉#루닉의 갈기 슬레이프닐|루닉의 갈기 슬레이프닐]]로 소재를 충당한 다음 발동시켜 상대의 몬스터 효과 발동을 봉쇄하는 콤보가 발견되었다. [[아마노이와토(유희왕)|아마노이와토]]까지 병행한다면 완벽한 효과 봉쇄가 가능하다. 일러스트는 벌거벗은 임금님이 [[전사 라즈]]에게 폭언하는 모습.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스톰 오브 라그나로크]] || STOR-KR078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스톰 오브 라그나로크|STORM OF RAGNAROK]] || STOR-JP078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스톰 오브 라그나로크|Storm of Ragnarok]] || STOR-EN078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폭군의 폭력 == ||[[파일:external/marimoon0000.up.n.seesaa.net/card73715666_1.jpg]]||[[파일:TyrantsTantrum-EXVC-EN-C-UE.jpg|width=395]]|| || 내수판 || 해외판 || || 한글판 명칭 ||'''폭군의 폭력'''|| || 일어판 명칭 ||'''[ruby(暴君, ruby=ぼうくん)]の[ruby(暴力, ruby=ぼうりょく)]'''|| || 영어판 명칭 ||'''Tyrant's Tantrum'''|| |||| 지속 함정 || ||||자신 필드 위에 존재하는 몬스터 2장을 릴리스하고 발동한다. 이 카드가 필드 위에 존재하는 한, 상대는 덱에서 마법 카드 1장을 묘지로 보내야 마법 카드를 발동할 수 있다.|| ~~[[이 불경한 자가]]~~ 코스트는 더럽게 무거운 주제에, 상대에게 주는 제약은 고작 덱에서 마법 카드를 묘지로 보내는 것뿐이다. 대신 제외 계열 덱이라면 상대가 마법을 묘지로 못 보내니, 완벽하게 막을 수 있긴 하다. 일러스트는 벌거벗은 임금님이 [[고블린의 돌격 부대]]에게 폭력을 휘두르는 모습.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익스트림 빅토리]] || EXVC-KR075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익스트림 빅토리|EXTREME VICTORY]] || EXVC-JP075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익스트림 빅토리|Extreme Victory]] || EXVC-EN075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폭군의 폭음폭식 == ||[[파일:暴君の暴飲暴食.jpg]]||[[파일:TyrantsTummyache-GENF-EN-C-UE.jpg|width=395]]|| || 내수판 || 해외판 || || 한글판 명칭 ||'''폭군의 폭음폭식'''|| || 일어판 명칭 ||'''[ruby(暴君, ruby=ぼうくん)]の[ruby(暴飲暴食, ruby=ぼういんぼうしょく)]'''|| || 영어판 명칭 ||'''Tyrant's Tummyache'''|| |||| 지속 함정 || ||||자신 필드 위에 존재하는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발동한다. 이 카드가 필드 위에 존재하는 한, 서로 레벨 6 이상의 몬스터를 특수 소환할 수 없다. 자신의 패가 3장 이상일 경우, 이 카드를 파괴한다.|| 시원찮은 카드. 코스트가 없는 [[초고대 생물의 묘지]]가 더 낫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제너레이션 포스]] || GENF-KR077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제너레이션 포스|GENERATION FORCE]] || GENF-JP077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제너레이션 포스|Generation Force]] || GENF-EN077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폭군의 자포자기 == ||[[파일:暴君の自暴自棄.jpg|width=400]]||[[파일:TyrantsThroes-PHSW-EN-R-1E.png|width=395]]|| || 내수판 || 해외판 || || 한글판 명칭 ||'''폭군의 자포자기'''|| || 일어판 명칭 ||'''[ruby(暴君, ruby=ぼうくん)]の[ruby(自暴自棄, ruby=じぼうじき)]'''|| || 영어판 명칭 ||'''Tyrant's Throes'''|| |||| 지속 함정 || ||||자신 필드 위에 존재하는 토큰 이외의 일반 몬스터 2장을 릴리스하고 발동한다. 이 카드가 필드 위에 존재하는 한, 서로 효과 몬스터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부터 코스트까지 전부 [[일반 몬스터]] 덱을 위한 카드. 효과 몬스터를 안 쓰는 풀 바닐라 덱에서 채용할 만하다. [[궁정의 관습]]이나 [[가짜 함정]]으로 지켜내면 상대는 아무것도 못하게 만들 수도 있다. 단, 이 카드 발동 전에 이미 나와있던 카드들은 영향을 안 받으니 주의. 오히려 이걸 역으로 이용해 이미 나와있는 [[No.66 패건갑충 마스터 키 비틀]]로 이 카드를 지킬 수도 있다. 또한 세트 및 반전 소환, 효과 발동은 가능해서 리버스 몬스터나 패 및 묘지에서 발동하는 효과는 못 막는다. 소환 제약은 "효과 몬스터"에만 해당하므로, 효과가 없는 몬스터라면 얼마든 소환 가능하다. 이를 이용해 [[인스턴트 퓨전]]이나 [[고등의식술]]로 효과가 없는 융합 / 의식 몬스터를 불러온 후 일반 몬스터 튜너를 꺼내 [[스크랩 데스데몬]]이나 [[나츄르 가오드레이크]]를 싱크로 소환하거나, 레벨 4 일반 몬스터를 전개해 [[젬나이트 펄]]이나 [[각성의 용사 가가기고]]를 엑시즈 소환할 순 있다. 문제는 코스트. 일반 몬스터 2장을 필드에 올려야 한다. 일반 몬스터인 펜듈럼 몬스터들을 이용하거나, [[트라이 저주받은 하인 존]], [[창조의 대행자 비너스]], [[레스큐 래빗]] 등과 병행하면 좀 쉽지만 속공성은 많이 떨어지고 필요한 밑준비가 많다. 그나마 가장 쓰기 편한 덱 구성으론 [[이그나이트]]가 있다. 초반에 패에 3장의 이그나이트 일반 몬스터와 이 카드 1장을 들고 있다면 다음 턴에 바로 발동 가능하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 사항''' || || [[빛의 충격파]] || PHSW-KR076 ||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빛의 충격파|PHOTON SHOCKWAVE]] || PHSW-JP076 ||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빛의 충격파|Photon Shockwave]] || PHSW-EN076 ||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관련 문서 == * [[벌거벗은 임금님(유희왕)]] [[분류:유희왕/OCG/지속 함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