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일반 마법]] [[유희왕/OCG]]의 일반 마법 카드. [목차] == 설명 == [[파일:嵐.jpg]] || 한글판 명칭 ||'''폭풍'''|| || 일어판 명칭 ||'''[ruby(嵐, ruby=あらし)]'''|| || 영어판 명칭 ||'''Storm'''|| ||<-2> 일반 마법 || ||<-2>자신 필드 위의 마법 / 함정 카드를 전부 파괴한다. 그 후, 파괴한 카드의 수만큼, 상대 필드 위의 마법 / 함정 카드를 파괴한다.|| [include(틀:유희왕/리미트 레귤레이션, 듀얼링크스=제한됨 1)] 파괴한 자신의 마법 / 함정 카드 수만큼 상대의 마법 / 함정을 파괴하는 효과를 가진 일반 마법. [[태풍(유희왕)|태풍]]의 대체용으로 등장한 하위 호환 마법 카드. 자신의 마법 / 함정 카드를 바쳐야 하는 만큼 그냥 발동했다간 일반적으로 손해다. 이 카드에 체인해서 속공 마법이나 함정 카드를 발동하거나, [[도둑의 연막탄]], [[저주받은 관]], [[황금의 사신상]] 등 파괴되었을 경우의 효과를 가진 카드를 콤보로 활용해 만회하는 게 좋다. 하지만 1장만 파괴하겠다면 [[싸이크론]] 같은 카드가 압도적으로 편해서 [[체인 번]]에 조합하는 등의 연구가 필요하다. 자신 필드의 마법 / 함정 카드를 전부 파괴한다고 쓰여있지만, 기존의 [[태풍(유희왕)|태풍]]과 마찬가지로 이 카드 자신은 파괴되지 않는다. 따라서 자신 필드에 마법 / 함정 카드가 없는 상태라면 발동할 수 없다. 또한 '파괴한 카드 수'''만큼''''이라 쓰여있지만, 파괴한 자신의 카드 수보다 상대의 마법 / 함정 카드가 적은 경우라도 상대의 카드를 파괴할 수 있다. 이는 '파괴한 카드의 '''수까지 가능한 한''''으로 봐야 한다. [[기어 타운]]은 상대의 마법 / 함정 파괴 처리 때문에 타이밍을 놓쳐서 활용할 수 없다. 이 카드부터 시작해서 매 팩마다 65번 넘버로 [[리미트 레귤레이션/OCG|금지 및 제한 카드]]의 패러디 카드가 [[노멀 레어]]로 나오기도 했다. [[리턴 오브 더 듀얼리스트]]에선 [[대 한기]]가, [[어비스 라이징]]에선 [[겸허한 파수병]]이 같은 위치를 차지했다. 다들 성능이 별로지만, 그나마 이 카드는 저 둘보단 낫다. [[펜듈럼 소환]]이 나오면서 새로운 활용법이 나왔는데, 패에 있는 펜듈럼 몬스터를 발동한 뒤 이 카드로 파괴하는 것으로 엑스트라 덱을 쌓으면서 상대의 마함도 파괴할 수 있어 어느 정도 보완 가능한 정도로 나왔다. [[클리포트(유희왕)|클리포트]]처럼 펜듈럼 몬스터가 디메리트를 가진 덱에선 양쪽을 파괴하는 걸로 디메리트를 없앨 수 있고, [[DD(유희왕/카드군)|DD]] 덱에선 계약서 카드를 파괴하면서 상대 카드를 제거하는 식으로 활용할 수 있다. 실제로 클리포트의 우승 덱을 보면 이 카드를 1장 정도 메인/사이드에 넣어 2장째의 태풍으로 쓰는 모습이 보이기도 했다. [[유희왕 D팀 제알]]에선 [[오모테우라 토쿠노스케]]가 [[츠쿠모 유마]]와의 듀얼 중 패에 들고 있는 카드로 확인됐다. 한글판에선 잘 못 살렸지만, 이 카드의 이름부터가 태풍의 패러디다. 원래 태풍(大嵐, Heavy Storm)의 이름에서 앞부분을 빼서 그냥 규모가 작은 '폭풍'으로 만들어버린 이름이다. 일러스트는 [[로컬 빅 허리케인]]의 일러스트를 다른 구도에서 확인한 걸로 보인다. 국지적으로 발생한 회오리에 사람만 날아가고 있고 원래 태풍의 일러스트에서 같이 날아가고 있던 소는 멀쩡하다. 잘 보면 이 날아가고 있는 사람은 태풍 카드의 일러스트에서 먼저 보이는 그 사람이 아니다. 일러스트에 나온 사람의 의상을 보면 알겠지만, 그 사람은 아주 한가롭게 소젖을 짜고 있다. 일본판으로 한 글자 카드명은 [[7(유희왕)|7]] 이후로 8년 만이다.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선 [[리시드(유희왕 듀얼링크스)|리시드]] 듀얼 보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오랜 기간 동안 파괴되었을 경우의 효과를 가진 카드랑 같이 쓰거나 접근성이 매우 좋은 범용 마법 / 함정 견제 카드로 간간이 쓰이다, 2021년 이 카드를 채용한 [[주안(유희왕)|주안]], 그리고 [[사이버 드래곤(유희왕/카드군)|사이버 드래곤]] 덱이 너무 강하거나, 너무 오랜 기간 동안에 티어 자리에 있자, 이를 방지하고자 2021년 5월 10일에 제한 1이 됐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갤럭틱 오버로드]] || GAOV-KR065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갤럭틱 오버로드|GALACTIC OVERLORD]] || GAOV-JP065 || [[노멀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갤럭틱 오버로드|Galactic Overlord]] || GAOV-EN065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Astral Pack Seven || AP07-EN023 || [[노멀]] || 미국 || || || Speed Duel: Battle City Box || SBCB-EN191 || [[노멀]] || 미국 || || == 관련 카드 == === [[태풍(유희왕)|태풍]]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폭풍, version=139)]